감기가 꽤 올라 있는 날, 그리고 라식 수술을 위한 검사를 마치고 나온날 눈은 부시고...입맛은 마비 된 것 같았다. 그래서 선택한 혼자만의 점심 진건씨는 먹질 못해서 여간 해선 맛보기 힘든 낙지뽁음이다. 점심 메뉴가 9,000원 나름 호사스럽다..오래간만에 마비된 코까지 확 불러 일으키는 매운 음식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6. 12. 22. 19:03
추운 날씨..
오래간만에 정아가 밥 먹자 그래서 손대리 성일이 미정이랑 같이 가서 먹은 샤브샤브
깔끔하니 고기도 많이 나오고 맛있었다. 가격대비 만족스러웠다는 칭찬을 모두에게 들었다.
푸짐했던 샤브샤브....성일이 왈 "일단 빨간줄이 안 보여서 좋네" 우리 회사 다니는 사람들이면 무슨 소린지 알만한 소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6. 12. 19. 14:1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TBS
방 영 : 2006년 3월 18일
감 독 : 타케조노 하지메(竹園元
)
각 본 : 야스 케이이치(やすけいいち)

출 연 : 오오쿠가 타다요시(大倉忠義)
          사노 야스오미(佐野泰臣)
          오오와다 미호(大和田美帆)
          이즈미 무토야(和泉元彌)
          오카모토 레이(岡本麗) 
          하야시야 페(林家ペー) 
          하야시야 파코(林家パー子) 
          사이토 사토루([斉藤曉) 
          토야마 토시야(遠山俊也) 
          코야시 마사히로(小林正寛) 
          오시마 요코(大島蓉子) 
                                                                       야마자키 유스케(山崎雄介) 
                                                                       코바야시 키나코(小林きな子) 
                                                                       모리 코코(森康子)

여자가 인물에 의해서 팔자가 어느 정도 달라진다는 것은 어떤면에서는 역사가 싶은 사회적인 통속법률 같은 것이었다. 그래서 어떠한 여자든지 자신의 외모를 바꾸어서 자신의 운명마저도 바꾸 싶어하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흔한 이야기다. 세상 남자들의 여자보기 혹은 여자 고르기의 기준이 확 바뀌지 않은 한 이런 법칙은 변하지 않을 것이고 이것을 소재로 한 드라마 역시도 꾸준히 나올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의 얼굴이 사회적 통념에서 먹히는 것이든 아니든...이런 소재는 흥미로운 소재이다. 이 드라마 신데렐라가 되고 싶어는 그런 내용을 담은 남자 버전의 드라마이다. 자신의 보잘 것 없는 외모를 책망하면서 살아가는 자신감 없는 한 남자의 약물소동(드라마 속의 약을 먹으면 24시간동안 원하는 사람의 외모로 살 수 있다는)이 결국은 자신 스스로의 의식 변화만이 주변이나 스스로를 변화할 수 있다는 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드라마의 주제로라면 그 대상이 남자이든 여자이든 크게 상관이 없을 것 같다.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은 타인의 사랑을 받을 수 없다는 것....스스로는 제대로 사랑하는 사람은 외롭기 보다 바쁘다는 걸...궂이 남녀 변화를 새롭다는 듯이 꾸미지 않아도 변함없는 진리가 아닐까....세상 사람들은 미남 미녀를 좋아한다. 하지만 그 만큼이나 사람의 관계에서 피어나는 매혹이 더 깊은 페르몬이라는 걸...이 드라마를 통해서도 다시 확인 할 수 있다. 물론 드라마 속의 캐스팅은 100점 만점을 줘도 아깝지 않을 만큼 적절하다는 즐거움도 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6. 12. 19. 14:13
유니버셜 언니들이랑 먹은 게코스 가든에서의 저녁 겸한 술자리.....음식이 양이 작네 싶었는데 기름져서 얼마 먹지 않아 배가 불러왔다. 7,700원 8,800원 하는 맥주는 진짜 라이브 했다..
특히 내가 먹은 이름이 좀..그 길다란 맥주는 아주 맛있었다..

다양한 안주와 시원한 맥주...좋은 분위기..비싸다는게 문제로군...
게코스 가든의 음식들 나갑니다...쭈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6. 12. 19. 14:10

오늘로서 업체 간담회 4번째 업체 유니버셜이다.
중간에 비타민 엔터테인먼트, 워너뮤직이 있었지만 다 한정식이라 사진을 못 찍고 처음으로 저녁을 함께 한 유니버셜 미팅장소를 찍었다.

그 중에서 남림씨가 사가지고 온 유명한 케익 막판에 케잌이 구불렀다고는 하나 맛은 여전했다..모양도 나쁘지 않은....여자 3인방이라 감각도 산뜻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All That My Life > MY Bread. Ca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agen Dazs]퐁듀 아이스크림  (0) 2007.03.30
[Mago]너무 부드러운 치즈케익  (0) 2007.02.21
[콩다방]커피빈에서 후식  (0) 2006.12.17
[Ran Ran] 팥빙수  (0) 2006.09.25
[케잌] 생일 축하용 케익  (0) 2006.08.08
by kinolife 2006. 12. 19. 14:0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NTV
방 영 : 2006년 10월 03일
감 독 : 요시다 아키오(吉田秋生)
각 본 : 니시오기 유미에(西荻弓絵)
출 연 : 에스미 카키코(江角マキコ)
           노기와 요코(野際陽子)
           카토 코지(加藤浩二)
           이토 시로(伊東四朗)
           아이바 마사키(相葉雅紀)
           사쿠라(さくら)
           오카모토 레이(岡本麗)
           이시하라 요시즈미(石原良純)
           하루카(遼花)
           사노 시로(佐野史郎)
           요코야마 메구미(横山めぐみ)
           카토 타카코(加藤貴子)
           사사키 스미에(佐々木すみ江)
           야츠 이사오(谷津勲)
           호시노 아키코(星野晶子)

해외 발려을 마치고 시댁으로 돌아오는 며느리...여느 며느리가 이 귀국이 좋겠냐만, 키리코는 신사를 모시고 있는 시어머니의 간섭이 유독 Hate 하다. 남펴과 두 아이 모두 외국 생활에 어느 정도 익숙하고 자신도 영국에서의 생활이 더 익식하다고 생각한다. 인터네셔널 며느리의 탁 일본 시집살이가 시작된다.
일본에서도 신사를 모시면서 사는 시집살이는 여간 귀찮고 거추장 스러운 것이 아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외국인 학교 입학을 위해 애쓰시는 시어머니의 모습에 반해 조금씩 일본의 생활에도 만족을 찾아가는 철없는 며느리의 철 되찾기 혹은 진정한 엄마로서의 교육자로 성장해 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는 단편 드라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부의 액년]에서 눈에 익은 시어머니역의 요코 상과 좋아라 했던 드라마 [오버타임]에 출연했던 에스미 마키코를 오래간만에 드라마에서 만나서 반가웠다. 특별이 재미가 있는 것도 그렇다고 재미가 없는 것도 아닌 이 짧은 드라마에서 일본의 전통해 대한 긍지를 잠깐 느낄 수 있었으며, 한 가정과 동네를 싸고 있는 전통 종교가 조금은 신기하기도 했다. 일본은 죽어 있는 것 거의 모두에게 신이 있다고 믿는 다는데 그 자연과 사물에 대한 경의로움이 일본인들 마음 깊숙히 자연에 대한 경의와 허리 낮춤의 자세를 만들어 가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양 냠새 풀풀 풍기던 며느리도 시어머니의 사랑과 정신세계에 감동을 느끼며 전통에 순응해 가는 모습이 당연한 드라마의 결과인걸 알면서도 그냥 있는 그대로 보게 된다. 특히 이러한 일본 드라마에서 전통과 싸워봤자..어쩌겠느냐는 생각이 드는데. 이 드라마 역시도 그런 드라마 중의 한편이었다. 고부 갈등을 각각의 운동법(며느리는 우동국수 뽑기, 시어머니는 신사에서 신의 물건을 흔드는 것?)으로 푸는 모습은 이 드라마가 은근슬쩍 코미디를 표방한다는 것을 숨기지 않는다. 싸우고 헐뜯고 미워해도 이들은 가족이다. 드라마엔 그 교훈이 너무 짙게 깔려 있다. 전형적인 일본 드라마다.
by kinolife 2006. 12. 19. 13:42
진건씨가 회사 앞에 싸고 정말 가정식 백반을 하는 집이 있다로 해서 손대리랑 미정을 대접했따. 성일이는 휴가라....가격은 5,000원 기분에 모듬전(8,000원)도 시켰다.
진정한 가정식 백반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6. 12. 19. 13:4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NTV
방 영 : 2006년 10월 03일
감 독 : -

각 본 : -

출 연 : 후쿠다 마유코(福田麻由子)
           카타세 나나(片瀬那奈)
           카자마 토오루(風間トオル)
           이쿠타 토모코(生田智子)
           타나카 미나코(田中美奈子)
           사다 마유미(佐田真由美) 
           호리코시 노리(堀越のり) 
           미키 료스케(美木良介) 
           하라 히데코(原日出子) 
           카타오카 츠루타로(片岡鶴太郎)

일본과, 북한 그리고 우리나라의 관계란 전 지구상을 되돌아봐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관계일 것 같다. 남한, 북한 한 민족이지만, 복잡한 이권과 정치관계에서 맞물려 있으며, 나라가 갈라지기 전, 한 민족은 일본이라는 나라에 함께 지배를 당했었다. 시대는 흘렀고 사람은 변했지만, 무언가 이들 세 나라의 관계는 큰 변화없이 흘러오고 있는 것 같다. 실제 북한의 일본인 납치 사건을 토대로 그린 이 드라마는 비교적 북한의 악랄한 납치행태를 평이란 관점에서 실어 보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치적인 견해를 최대한 견지하고 딸을 잃어버린, 그리고 죽었다는 사실을 밎지 못하는 부모의 관점에 초첨을 맞추어서 더더욱 슬픔을 간직한 점이 돋보인다. 배우들이 언어나 표정 연기는 조금 어색한 데가 있지만, 사실적으로 북한을 그리기 위래 노력한 제작진의 노력과 이 같은 국제적인 이슈거리를 드라마화 하려고 생각한 용기 역시도 대단한 것 같다. 특히 이러난 드라마를 볼 때마다 일본인 내부에 숨어 있는 인간적인 면모나 정의를 바라보는 용기있는 태도...드라마의 목적 등에 대한 고심 등을 느낄 수 있어서 재미 보다는 정신적인 의미도 좋게 느껴진 드라마다. 아이를 낳고 키우면서 유괴나 납치는 있을 수 없는 것임을 다시 한번 느꼈다. 재미 보다는 의미에 촛점을 두어야 할 드라마....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6. 12. 17. 22:50

파스텔 뮤직이 대접한 콩다방 커피...
커피는 살짝 들어가고 우유가 굉장히 많이 들어가 있었던 음료...
이름은 정확히 모르겠다만...너무 이쁘서 찍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6. 12. 17. 22:40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리구리 크리스마스 볼이랑 구슬
크리스마스 용품이지만 크리스마스 같지 안은 것을 찾다보니..참으로 크리스마스 같지 않은 트리가 집 벽에 달려 있다.
그 나마도 반짝이 떨어진다고 진건씨한테 계속 욕 먹고 ..돈 이상하게 쓴다고 욕 먹고...같이 가서 좀 고르고 그랬음 얼마나 좋아..혼자 가서 사가지고 온다고 끙끙 댔두만 욕만 하고..에이 진짜 구리구리한 크리스마스가 될것 같다..흑흑흑...

by kinolife 2006. 12. 16. 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