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파지만, 볼만해.." 

남편의 추천사를 뒤고 하고 2015년에 봐야할 철 지난 영화로 선정한 영화라 조금 기대반 별 기대없이 영화를 봤다.

말 그대로 신파가 맞지만 이상한 신세계를 그릴려고 하는 신인감독들의 치기어린 작품들에 비해선 신파로 영화를 찍은 감독의 용기에 오히려 박수...


영화는 경상도의 어느 작은 시골을 무대로 예술과 삶이라는 뻔한 이야기를 꽤 가볍게 그려내고 있지만,나름 배우들의 기름기 없는 연기로 작은 단편 소설 하나를 읽음직한 가벼운 만족감을 주는 영화. 영화의 주요 인물이 예술 중에서도 조각이지만, 내 눈에 들어온 예술은 영화 말미 스스로를 다시 깨달았다고 말하는 조각가의 자화상 보다는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해 준 모델을 그린 그림이었다.


그림에 대해 잘 몰라서 ..대학까지 마친 나의 머리에 정리된 언어로는 이런 종류의 그림을 크로키라 하는 듯..작가가 쓰고 있는 도구가 목탄이라 목탄 크로키라 할 수 있나 혼자 생각하면서 그림을 그리는 장면이 나오는 동안은 다른 무엇보다 그 그림에 눈이 가 집중하면서 영화를 보았다.


너무 쉽게 그려내는 듯 하지만 균형감이 있어야 하고 무언가에 홀린듯 슥슥 그려내야 하는 그림. 그래서 그려지는 그림 만큼이나 그 그림이 그려지는 동안 목탄이 자신의 몸을 깍아내는 소리..크로키 북과 만나서 나는 그 슥슥..거리는 소리가 주는 또 다른 신호들은 자연스럽게 눈과 몸을 크로키 북 안에 고정하게 한다. 조금만 영화의 이야기 밖을 본다면, 프로젝트 디자이너였던 감독의 세심한 소품들과 풍경들..그리고 그것들이 원래 그 곳에 있었다거나 있었어야 했던 것 같은 영화의 토대들이 하나의 물결처럼 자연스럽게 배치되어 있어 보는 이들에게 안정감을 준다. 그 시절 풍경에 대한 감독의 시선이 예술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을 갖게 하는 영화. 신파지만 싸구려가 아닌 지점은 뻔한 이야기는 이야기 대로 두고, 영화 속의 사람들과 그 물건들이 실제 있었음직한 모습으로 영화 안에서 배우 못지 않은 역할들을 하며 반짝반짝 빛나고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 슥슥 소리 덕분에 목탄을 사서 슥슥 무언가를 그려볼까..하는 유혹이 있었으니 영화속의 그림만킴이나 그 작은 소리에 유혹당해 버린 꼴이 되어 버렸다.




by kinolife 2015. 2. 4. 12:08


영화 <우리도 사랑일까 Take This Waltz>의 그림들 중에서 가장 눈에 들어온 그림은 바로 이 그림이다. 


  이유는 그림 속의 여인이 영화 속의 마고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지기 때문. 

  루와 대니얼 사이에서 모두에게 마음을 두고 있는 마고를 표현하는 것 같기도 하고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는 것을 암시 하는 것 같기도 하다. 마고를 중심에 두고 생각해도 꽤 이중적으로 재미있는 해석이 가능한 그림이고 마고를 떼어놓고도 전혀 다르게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그림이다. 예로 실제로 영화에서는 직업이 화가로 등장하고 있는 대니얼이 그린 그림으로 나오고 있고 그 함의를 마고가 자신을 선택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서 그린 그림으로 표현된 것은 아닐까 생각되게도 한다. 오른쪽에 꽃과 함께 붉게 피어오르는 마고는 자신(대니얼)과 있을 때의 마고, 왼쪽에 검게 기울어진 여인은 루와의 조합은 은유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혼자 상상해 본다.


이유야 어찌 되었건 마고는 이 둘의 이미지를 다 가지고 있고, 영화에서의 마고는 이 그림의 여인처럼 여러면에서 갈등하지만 꽃처럼 사랑스럽게 그려져 있다. 꽤 단순한 미덕을 담고 있는 이 그림의 색채감은 담은 의미를 담아 꽤 좋게 다가온다.


by kinolife 2014. 9. 24. 00:05



영화 쌍화점을 뒤늦게 보니, 어린 여진구도..풋풋한 조인성도..묵직한 조인성도 볼 수 있었지만, 영화의 완성도는 그저 그랬던 것 같다. 크게 딱 이 점이라고 볼수는 없겠지만 숨막히는 듯한 밀도가 낮다는 느낌은 지울 수가 없다.

왕과 왕비 그리고 왕의 그늘과 같은 홍남의 삼각관계가 가지는 텐션이 비교적 뚜럿하면서도 그 긴장감의 깊이가 느슨한 느낌이 내가 영화 속에서 느낀 전체적인 분위기이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이 그림은 살찍 비틀어져 가는 삼각관계 사이에서 왕고 홍림이 함께 그린 그림의 결과물 정도로 볼 수 있는 그림이다. 


원래 그림은 오른쪽 왕은 활을 쏘고, 왼쪽 홍림은 말을 타는 그림이었으나, 홍림이 자신도 활을 쏘면 더 좋지 않겠냐는 말을 전한다. 왕을 그렇구나 .라고 답변을 하지만..이들의 관계는 조금식 틈이 벌어진 상태.. 홍림이 왕을 떠나 반역을 저지르는 동안 왕은 홀로 홍림이 남긴 말대로 말을 타는 홍림의 모습이 담긴 그림으로 고쳐 둔다. 물론, 영화의 종극엔 이 그림이 둘의 칼 싸움에 이 그림은 이 둘의 관게가 파국을 맞는 것처럼 산산조각이 나고 말지만.....


영화의 후미에 쌍화점의 주제곡과 함께 이 둘의 관계가 저 그림 속에 있었지...라고 말해주는 것 같은 쓸끌한 여운을 남긴다. 이 영화 속에서 왕이 그린 이 그림은 어찌보면 고려를 가진 최고의 권력자였지만, 단 한번도 진심으로 홍림에게 사랑받지 비운의 남자가 남긴 순애보인지도 모르겠다. 용맹스런 고려무사들이라는 외피를 담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저렇게 함께 있고픈 어느 정인의 바램이 담긴 연서이고 실제 주인공은 홍림이지만, 정서의 정점은 왕이 쥐고 있었음을....그래서 둘이 서로 칼을 겨눠 함께 죽지만 실로 비운의 남자는 홍림이 아니라 왕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그림같이 느껴진다. 

by kinolife 2013. 7. 22. 14:57

30~40대의 흔들리는 마음, 그 사이사이에 끼어 있는 로맨스에 관한 드라마 [결혼하지 않는다 結婚しない]에는 플로리스트, 가든 디자이너, 유화 화가에서부터 시작해서 그림과 관계되는 장면들이 많이 나와서 눈이 꽤 즐거운 드라마.


먼저 가든 다지아너가 드라마 속에서 상대역으로 나온 교수의 가정집 집안의 디자인 ..이렇게 기본 그림을 그리고 그 안을 꽃으로 마음으로 채워가는 것이 가든 디자이너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든 디저이너가 근무하는 꽃집에서 아르바이트 하는 여대생.

대학에서 일본의 현대 가정, 연애에 관한 수업을 듣는데, 회마다 주제가 되거나 이슈가 되는 이야기들이 나올 때마다 수업 시간에 끄적이는 낙서같은 그림들... 손재주 좋은 젊은 처자의 솜씨가 참 좋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그림들...





역시 꽃집에서 메니져로 일하는 청년은 화가의 꿈을 꾸는 미래의 화가...그러다보니 그림을 그리는 장면이 나오고, 그림이 등장하는 장면이 종종 있다. 드라마 속의 후배가 그려놓은 수 많은 그림이 그려져 있는 전시회는 물론이거니와, 주인공이 예전에 그렸던 그림..그리고 연애과정에 그 그림들이 주요한 조연 역할을 해 준다. 유화에 대한 지식도 크로키에 대한 지식도 없는 나지만, 마음을 읽어내기 위해 쓰인 이 그림들이 이 드라마를 얼마나 빛나게 해 주는 지는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손 솜씨 좋은 사람들의 능력이란...부러운 마음 이상의 선망이 된다.




by kinolife 2013. 6. 27. 12:04
옥션에서 그림 경매 일을 하는 주인공의 직업에 맞게 등장하는 몇몇의 그림들 앞선 그림은 실제 그림으로 생각되어 지며.. 그 다음에 보여지는 그림은 영화에 큰 역할을 하는 그림으로 영화 속의 조직원이 돈 세탁을 위해서 만든 절대 수작...이탈리아 풍이라고 하기엔 스페인 풍에 가까운 듯 하고 예수님이 총을 들고 있는 설정 자체가 정치적으로 읽혀져서 재미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870년, 유화, 루돌프 웨데마의 [라 펨 쉐드 오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극 중에서 마피아가 그린 총을 든 예수님...총도 많이도 쏘셨다...총의 응징을 보면서 예수를 경배하는 신도의 모습들이 지극히 유머러스해 보이지만, 심도 깊은 종교 모독과 정치적 성향이 아닐 수 없다.




by kinolife 2007. 11. 29. 14:37
바람을 피든 안 피든, 결혼을 하던 안 하든 삶의 공허한 스산함에 관한 내용을 다룬 <바람피기 좋은 날>..
두 주인공의 바람이 잠잠해 진 이후 함께 간 미술관에서의 전시회가 바로 Edward Hopper의 그림전..
영화의 색깔과 아주 잘 어울리는 화가의 그림이 영화에 나온다는 생각을 저절로 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 속에 비춰 졌던 삶의 스산함에 빠져 들게끔 하는 영화 속의 그림은 바로 저 그림이 바로 저 그림...
호텔방에서 홀로 책장을 넒기는 여성의 모습이다. 아무 것도 없는 공간에 아무 느낌도 없는 공간감이 아프게 다가 온다. 이 영화가 잘 한게 딱 하나 있다면 호퍼의 그림을 차용한 점이다. 조금 헤프게 쓰이고 있다는 생각도 슬 들기는 하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Edward Hopper의 [Hotel Ro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20. 16:53
영화 <헤드 오버 힐스 Head Over Heels >의 여주인공의 직업이 오래된 그림을 복원하고 새롭게 그림을 그려 넣는 복원가..그러 그녀가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의뢰받은 작품...

화가 이름은 정확이 모르겠고, 화가가 러시아 사람이며..영화에서 제목으로 [시대를 거슬러]라는 의미를 남겨 준 작품이다. 그림 속의 시대를 정확히 집어 보기도 쉽지 않고..어느 신화나 이야기 안의 배경은 그림에 대한 궁금증을 높히는 것 같다. 몰라서 그렇지 정말 유명한 화가의 그림이 아닐까 생각만 해 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 그림은 영화 속에서 복원 중에 있는 그림인데..자신이 사랑한 남자의 얼굴을 그리면서 그려 넣은 모습에서 영화 속에서 여주인공의 마음상태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그림도 내용도 그다기 확 와 닫지는 않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14. 10:52
영화 <환타스틱 소녀백서 Ghost World>에 등장하는 주인곤 이니드가 그린 그림일기..예술 수업과 관련된 아마츄어 미술 작품들이 쭈루룩 소개되는데..나름대로 현대 미술의 의미들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많다.
미술 시간에 학생들이 보여주는 그림들은 차지하고 라고 아니드가 자신의 주변의 사물들에 대해 그려 놓은 애정어린 그림들과 통찰력이 느껴지는 몇몇 그림들은 천재적이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역사적으로 인정받고 전문가들이 이야기 하는 명화들도 좋겠지만, 이런 소박하지만 그거 소박하지 않고 비범함을 띄는 개성이 강한 일러스트르 아주 멋지다고 생각한다.영화 속의 그림은 감독 테리 즈위고프가 데뷔작 <크럼>을 찍을 때 마난 만화가 로버트 그럼의 딸 그림을 얻어다 사용했다고 한다. 인디 스러운 발견에 인디 스러운 재 탄생이 아닐 수 없다. 이 정도가 되면..딸이 아닌 아버지의 그림도 조금 궁금해 지기도 한다. 이 무명의 습작 그림..보면서 즐겨 볼만한 작품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영화 속에서 이니드가 그림 세이모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영화 속에서 이니드가 그림 세이모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영화 속에서 이니드가 그림 세이모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영화 속에서 이니드가 좋아했던 조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니드가 세이모어의 집에서 마음에 들어한 그림. 예술 수업 중에 이상한 취향으로 친구들의 눈에 띈다.

by kinolife 2007. 11. 12. 18:4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통을 중시하는 웨일즈의 작은 마을에 예술을 가르키러 온 영화 속의 왓슨(줄리아 로버츠 분)의 첫 강의...이미 예습을 통해서 선생님을 조롱하는 아이들에 맞써 다음 시간에 아이들 앞에 펼친 그림이 바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화가 수틴(Chain Soutine)의 "시체"이다.

덕분에 이 화가의 그림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됐고...대표적인 작품 " 쇠고기"에 대한 이야기도 읽게 됐다. 가난한 이 화가가 그려내는 관념적인 사물들은 삶에 대한 고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 같다. 기존에 자신에게 보여지는 주변의 환경과 사진이 웬지 다른 것 같다는 괴로움은 현대인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은 생각대로 진행되어 개인에게 또 다른 압박으로 다가오고 주변의 환경은 그런 개인의 문제들에 무관심하다. 영화 속에 그려지는 그림 한편을 통해서 현재의 삶에 대해 질문을 해보라고 하는 영화속의 예술사 선생님은 궂이 1950년대 갑갑한 미국에서만 빛날 수 있는 캐릭터는 아닐 듯 하다.

스스로에게 그런 질문을 던질 수 있는 날. 그 사람은 그 당시의 자신보다 한 발자욱 더 앞서 나갈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본 영화 속의 주인공이 예술사 선생님이다 보니, 피카소, 잭슨 폴락, 고갱 등등 수도 없는 미술작품들과 수 많은 그림들이 나오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에 그림은 바로 수틴의 이 작품인 것 같다. 시간을 내서 그의 대표작 "쇠고기"로 한번 찾아보았다. 돈이 없어서 소고기 한마리를 사다가 썩을 때까지 이 그림 저 그림들을 그렸다는 그림 외의 이야기가 도 어찌 그리 쓸쓸하게 느껴지는지..여러가지 생각을 남기는 그림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Chaim Soutine, Carcass of Beef, Circa 1925, oil on canvas

 

by kinolife 2007. 9. 7. 12:10
토요일 아침..조금 일찍 일어나서 본 일본 영화 <카모메 식당>
영화 속의 주 무대인 그 식당의 벽에 걸린 갈매기 그림...일러스트라고 하는게 더 어울릴 듯한 간단한 필치(마치 초등학생의 그림과 같은)는 담백한 영화의 내용과 아주 많이 닮아 있다. 원작 소설의 표지에도 그려진 이 하얀색의 갈매기 그림.....기분이 깨끗해 지는 것 같다. 작가의 이름은 모르지만...영화와 닮아서 영화를 보고 나서고 생각이 나는 그림...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5. 12. 15:08
|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