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세계의 음악을 대표하는 것이 아르헨티나의 탱고나 포르투갈의 파두가 전부가 아님을 알기 위해서 궂이 전 세계를 보기 위한 여행가방을 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인터넷 클릭 하나로 전세계의 가수와 노래들을 모두를 만나 볼 수 있다는 착각에 빠지는 것도 제 3세계 음악의 영역을 너무 한정해서 보는 함정에 빠지는 것 일 수도 있다. 제 3이라는 숫자가 가지고 있는 광활한 의미는 권력자 1에 대한 반항과 저항의 의미로서의 2, 그리고 그 격렬한 싸움 가운데서 새롭게 피어나는 가능성으로서의 3이다. 그래서 제 3의 것, 제 3세계의 음악은 언제나 낯설다는 느낌과 새롭다는 느낌이 지닌 독특함 힘을 함께 지니고 있다.
국토의 한 면을 아시아와 다른 한 면을 유럽과 접하고 있는 터키, 그래서 유라시아의 복합적인 문화의 대명사이기도 한 땅. 터키, 그 곳에는 터키를 대표하는 제 3세계 가수로서 인기 절정을 구가하는 뮤지션인 세젠 아쿠스(Sezen Aksu)가 있다. 매력적인 허스키 보이스, 확 터진 음성은 그 안에 담긴 성량의 무게 만큼이나 상상 이상의 청량감을 전해 주는데 마치 무람을 타 놓은 듯한 터키의 바닷 색깔 같은 그녀의 음색은 터키의 진한 바다 색깔과 함꼐 사막의 간절함을 기억하게 하는 목소리이다. 마치 ‘먼 곳을 향해 이 몸둥이 하나만 들고 떠나니…… 그대 함께 하려 할 때 이미 그대 옆에 있음이오’ "와 같은 어디에나 있음직한 싯구같이 방랑자에게 더 없이 든든한 천군만마같은 믿음직스러움을 전해주는 목소리다.

1954년 터키의 서쪽 해안 도시에서 태어난 세젠 아쿠스는 1979년 터키의 영화에 캐스팅 되면서 연예활동을 시작했다. 출연한 영화의 영화음악을 직접 부르게 되면서 가수로서의 활동을 시작한 그녀는 주제곡의 폭발적인 인기로 가수로서의 순탄한 활동을 시작한다. 현재까지 열 장이 넘는 앨범을 냈을 정도의 중견 가수에 속하는 그녀의 매력이 빛을 발하는 것은 허스키한 목소리에 담긴 ‘보이스 칼라’만은 아니다. 자신이 직접 노래를 만들고 노랫말을 붙이는 재능은 진정한 뮤지션의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으며, 터키 국내에서 반짝 인기를 끈 슈퍼스타만은 아님을 짐작케 하는 부분이다. 이번에 시완 레코드를 통해 국내에 소개되는 본작 [Dus Bahceleri: 꿈의 정원]는 1996년에 발표된 그녀의 열두 번째 앨범으로 에밀쿠스트리차의 영화 <언더 그라운드 Underground>에서 어렵게 들을 수 있는 “탱고(O Sensin)”에서 보여줬던 활기찬 그녀의 열정이 곳곳에 숨겨져 있는 색다른 음반이다.

첫 곡, “Seni Yerler”에서 선보이는 터키식 펑키 음은 황야의 바람처럼 잠자고 있던 마음의 귀를 깨우고, 세번 째 트렉에 위치한 “Bile Bile(함께 함께)”는 그렇게 들뜬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혀 준다. 국내 FM 라디오의 애청곡이기도 한 이 곡은 국내 음악 팬들에게도 충분히 매력적일 만한 노래다. 형제의 나라인 우리에게도 낯설게만 들리던 세젠 아쿠스의 노래들은 트렉을 넘어가면서 아주 쉽게 듣는 이들의 마음에 동질감을 만들어간다. 이어 여섯번 째에 자리하고 있는 “고독의 심포니(Yalnizlik Senfonisi)”에서는 절정의 감정을 쏟아낸다. 조용한 피리 소리로 시작되는 전주는 숙연함을, 터져 나오듯 쏟아져 나오는 그녀의 폭발적인 목소리는 감정의 절정에서 쏟아져 나오는 목소리의 절규 속에 대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총 11곡이 수록된 이번 앨범은 지난 월드컵 이후 어느 정도 관심이 고조된 터키에 대한 문화의 동경에 적지 않은 해갈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앨범다. 낯선 도시에서 전해져 온 세젠 아쿠스의 우수 어린 목소리는 시간의 절대적 정지 속에서 같은 제 3세계에 속한 우리들에게 ‘터키 팝의 진수’라는 깊은 감성을 남긴다.
by kinolife 2006. 11. 21. 00:23

‘노래’는 때론, ‘음악’이라는 단어보다 정겹고 그 역사도 오랜 것처럼 느껴진다. 이렇게 두 단어는 같은 의미로 쓰일 때가 많음에도 발생하게 되는 이런 차이는 단순히 단어가 가지고 있는 느낌일 수도 있을 것이다. 노래는 편안하고 일상적이며 음악은 학문적이고 무거운 느낌, 이 단어의 느낌 중에서 ‘노래’는 어떤 모습으로 우리 곁에 있으며 우리와 함께 의미 지워질까? 답답한 도시 속에서 울려 퍼지는 노랫가락은 갑작스럽게 그런 노래 그것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
지난 화요일 지하철 2호선 선릉역에는 지하철 문화사업단에 소속된 에콰도르의 전통 음악단인 시사이(SISAY)의 조촐한 공연, 콘서트 아니 음악회가 있었다. 바쁘게 퇴근하는 사람들의 발길을 잡은 이 노랫가락은 이국적인 음색이 호기심을 자극한 것일지도 있겠지만, 그것에 앞서 낯선 공간에서 울려 퍼지는 소리의 파장이 먼저 귀를 자극했을 테고, 그 자극을 받는 뇌는 호기심으로 이어져 시선 역시도 그 소리가 울려나는 곳으로 자연스럽게 옮겨 놓았을 것이다. 이렇게 노래는 사람들의 감각을 자극하면서 일상을 일깨우면서 관심과 사랑을 갈구한다.

한마디로 말해 에콰도르 음악단 사사이의 음악은 음악의 질, 혹은 수준으로 평가한다면 그리 높은 점수를 줄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즉석의 공간에서 호기심에 가득찬 흥분의 감각이 믹싱이 된 상태가 아니라면, 스튜디오로 녹음이 된 그들의 음악은 그렇게 매력적인 수준을 가지고 있진 않은 것 같다. 그건 순전히 필자의 개인적인 편견이자 독설일지도 모르겠지만 이미 7-8년 전에 들었던 ‘로스 잉카스(Los Incas)’의 앨범들과 폴 사이먼의 라이브를 통해 들었던 ‘우르밤바(Urubamba)’의 선율은 이들의 음악적 선배로써가 아니라 음악에 계단이 있다면 그 단계의 차이가 어떤 것인지를 알게 된 지표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마치 잉카의 언덕의 아래와 봉우리의 차이라고 할까. 적어도 예전에 직접 들었던 안데스의 소리는 이들의 음악처럼 들떠 있다든가 하는 류의 가벼운 느낌을 주지는 않았다. 로스 잉카스 이후의 안데스 소리는 전통이나 그 나라의 땅에서 나는 흙 냄새, 잊혀진 세월의 향기 보다는 오랜 시간 동안 유럽과 아시아를 떠돌면서 유랑하면서 썪이고, 변하고 새롭게 자신을 변화시킨 흔적이 역력하다. 그래서 깊이 이전에 쉽게 다가오고 또 쉽게 잊혀지기 쉽다. 하지만 그런들 어떠하리, 좁고 먼지 많고, 발걸음 빠른 사람들이 넘쳐나는 지하철에서 그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하고, 잠시 머무르게 하고 그들의 시간을 이 짧은 음악에 묶어 둘 수 있다면 그것으로 족한 것이 아닌가? 그렇듯 노래는 떠돌이처럼 떠 돌고 떠돌이처럼 사람들 곁에 머물고 또 떠나고 그런 것이 아닌가. 이런 음악을 곁에 두는 것도 듣는 이들이고, 멀리 보내는 것도 듣다가 이젠 듣지 않는 이들이다.

멀리서 이름 모를 나라의 좁은 지하철 공간을 이용해 노래하고 자신의 시디와 악기들을 판매한 수익으로 또 노래하는 이들, 제 3세계 그것도 낯설다면 한 없이 낯선 안데스의 음악을 들으면서 우리 가수 김목경을 생각한 나는 단순히 음악적 현학, 아니 잡다한 지식이 많은 한 사람일까? 그래 그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난 이들이 목청 놓아 노래하고 숨죽여 호흡을 맞추고 악기를 다듬는 사이 사이 김목경이라는 우리 가수를 쉽게 지우진 못했다. 이상하게 이들과 쉽게 오버 랩 되는 그림 하나, 김목경이 영국의 차가운 스모그 아래에서 우리 식으로 통기타를 치고 우리말로 때론 영어를 썪어가며 노래했을 그 핏대 선 목줄기가 떠 오르는 건 어쩌면 이 먼 타국에서 노래하는 시사이처럼 떠돌며 노래하는 이들의 이력이 닮아서인지도 모르겠다. 아니 확실히 그럴 것이다. 방랑하듯 떠돌고, 노래하고 또 노래하고…이렇게 노래하는 이들의 유랑이야 말로 노래가 사람에 의해 불려지고 사람에 의해 듣겨서 또 불러지고 전해지고 했을 거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지하철에서 노래하는 에콰도르의 시사이나 영국에서의 김목경이나 뭐가 다르겠는가? 라는 생각을 아주 쉽게 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전혀 연관이 없는 이 둘의 모습에서 아주 쉽게 떠돌아다니는 노래의 본질과 만날 수 있다. 떠돌이처럼 떠도는 노래의 모습을 말이다. 그 곳, 혹은 이 곳에서 노래하는 이들의 마음이야 다 다르겠지만 그 모습, 노래의 한 일면을 보고 그런 유랑의 굴곡이 담긴 노래를 드는 이들의 마음에서는 그리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한국의 사사이나 영국의 김목경이나 말이다.

노래에는 원래 이렇게 방랑의 습성이 있는 것 같다. 아니 방랑해야만 살아남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음악을 들은 이들의 귀를 통해 전달이 되고 또 다시 그들의 입을 통해 또 전달이 되고, 이러는 사이 노래는 자연스럽게 사람들 사이에서 유랑하는 것이 아닐까?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 사이를 떠 도는 것이 이른바 히트곡이고, 이보다 더 시간을 초월하고 장소를 초월한 음악들이 명곡으로 남아 수많은 시간과 사람들에게 불려지고 들려지고 그러는 것이 아닐까? 작곡가와 가수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그 이후의 음악은 작곡가의 손을 떠나 또 가수의 입을 떠나 CD로 저장이 되어 자기만의 유랑을 떠나야 하지 않나. 모든 것이 그렇듯 부모의 곁을 떠나 스스로의 위치를 잡아야만 온전한 하나의 독립적 존재가 되듯, 노래도 만들어 지고 만들어진 곳을 떠나 다른 사람들과 부대끼며 자신의 가치를 가지는 것 같다. 세상의 모든 것처럼 노래도 그러하다.

빠듯한 하루 하루, 어느 하루도 다를 수 없이 반복되는 이 분주함 속에 울려퍼진 시사이의 음악과 시디에 담긴 “철새는 날아가고(El Condor Pasa)”를 들으면서 김목경의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를 떠 올린 날, 이렇게 낯선 땅에서 불려진 노래처럼 떠돌고 다시 집으로 오고 시디로 남아 어디로 어디로 또 떠나는 노래를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노래처럼 나도 집을 떠나 일터로 갔듯이 다시 나의 집으로 돌아가는 짧고 반복적인 생활 속에 노래랑 닮은 삶의 한 모습을 떠 올려본다. 그래서 노래가 고맙고 또 노래하는 이들의 고뇌가 의미 있게 보인다. 떠돌이 같은 노래, 나그네 같은 인생이 그렇게 딱딱한 도시를 스쳐가는 2002년 월드컵 전의 오월이다.

이 글은 제가 2002년 6월에 www.kpopdb.com에 기고한 글입니다.

by kinolife 2006. 7. 14. 23:0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