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 제 : A Chair For My Mother
글 : 베라 윌리암스(Vera B.Williams)
그림 :베라 윌리암스(Vera B.Williams)
번역 : 최순희
출판사 : 시공주니어
2007년 07 초판 33쇄
가격 : 6,500

불이 나서 집안의 살림도구가 다 타 버린 날부터 시작해서 일을 마치고 돌아오시는 엄마를 편하게 쉬게 할 의자를 사기 위해 엄마와 할머니와 함께 모아온 동전 저금..엄마의 가게에서 가장 큰 유리병에 동전이 다 차서는 의자를 사러 가는 모든 가족이 행복해 한다는 내용을 담은 소박한 동화책.

오랜 시간동안 기다려 온 날에 대한 바램과 작은 것을 아껴서 정말 가지고 싶은 소중한 것을 산다는 점을 알려줄 수 있다는 점에서 교훈이 담겨 있는 동화책..열심히 살고...절약하는 삶을 통해서 인생을 풍요롭게 한다는 점은 배울 점이 많이 담겨 있는 인생의 기본적인 교훈. 다시 한번 되세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7. 10:25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한국, 107분
영어 제목 : Seducing Mr. Perfect

감 독 : 김상우
각 본 : 김선미, 이영숙, 이란, 도민익, 김상우
원 작 : 이현수

출 연 : 엄정화, 다니엘 헤니(Daniel Henney), 홀리 캐롤 클락(Holly Karrol Clark), 방문수, 김기현, 오미연
          이성민, 옥지영, 백도빈, 박현영, 이갑선, 이원우, 나츠키 요스케(夏木陽介)

음 악 : 정재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니엘 헤니의 절대적인 매력을 담보로 시작된 <미스터 로빈 꼬시기>는 엄정화와의 궁합으로 어느 정도 볼만한 영화 이상의 매력적인 영화로 만들어 졌다. 물론 지극히 평이한 전개와 특별할 것 없는 진행이 이제까지 보아왔던 로맨틱 코미디와 다른 것은 크게 없겠지만, 헤니가 만들어 내는 이국적인분위기가 영화 내내 신선함을 자아낸다.그의 매력이 그의 근육안에 같뎌 있는 것만이 아니기에 영화는 새로운 맛을 느낄 수있다.

세 번째로 남자친구에게 차이고 만 엄정화는 확실히 자신이 버림 받았음을 안 아침...재수 없게 교통사고를 내고 만다. 몰래 발뺌하고 도망가려던 그녀가 딱 맞닥트린 상대방은 오늘부터 새롭게 자신의 상사로 모셔야 되는 사장님...말 그대로 꼬이고 꼬여 보이지만,,이미 이루 질 것이 빤한 커플에겐 꽤 평이하면서도 영화적인 첫 만남이다. 자신의 실연 고백을 통해서 연애 개인강사로 이 이국적인 사장님을 초빙한 엄정화는 누구에게나 웃음을 흘려내곤 버림받는 쇼걸 같은 여자가 아니라 한 남자와 교감을 통해 성장하는 사랑을 위한 교습을 시작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심하게 감정적이고 자신의 감정에 너무나 솔직한 모습 덕분에 바람끼 가득한 가벼운 남자들의 표적이 되어 왔던 과거의 모습을 조금씩 알아가게 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사랑법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엄정화..영화 속 대사처럼 연애란 감정을 이용한 고도의 게임이라는 걸 일부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현재의 사랑은 꽤 전투적이고 상업적인 것이 사실이다. 궂이 이들의 관계가 사장과 직원이라는 계급의 차이가 아니라 하더라도 "연애"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자세는 분명 차이가 있어 보인다. 하지만 영화가 말하는 연애의 법칙이 그렇게 딱딱하고 이성적인 것이라면, 이 영화가 돈 것이나거 세상에 사랑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니 궂이 언급할 필요가 없을 듯 싶다. 영화는 흔한 결론을 향해서 급박하게 달려간다. 헤어진 엄정화의 전 남자친구와 관계를 위해서 연애 코치를 하면서 서서히 자신의 마음을 확인해 가는 헤니....자신의 사랑법을 믿고 싶다는 듯이 계속에서 과거의 사랑에 집착하는 정화...이 둘은 결국 첫 만남에서 우연히 교통사고로 만났듯이 사랑하는 관계로 발전한다. 영화는 그 과정을 비교적 무리없이 보여주고 또 자극적인 장면들로 영화가 지루하지 않도록 배려한다.

미국식으로 "I Love You"와 한국식으로 "같이 살자" 사이에서 또 다른 극복이 남아 있겠지만, 서로 달라보이는 이들의 사랑법에도 결국은 속일 수 없는 건 감정이며...얼마만큼 그것을 다스리느냐 역시 모든 사랑에 빠진 사람들의 숙제이니 궂이 하나의 결론을 내릴 필요는 없겠다. 엄정화의 달련된 연기와 신선하지만, 전혀 서툴지 않는 헤니의 모습에서 충분이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영화..데이트용 영화, 킬링 타임용 영화로 전혀 나쁘지 않은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5. 18:50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한국, 109분

감 독 : 손현희
각 본 : 김수아, 손현희, 오영석
촬 영 : 오승환
출 연 : 엄정화, 탁재훈, 윤지민, 신성록, 조희봉, 마동석, 엄수정, 나경미, 정인기,
          신현준, 김선아, 신이, 김광규, 이재훈, 김미려

음 악 : 한석호
주제가 : 메이비, 장승혁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 인생에서 최악으로 꼽을 수 있는 남자라..실제 생활에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소재를 영화 안에 극화 시킨 영화로 탁재훈의 주연 연기로 화재가 된 작품..

개인적으로 굉장히 흥미있게 생각하는 연예인의 변신에 관심을 가지면서 보게 된 영화..결론은 배우들의 연기 외에 머 특별히 언급할 게 없는 그저 그런 로맨틱 코미디... 흥행 실패의 요인을 어느 정도 지니고 있는 A급과 B급의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영화라고 볼 수 있겠다.

영화는 대학에서 부터 결혼 적령기에 이르기까지 너무 친하고 사이가 깊은 남자 여자와의 우정이 깊은 숙취 이후의 성관계(그것도 꾸준히 반복된) 이후로 결혼을 하게 된다는 설정으로 영화는 시작되고 이 시작이 이 영화의 최고의 마케팅적 요소였다.

영화는 그런 남자와 여자 사이의 사랑과 우정에 관한 이야기로 풀어서 친숙한 상대와 결혼한 이후 어떻게 위기와 맞닥트리고 어떻게 또 다시 인연이 되어서 사랑을 만들어가지는 지를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몇몇가지 이해가 되지 않는 설정...예를 들면, 각각 자신의 회사에서 상대방의 외도 사실을 목격하고 알게 되지만 그다지 놀라거나 힘들어 하지 않는 부분...너무 예정되어 있었던 것 같은 이별....같은 전개는 비교적 깔끔하지 못한 느낌을 받았다. 그런 이야기 전개 안에서 주인공들의 캐릭터도 좀 모호해서 이 둘의 관계가 깊은 인연이거나 연인보다 친구로서의 우정이 강조되는 정도의 메세지 전달도 없어서 우정이 사랑이 되고 그 사랑이 결혼생활로 이어진다는 것이 별 것 아닌것 처럼 비춰진다는 아쉬움도 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다루어 주었으면 좋았을 것 같은 것은 역시 우정과 사랑의 차이...혹은 깊은 인연에 대한 회고 등인데 그런 내용을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깊게 동조할 수 있는 키 장면이 부재한 것도 역시 이런 류의 영화에서 아쉬움을 주는 부분이다. 탁재훈과 엄정화의 호흡은 비할 데 없이 자연스러우며 나쁘지 않은데, 영화 속의 캐릭터로 본다면 엄정화보다는 탁재훈의 캐릭터가 보다 현실적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엄정화의 경우엔 현대 여성의 이기적인 면만 너무 부각해서 (아내로서의 역할을 부재함으로 매겨서 연인과 우정 이외의 이미지가 없다.) 이들의 결혼관계에게 대한 파경이 마치 엄정화에게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파경이 결정을 엄정화 혼자 독단적으로 하는 것 처럼 보여지는 것도 마찬가지...) 보여지는 일면이 없지 않은 것 같다. 영화는 아주 착한 결말..이들이 다시 결합하고 탁재훈이 혼자 되내이는 독백..학교 때부터 얼마나 기다려온 그녀와의 결혼인데 정도...물론 이게 재혼이후의 의견인지 초혼 일 때 있었던 독백인지 애매하게 처리 함으로 해서 인연은 누군가가 그냥 주는 것이 아니고 만들어가고 가꾼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 역시 굉장히 익숙한 결말...당연히 지어진 결말같아서 큰 감동은 없는 부분이다.

잘 만들어지지도 그렇다고 잘못 만들어졌다고 하기에도 머한...밋밋한 영화는 소재를 한껏 살리지 못한 극중 캐릭터와 생각보다 약한 조연 배우들의 요소(양념이 조금 작다.)...우정과 사랑 사이의 절대적인 동감 코드의 부재 등이 복합적으로 섞여서 아쉬움을 남겨준다. 인생에 있어서 최고의 남자가 결혼을 통해서 최악의 남자가 아니었을까 회상하게 하는 것도 아닌데..영화는 그 애매함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5. 00:44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한국, 118분
영어 제목 : Big Bang

감 독 : 박정우
각 본 : 박정우

출 연 : 감우성, 김수로, 강성진, 장항선
          김영옥, 문정희, 조덕현, 이정헌
          김혁

음 악 : 신해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평범하게 살아가는 순수한 대한민국의 평범한 시민이 폭도로 변해과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대한민국에서 살아가기...아니 살아남기의 어려움에 대해서 그려내고자 한 블랙 코미디. 코미디로서의 요소는 김수로의 애드립 연기,,,그리고 이렇게 이야기를 끌고 가도 전혀 문제가 없게 느껴지는 대한 민국의 현실이 아닐까 하는 영화... 이제까지 나온 국내 영화 중에서 꽤 내용 있는 코미디 영화라는 생각이 든다. 흥행적인 요소는 작지만, 메세지 만은 확실하게 보여주는 데는 어느 정도 성공한 영화로 생각이 된다. 재미 보다는 메세지..그러나 조금은 허망한 꿈 같은 영화가 조금은 부끄러운 현실을 보여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보는 사람들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자신이 조금 못 가졌다고 생각하고 노력해도 안 되는게 있다는 걸 알아 본 사람에겐 몇몇 과장된 것이기도 하지만, 의미 있는 장면들을 곳곳에서 좀 쉽게 찾을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한민국 대표적인 철밥통 공무원이라는 직업에..별 탈 없는 가장인 박만수..어느날, 출근하기 전날 부인으로 부터 들은 이혼해....덕분에 지각까지 하면서 우여곡절 끝에 직장으로 갔더니..상사가 공무원 구조조정에 자신이 선정 되었다고 이야기 한다. 구체적인 이유 없이 본인이 대상자라는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퇴직을 축하하는 술자리에 참석한 만수..급기야 자신에게 퇴직 기념으로다가 회식턱을 쏘라는 무개념의 동료들에게 화를 내고..자신의 인생이 바르게 살라는 아버지의 말씀에 따라 아주 성실하게만 진행되어 온사실을 알게 된다. 30대 중반에 터져 나오는 인생에 대한 회한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만수는 그저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자신의 삶에 그리고 그런 삶을 방조한 대한민국이라는 사회에 울화가 치민다.

그래서 선택한 범법 행위의 시작.. 노상 방뇨로부터 시작해서 경찰서에 오게 된 만수는 우연히 감방에 들어가고 싶다고 외치는 철곤의 가벼운 입담에 녹아나 크게 일을 치게 되고.뜻하게 않게 함께 행동하게 된 이 두 남자는 한국 사회에 반기를 들고 끝 모를 반항이 시작이 된다. 무서울 것도 그렇다고 그다지 무언가를 바랄 것도 없다고 생각한 이 두 남자는 자신이 하고 싶었던 일을 그대로 다 실행해 보게 되고...자신에게 해를 끼치거나 거슬리게 했던 이들에게 이들 나름의 속 시원한 복수를 감행한다. 그 도발의 결과는 현실적인 내용 안에서는 빤 한 것이고, 달랑 단벌 양복, 티셔츠 하나 입고 시작된 이 하루만의 항거를 통해서 답답한 한국의 현실을 그대로 엿 볼 수 있게 한다. 여전히 답답하고 해결책이라는 걸 무엇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이 짧은 울분이 깝깝한 만큼 슬프게 느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시원하다...하지만 여전히 답답하다....영화 한편으로 한국의 답답함이 이해되고 해결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만은 영화는 영화고 개인은 넓은 사회에 적응해 살아가는 수 밖에 없다는 걸 보는 이 모두는 알고 있다. 조금은 시원했다가 또 다시 갑갑해 지지만..그 나름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영화.. 오래간만에 감우성의 답답한 캐릭터가 사실적으로 허황해 보이는 김수로이 연기로 꽤나 빛나는 작품이다. 기대 외의 만족감을 전해 주는 영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29. 18:3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TBS
방영타이틀 : TBS 금요 드라마
방 영 : 2004년 4월 16월 - 2004년 6월 25일
감 독 : 히라노 슌이치(平野俊一)
          사카이 마사히로(酒井聖博)
각 본 :  오카다 요시카즈(岡田恵和)

출 연 : 도모토 츠요시(堂本剛)
          유스케 산타마리아(ユースケ・サンタマリア)
          사카이 와카나(酒井若菜)
           이노우에 마오(井上真央)
           니시 요스케(西洋亮)
           이즈미사와 유키([泉澤祐希)
           콘노 마히루(紺野まひる)
           이시다 아유미(いしだあゆみ)
           타무라 타카히로(田村高廣)
           오카모토 아야(岡本綾)
           오카다 코키(岡田浩暉)
           키무라 타에(木村多江)
           사이토 요이치로(斎藤陽一郎)
           오사나이 미나코(長内美那子)
           록카쿠 세이지(六角精児)
           이케다 키미코(池田貴美子)         


음 악 : 하세베 토오루(長谷部徹)
주제곡 : ORIGINAL COLOR by 도모토 츠요시(堂本剛)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남아로 떠난 각각의 사정의 지닌 사람들이 뜻하지 않은 교통사고를 통해서 가족을 잃고 연인을 잃고 자식을 잃은 사람들이 사고 이후 함게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로 기존의 드라마와는 다른 소재를 아주 인간적으로 다루고 있는 독특한 드라마 이다.

교통사고를 통해서 가족과 소중한 사람을 잃은 사람들이 홀홀 단신 흩어져서 홀로 괴롭게 살아가고 있는 전반부의 모습에서 삶이 계속되는 한 고통이 있는 애들에겐 끊임없이 회상된다는 것은 아주 슬픈 현실... 드라마는 그런 고통의 현실적인 정점에서 개인의 고통을 인지하는 데서 시작된다. 결혼 전에 애인과 함께 여행을 떠난 쇼고는 교통 사고로 자신과 자신의 애인과 함께 자신의 아이가 죽은 사실을 알고 살아가는 동안 계속해서 인생에 되새김질 하면서 살아가야 하는 인생이 버겁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연히 사고를 통해서 고통 받은 유가족들이 함께 모이게 되면서 자신이 지금 겪고 있는 고통이 나만의 고통이 아님을 알게 되고 그들의 고통을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까 고민하다 새로운 가족이 되어서 함께 살 것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유가족들은 의아해 해고 이 조금은 이상한 제안에 바로 반응하지 못한다. 쇼고의 노력에 의해서 더더욱 조심스럽게 한명씩 가족으로 모이게 된 사람들은 자신의 상처를 조금씩 잊는 방법으로 고통을 나눌 수 있는 사람과의 생활로 위로 받는다. 전혀 다른 환경에서 살았던 사람들이 성인이 된 이후에 같은 상처를 지녔다는 이유로 한 가족이 될 수 있을까..그런 질문에 대해서 이 드라마는 현대의 가족에 대한 또 다른 모습하나를 전해 주면서 색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누군가에게는 형이 되고 누군가의 아들이 되며 또 누군가에겐 친구가 되고 엄마 아빠가 되면서 서로를 의지해서 살아가는 사람들... 이 공동의 생활을 통해서 고통을 덜게 되면 또 다른 삶을 향해서 가겠지만 어떤 가족보다 의미 있는 가정을 꾸리고 인간갑게 살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까 하는 따스함에 곳곳에서 묻어나는 드라마이다. 심각한 삼각관계나 숨어 있는 출생의 비밀과 같은 드라마 단순 핫코드 없이 잔잔한 인간적인 내면을 파고 들어서 재미와 감동을 선사하는 이와 같은 드라마가 더 없이 드라마 보기의 즐거움을 준다. 일본 드라마를 보기 시작해서 얼마지 않아 본 드라마였는데, 꽤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소재를 꽤 촘촘하게 짜서 보여줘 즐겁게 본 기억이 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작 소설까지도 있는 본 드라마를 보고 난 이후는 원작 소설에 대해서도 은근히 관심이 생기기도 했었는데. 국내에 발간이 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 하지는 못했다. 물론 드라마에는 드라마 보다는 보다 은근하게 그려졌을 것 같다는 추측만이 들 뿐이다.

소재가 주는 참신함을 그대로 드라마에 녹여낸 배우들과 연출가의 감각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드라마의 존재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하게 한다. TV 매체를 통해서 시청률에 쫒겨 달짝 지근한 드라마만을 만들어내는 국내의 상황과 비교 한다면  이런 내용의 일본 드라마를 만날 때면  조금은  부럽다는 생각까지 든다. 다양한 소재, 인간적인 내용 등이 드라마 보기에 대한 즐거움을 오랫동안 전해 주는 작품성 높은 드라마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29. 17:37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9년, 미국, 103분

감 독 : 켈리 마킨(Kelly Makin)
각 본 : 아담 쉐인만(Adam Scheinman)
          로버트 쿤(Robert Kuhn)
촬 영 : 도날드 E. 도린(Donald E. Thorin)

주 연 : 휴 그랜트(Hugh Grant)   
          제임스 칸(James Caan)   
          진 트리플혼(Jeanne Tripplehorn)   
          버트 영(Burt Young)   
          제임스 폭스(James Fox)   
          조 비터렐리(Joe Viterelli)   
          게리 벡커(Gerry Becker)   
          매디 코먼(Maddie Corman)   
          토니 대로우(Tony Darrow)   
          폴 라저(Paul Lazar)   
          비니 패스토어(Vinny Pastore)   
          프랭크 펠리그리노(Frank Pellegrino)   
          스콧 톰슨(Scott Thompson)   
          존 벤티미그리아(John Ventimiglia)   
          마가렛디바인(Margaret Devine)    

음 악 : 바실 폴도우리스(Basil Poledouris)

사용자 삽입 이미지
로맨틱 코미디의 외피를 쓰고 있지만, 마피아나 조직의 캐릭터를 그대로 가져온 코미디 영화.
휴 그랜트의 어눌한 연기가 조직의 전형적인 캐릭터들과 녹여 버려서 특별히 개성감이 없게 느껴지는 그저 그런 영화라는 아쉬움이 큰 영화다.

영화 초입. 옥션에서 명화들을 판매하는 직업을 가진 마이클이 사귄지 3개월이 지난 지나에게 청혼을 하지만, 그녀가 유명한 조직의 딸이라는 걸 알고부터는 위험한 결혼 전의 연애가 이어진다. 장인 어른의 명령으로 조직의 돈 세탁을 위한 그림을 경매에 붙이기도 하지만 곧 FBI의 의심을 받게 되고..자신을 믿고 그림을 사겠다는 고객과의 사인 부족으로 이상한 경매가 이루어지면서 일은 더욱 더 꼬이게 된다.

그림 값을 제대로 받지 못한 조직원이 집으로 찾아와 난동을 부리는 중에 약혼녀의 총에 맞에 죽게 되고 사건은 점점 더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그저 순박하게 사랑하고 살고 싶었을 뿐인데...조직원의 돈 세탁에 연루되고(이 부분이 굉장히 재미 있는데, 연이어 본 코미디에 등장하는 내용 치고는 그림을 이용한 조직원의 돈세탁이 꾸준히 나온다는 데서 흔한 소재이이거나 그림이 조직원들의 돈세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 같아 흥미로웠다.) 애인은 살인자가 되고 자신은 살인 현장을 목격하고 시체를 유기하는데 동조하고 되고 꽤나 복잡 미묘한 연애가 계속디는 것이다. 사정이 이 정도 되고 보니, 연애를 하는 건지 결혼을 위해서 여자 친구의 집안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는 것인지...어쩌다 이 지경이 됐는지 보인은 이해하기 힘든 상황으로 치 닫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국은 꼬일대로 꼬여버린 결혼전의 살인 사건은 이 둘의 결혼을 위험헤 빠트린다. 종극엔 자신의 딸을 지키기 위해서 자신의 사위가 될지도 몰랐던 청년의 목숨을 바꾸기 위한 계략을 펼치는 장인 어른....결국은 FBI와 함께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각자의 캐릭터를 언도 받고 결혼식에서의 연기를 시작한다. 상대편 범죄 증거를 확보하기 위한 이 결혼식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결혼식과 FBI, 범죄조직원과 평범한 사람들..꽤나 극적인 소재들이 가득 있지만, 그다지 재미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없을 정도로 허술하게 느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다. 배우들의 연기도 주, 조연 할 것 없이 잘 흐르는 듯 한데도 극은 루즈하고 지루한 감을 갖기 쉽다. 로맨틱 코미디의 틀을 가지고 있는 건 역시 관객까지 속인 해피 엔딩적인 결말...영화는 깜짝쇼 까지 숨기고 있지만, 그다지 추천 할 만한 작품은 못 되는 것 같다. 휴 그랜트의 개성이 덜 빛나 보이는 아쉬움이 아주 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29. 14:39
옥션에서 그림 경매 일을 하는 주인공의 직업에 맞게 등장하는 몇몇의 그림들 앞선 그림은 실제 그림으로 생각되어 지며.. 그 다음에 보여지는 그림은 영화에 큰 역할을 하는 그림으로 영화 속의 조직원이 돈 세탁을 위해서 만든 절대 수작...이탈리아 풍이라고 하기엔 스페인 풍에 가까운 듯 하고 예수님이 총을 들고 있는 설정 자체가 정치적으로 읽혀져서 재미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870년, 유화, 루돌프 웨데마의 [라 펨 쉐드 오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극 중에서 마피아가 그린 총을 든 예수님...총도 많이도 쏘셨다...총의 응징을 보면서 예수를 경배하는 신도의 모습들이 지극히 유머러스해 보이지만, 심도 깊은 종교 모독과 정치적 성향이 아닐 수 없다.




by kinolife 2007. 11. 29. 14:3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 : 김중만
시 : 황학주
출판사 : 생각의 나무
2005년 11
가격 : 9,500

병옥씨가 선물로 보내준 CD에 끼어 있는 책을 보고 냅다 읽어 버리고...아프리카에 빠져드는 두 명의 뇌 속으로 들어가 본다.

사람과 자연이 하나가 되어서 살아가는 이 불모의 땅에 대한 두 명의 호기심을 넘어서는 인간적인 관심과 사랑은 도시 속에서 삶을 살아가는 많은 이들이 겪는 심리적인 환란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떠나서 함께 할 수 없지만 내내 동경하고야 마는 땅..그 땅에 대한 김중만의 사진과 그 땅을 보고 쓴 황학주의 시가 함께 어우러져 있다. 선명하고 단순하고 명확한 사진에 비해 조금은 난해하며 개인적인 시선에 다가가 있는 황학주의 시는 조금 난해하다. 갑갑한 방에서 떠나는 먼 사색의 세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 - 김중만

- 임신 검사 -
                     詩 황학주

어차피 우리는 더 낮은 데로 흘러가는 것 뿐이다.
어차피 나를 위해 사는 게 아니다.
무엇으로 보나 몸 앞에 꽁무니 뺄 만한 구실은 없고
미리내가 지나가는 사막처럼 자꾸만 마음은 외롭고 넓다
뉘도 티도 없늠 몸이었으나 태양 아래 홀딱 태울 수 밖에 없어
인간의 잉태는 매양 작은 발처럼 아름답고 위태롭다
우리를 빌려 썼던 죄들보다 더
깊을 만치 캄캄한 데서 뜨겁게 오는 날갯짓
나인데 어느덧 너다

자궁은 웅크리고 앉아 당하는게 아니다
어제의 내 모양을 기억하는 자궁은
생의 어제를 만든 유일한 솟구침이다
뼈가 단단해질 때까지 엉덩이는 누웠다 일어나고
시큰거릴 때까지 바닥을 짚었던 손은 튀어나오고
자궁이 기어코 아기로 부웅 떠오르는 일
어차피 우리는 더 낮은 데로 흘러가는 것 뿐이다
저녁 바람이 저녁을 만나고 가듯이

일샘 아이들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직업을
한때 가지고 싶었잖은가




by kinolife 2007. 11. 29. 10:4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제 : 누구나 죽고 싶을 때가 있다!
그림 : 앤디 라일리(Andy Riley)
출판사 : 거름
2004년 09
가격 : 6,500

시댁에서 게으른 생활을 하고 있던 내가 우연히 아파트 박스 처리처에서 건져 올린 카툰북...
한때 자살 토끼라는 제목 그대로  꽤 인기를 끌었던 영국의 앤디 라일리의 카툰집을 헌책이라고 하기엔 상당히 깨끗한 상태로 발견했다.
역시 간단한 가툰집 담게 아주 잛게 후루룩 씨익 웃으면서 보았다.
보다가 든 생각이지만, 죽기도 쉽잖구나...그렇게 어렵게 혹은 잔인하게..때론 정치적으로 혹은 무의미하게 죽어야 하는 생각을 해 가면서 아주 가볍게 책장을 넘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28. 12:25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 한국, 120분
영어 제목 : Pounds Beauty

감 독 : 김용화
각 본 : 김용화, 노헤영
원 작 : 스즈키 유미코(鈴木由美子)

출 연 : 주진모, 김아중, 성동일, 김현숙
          임현식, 이한위, 서윤, 박노식
          명규, 정윤, 베니, 박휘순
          이수연, 이범수, 김용건, 이원종
          류승수, 김승수

음 악 : 이재학

작년 최고 히트 작 중에 하나인 <미녀는 괴로워>..만화를 읽은 지가 몇년이나 지나서 만화의 내용은 크게 생각이 나지 않지만, 뚱뚱한 여자가 미녀가 되고 난 이후 미녀로서의 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몇몇 가지 장면들이 언뜻 스쳐 지나가는 작품. 국내에서 영화에서 리메이트 된 영화에서는 전신 성형의 이야기에 다시 국내 연예게에서 노래를 하는 가수들의 생활 이면에다 이 이야기를 깔아서 원작과는 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전신성형'
이라는 모티프만 가져 오고 전체적인 이야기는 새로 짜여진 셈인데..보다 영화적인 흥미거리를 녹이기에는 좋은 선택이 아니였나 하는 생각이 든다. 영화가 만화와는 달리 귀가 열려 있다는 걸 생각한다면 지적인 변환이었다. 영화 개봉 이후, 영화도 대박이 나고 음악 역시도 초 대박이 났었으니 결과론 적으론 나이스! 그 자체 인지도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녀 가수의 뒤에서 노래를 부르는 대역 가수 혜나는 자신의 노래를 가치 있게 인정해 주는 한 PD를 사모하고 있다. 물론 끊임없는 혼자만의 울림이기에 큰 기대를 품지 않고 혼자 좋아하는 거지만, 그런 그녀의 재능에 질투하는 가수 아미의 계략으로 인해서 한 PD가 자신의 재능이나 가치를 그저 경제적인 사용 이유 쯤으로 생각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결국은 죽음이라는 배수진을 치고 전신성형 수술을 감행 한다. 막 수술을 마친 이후...울어도 자다가 방금 일어난 얼굴 마저도 여전히 이쁜 자신의 얼굴과 몸을 보고 전혀 믿겨 하지 않는 혜나..말 그대로 미녀로서의 행복한 생활이 시작된다. 얼굴 이쁘니 세상사 이렇게 편한가..그것에 대한 과장된 시선이 무척이나 재미 있지만 일면 씁쓸함도 느끼게 한다. 과장 되어 보이지만, 우리들이 접해서 살아가는 세상의 모습 그대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버릴수도 무시할 수도 피해갈 수도 없는 현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자는 세가지 부류로 나누지...아주 미인..명품..평범한 여자 진품...그리고 니 같이 뚱뚱하고 못생긴 부류..반품..."이라고 말해 버리는 친구의 말 조차도...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것이다. 정신병으로 아파하는 아버지를 위해서 열심히 일하면서 노래를 부르면서 즐겁게 꿈을 키워가는 여자에게 덕지 덕지 붙은 살은 진정한 갈림돌임에 틀림이 없다. 영화가 만화를 바탕으로 굉장히 과장하고 확대해서 표현하고 있다는 건 알겠는데, 너무 뚱뚱하고 수술 후엔 너무 이뻐지는 이 설정을 그저 웃으면서 보고 있어야 하는지 의문이 슬슬 들기도 한다. 사실적인 표현을 버리고 과감하게 극 과장을 선택해서 영화의 재미를 극대화 한 결과 많은 관객들에게 성형에 대한 관심을 높혔지만, 여성에게 있어 외모의 의미에 대한 깊은 성찰은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성형이라는 이슈 때문에 역할을 맡기를 부담스러워 했다는 여배우들을 뒤로 하고 본 영화의 주인공을 맡은 김아중은 탑 배우로 부상했지만, 그녀의 연기나 발음은 내 눈엔 거슬리는 부자연스러움이 느껴지기도 했다. 그 전에 본 드라마의 역할이나 이 영화 속에서의 연기나 크게 발전한 모습을 보이지 못한 점은 아쉬움이 크다. 영화의 특성을 살려서 영화 내의 주제곡을 직접 불러 종합 엔터테이너로서의 가치를 보여 주긴 했지만, 배우로서의 가능성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세 했다. 코미디 영화의 역할에 맡게 변신하는 조연 배우들과 앙꼬로 출연한 배우들의 캐릭터는 영화 안에서 빤짝 반짝 빛난다. 영화보다 더 이슈가 되었던 음악의 가치는 경제적인 이슈...블론디의 노래를 다시 한국에 울려퍼지게 한 가치 등은 오랫 동안 기억에 남을 듯 하다.

빈 말로 저런 몸매와 얼굴로 일주일만...여왕처럼 일주일만 살아봤음 한다는 농담을 영화로 그려내서 많은 여성들에게 대리 만족을 전해 준 영화..시작도 여기였고, 끝도 이 이상을 벗어나지 못하는 킬링 타임용 영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22. 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