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ppy New Year 신년 케익..

입덧이 정언이 때 보다는 조금 심한 편인데..그래서 그런가 진건씨가 몇몇가지 먹을 걸 아주 쬐금 사다주기 시작한 이후..사다 준 치즈 케익..이른바 신년 축하 케익이기도 하다...별뜻 없이 지나면 매일이 아무것도 아니고 의미를 두자면 매일 매일이 의미 있는 나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다시 해본다. 작년엔 우여곡절도 많았는데...올해는 또 어떤 일들이 있을지 궁금하기도 하다. 말 그대로 해피 뉴 이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 2. 21:0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일본, TBS                                                                제 작 : 한국
방영타이틀 : TBS 금요 드라마                                               상영 시간 : 115분
방 영 : 2007년                                                                     제작 년도 : 2005년
감 독 : 요시다 켄 (吉田健)                                                     감 독 : 정윤철
각 본 : 테라다 토시오(寺田敏雄)                                             각 본 : 윤진호, 송예진, 정윤철
원 작 : [달려라! 형진아]                                                        원 작 : [달려라! 형진아]

출 연 : 니노미야 카즈나리(二宮和也)                                       출 연 : 조승우
          타나카 미사코(田中美佐子)                                                     김미숙
          나이토 타카시(内藤剛志)                                                        이기영
          우와모리 히로유키(上森寛元)                                                  백성현
          사쿠라이 사치코(桜井幸子)                                                     안내상
          마츠오카 마사히로(松岡昌宏) 

음 악 : 카사마츠 야스히로(笠松泰洋)                                        음 악 : 김준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눈에 띄는 흥행작..말아톤..역시 실제 인물 배형진 군의 실화를 모티브로 해서 영화화 한 작품이다. 이 본 작품을 2년 이후 일본에서는 특별 드라마로 제작해서 방영했다. 자폐증이라고 하는 특수한 증상을 가진 아이에게 그리고 그런 아이와 함께 평생을 순탄지 않은 일생을 살아야 하는 엄마에게 마라톤이란 어떤 의미가 될까..우리 영화를 본 사람들 혹은 드물게 일본의 드라마를 본 사람 모두에게 절대적인 절망은 인생에 해답이 되지 못한다는 일반론에 다다를 수 있다.


국내에서 제작된 영화의 경우엔 주인공인 형진 못지 않게 그의 어머니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그런 병을 가진 아이 못지 않게 그런 아이를 돌보아야 하는 엄마의 입장이 아주 잘 반영되어 있다. 때론 심한 다그침으로 또 때론 자신을 학대하면서 지내온 시간..단 하나 해주고 싶은 것이 있었다면,본인이 즐거워 하는 일을 하게 해 주고 싶었다는 것을 통해서 어른도 성장해 간다는 것을 보여줘서 현실성이 높게느껴졌다. 한국에서 형진의 경우는 아프티카 추원의 다양한 동물들의 생활에 대해서 죄다 꾀고 있지만 일본 드라마에서는 전철의 생리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그래서 코치들도 그런 아이의 특성을 훈련에 반영하는데 한국의 영화에서의 비유가 보다 더 매끄럽게 처리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코치도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하는데, 운수 없게 장애아 코치로 왔다고 생각하던 한국 영화에서의 코치가 조금씩 아이의 진정성과 열의에 다가가는 모습, 엄마와 티격태격 하면서 신뢰를 쌓아가는 모습 등이 보다 극적 긴장감도 높히고 현실석인 표현으로 다가온다. 전체적으로 작품을 더 긴박하고 현실감 있게 그린 건 한국의 영화 쪽이 더 우수한 듯 보이고, 배우들의 연기 역시도 더 사실적으로 다가온다. 일본 배우들의 연기는 상당히 기존에 보아 오던 것과 같이 도식적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어서 영화에서 느꼈전 뭉클함을 느끼는건 어려웠다.

충분히 영화화할 수 있는 소재를 두 작품 모두..각각의 색깔로 녹여냈지만 전체적인 승리는 한국의 영화...왜 그해 최고 흥행을 기록했는지..조금은 알 수 있다.
by kinolife 2008. 1. 2. 16:58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제 : 시미즈 레이코 걸작선 1
저자: 시미즈 레이코(淸水玲子)
출판사: 서울문화사
총권: 단편
1997. 08 초판 1쇄 발행

약 80P 분량의 짧은 이야기 세 편이 모여 있는 단편선 1편.
1. [노아의 우주선]
은 자연이라고는 사라져 버린 지구를 떠나 자신의 전 재산을 모두 새로운 지구를 구하는 데 쓴 어린 소년의 천재적인 우주 이야기. 자신의 기억을 지우고 새로 입히고 하는 초능력적인 미래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단편

2. [메탈과 신부]
는 버림받는 소년을 키워준 은혜의 사람에 의해 살인병기로 키워진 남자와 그에 의해 제거될 남자의 딸과의 사랑을 다룬 내용..어릴 때부터 자신을 돌보아준 로봇을 사랑하는 부잣집 딸 엘르와 그녀를 지켜주고 싶어서 자신을 죽이러 온 청부업자 J와 결혼을 시키려고 하는 아버지..결국 로봇과 엘르의 사랑을 알게 된 J는 이 둘의 결혼을 위해 자리를 마련해 둔다. 그리고 자신도 버림받은 로봇에서 살인병기로 키워 졌음을 통해 로봇과 인간이 어떻게 사랑을 싹 튀우는지를 보여주는 단편

3. [Funeral March]
몸이 아픈 소녀가 오랜동안 동경한 소년에게 아버지를 통해 맞선을 놓고...짧지만 혼자만의 연애에 빠져든다. 소녀가 오랜동안 동경해 왔다는 것과 몸이 아프다는 것을 다 알게 된 몇 주간의 짧은 만남을 통해서 정이 들어버린 소년과 소녀...중매 결혼이 아니라 몸이 나은 이후 연애 결혼을 하자는 약속을 하면서 끝이 나는 만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3편 모두 아주 짧은 내용에 간단한 이야기들만 담고 있다. 복잡함 없이 짧은 이야기 안에 우주와 로봇과 순수한 10대를 넘나 들면서 만화같은 이야기들을 줄줄 풀어 낸다. 특별한 재미를 담고 있는 단편은 없고 무한한 상상력과 소녀적인 취향을 그대로 들어내는 시미즈 레이코의 성향만은 다시 한 번 더 확인 할 수 있다.

소년과 소녀..아름다운 사람(혹은 로봇) 순정만화의 절대법칙을 그대로 고수하는 이 말랑말랑 만화가의 습작같은 단편들...국내에서 꽤 인기가 있는 작가인지라...이런 단편 모음집까지 다 출간이 되었는가 보다. 앞으로도 여러 편이 더 있는데..어떻게 다른 이야기들을 풀어낼 지 모르겠다. 나의 취향은 아니지만...있으니까 본다고나 할까....일단은 여기까지가 시미즈 레이코 단편선 1의 이야기들...

by kinolife 2008. 1. 2. 01:5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어 제목 : My Father
2007년, 한국, 107분

감 독 : 황동혁
각 본 : 윤진호, 황동혁
촬 영 : 최현기

출 연 : 김영철, 다니엘 헤니(Daniel Henney), 안석환, 김인권, 최종률, 전국환, 이상희, 배호근, 박경근, 이도일

음악 : 강호정

실제 인물을 극화 한 영화로 충분히 영화의 소재가 될 만큼 따끈따끈한 소재를 지니고 있는 인물의 영화화임에는 틀림이 없어 보이는 작품..소재의 접근성이 무척이나 미국적이라는 느낌이 든다. 한국이라는 상황에서만 가능한 이야기지만 그 소재를 찾는 방식이 조금은 미국적이라는 생각. 근래 들어서 영화의 소재를 발굴하는 방식이 한 인물에 가까이 가 있다는 건 작은 영화의 생산이라는 점에서는 반갑다는 생각이 드는데 물론, 그 안에서도 어느 정도의 흥행을 생각한 점이 고스란히 보이기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의 이야기는 해외로 입양된 한국의 입양아가 자신의 친부를 찾기 위해 한국에 입성 자신의 아버지를 찾았지만, 그 아버지가 살인자라는 설정...자신의 과거를 어떻게 할 수 없는 어느 아이에서 이미 어른이 되었지만 역시 무엇 하나 적극적으로 바꿀 수 없는 어느 한 인간의 운명에 관한 이야기...개인적으로 영화의 소재나 이야기 보다는 다니엘 헤니를 보고 싶어서 영화를 기다리도 했다. 영화 외적으로는 실제 영화의 소재가 된 애런 베이츠의 실제 아버지가 어머니와 딸을 동시에 죽인 끔찍한 살인자라는 사실을 통해서 영화가 미화 되었다고 많이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는데, 실제 피해자 측의 상황을 본다면 영화가 지극히 잔인한 면이 없지 않아 있다. 그 구설수는 덕분에 영화가 흥행에 실패하는데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그렇기에 실제 인물을 영화화 할 때는 특히 악명 높은 사람을 영화화 할 때는 더 많은 위험이 따른다는 걸 다시 한 번 알 수 있다.

영화는 슬픈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 인간에 대해서  몇몇가지 극적인 효과를 두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친 아버지를 찾기 위해 자신을 키워준 아버지의 죽음 보지 못한 아들...그리고 힘들게 찾은 아버지가 살인자를 넘어선 살인마였으며, 그 사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노력했지만, 그 남자는 자신을 속이고 그나마 자신의 아버지가 아니었다는 사실....왜 그 아버지를 찾아서 한국이라는 나라에 왔을까...아버지가 누구이든 아버지를 찾고 싶은 한 사람의 마음....그걸 사연 없는 일반 사람들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영화는 끝까지 이 처절한 운명에 한치의 햇살없이 슬픔 속으로 치닫게 해서 영화를 보는 동안 내내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순수했지만, 순수하게 살 수 없는 한 남자와 모든 사실을 다 알 수 없는 아들...아니 어느 먼 세계의 사람... 헤니는 아주 멋있는 모델 출신의 엑스트라가 아니라 배우로 거듭나고 있는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 1. 15:1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후지 TV
방영타이틀 : 후지 TV 목요10시
방 영 : 2007.07.05-2007.

연 출 : 하야시 토오루(林徹)
          하야마 히로키(葉山浩樹)

각 본 : 마에카와 요이치(前川洋一)
원 작 : 타카쿠라 아츠코(高倉あつこ)

출 연 : 이토 미사키(伊東美咲)
          후카다 쿄코(深田恭子)
          오이카와 미츠히로(及川光博)  
          코이케 에이코(小池栄子)  
          미우라 리에코(三浦理恵子)
          우에하라 미사(上原美佐)
       
음 악 : 이시다 카츠노리(石田勝範)
주제곡 : 時の描片~トキノカケラ~by EXIL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슴일 절벽인 걸 그다지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온 아오야기는 어느날 자신의 부하 직원으로 입사한 마리에 때문에 자신의 신체적인 결함이 사회 생활을 포함해서 여자로서 살아가는 것에 어떠한 사건들을 만들어 내는지를 통해서 여자에게 '가슴'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보여주는 드라마.

한가지 소재를 아주 극대화 해서 있을 법한 이야기를 아주 재미있는 코미디로 그려내고 있다. 특히 인간의 역사에서 남자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가슴에 대해서 동경하고 특히 큰 가슴에 대해서 호감을 가지는 건 일반적인 현상이겠으나 일본에서 남성들이 특히 그 부분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걸 들은 적이 있어서 그런지 꽤 많이 확대되고 과장된 표현 역시도 충분히 그럴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을 가지면서 보게 된 드라마였다.

정말이지 얼마나 많은 남성들이 가슴이 큰 여성을 자신의 부인으로 선택할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얼마나 많은 여성들이 남성들에게 사랑을 받겠다는 일념으로 큰 가슴을 선호하는지는 모르겠다. 인생에 있어서 사랑이나 결혼을 중요한 이슈로 생각한다면 만화같은 삶만을 추구하는 등장인물들이 아니라면 역시 외형적인 '가슴'은 중요하지 않다. 그 보다는 그 외피 안에 담긴 '가슴'이 더 중요하다는 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이 있으며 이 드라마 역시도 그 점을 부인 하지는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라마는 백화점의 꽃이라고 하는 1층의 플로어에서 일하는 두 명의 절벽녀와 빵빵녀를 통해서 가슴이 큰 여성이 겪는 에피소드, 가슴이 전혀 없는 여성이 겪는 에피소드를 통해서 작든 크던 꽤 영향을 받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안에서도 가장 이 드라마를 보면서 괜찮다라고 생각한 것이 가슴이 절벽이면서도 가슴 때문에 주목받는 부하 직원을 의식만 할뿐 전혀 거부감 없이 장점을 받아들이려는 주인공 아오야기의 태도, 자신이 가슴이 커다는 걸 알고 있으면서 그걸 이용할 생각없이 정도로 나아가기 위해 매진하는 마리아의 캐릭터 등은 실제로는 가슴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백화점이라는 무대를 통해서 자신의 일을 즐기고 프로로서 나아가기 위한 여성들의 노력이 강조된 점은 드라마를 보는 내내 균형감각을 잃지 않는 유려한 진행의 핵심코드가 아니었나 생각이 된다. 소재를 극대화 한 드라마지만, 소재보다 더 중요한 인생의 방향점을 강조하는 점..그러다 보니 어느 곳 한군데 예를 들면 가슴이 전혀 없는 절벽녀에 치우치거나 가슴이 아주 큰 빤빵녀들에게 치우치지 않고 둘의 균형감각을 찾아가는 것이 별 무리 없이 감상 할 수 있게 한다.

드라마는 가슴이 큰 여자는 여자대로의 인생이 그리고 작은 여자는 작은 여자대로의 인생이...그리고 그 둘 사이에 남자들이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현대 스타일의 워킹우먼들의 세계...그 안에서 득이 되기도 하고 이용당하면서 무시 당하기도 하지만...그건 현실의 모습인 것은 분명하다. 크던 작던 그 가슴을 본인 스스로가 어떻게 생각하는지..어떤 용도로 이해하는지에 따라서 그 의미는 달라진다. 본인의 생각에 따라서 남성들이 그 가슴의 가치를 어떻게 받아들이는 가도 달라 질 것이다. 현대 여성의 삶 안에 있다보니..아이에게 젖을 물리는 의미로서의 가슴의 용도는 전혀 언급이 되지 않지만...사실 여성에게 있어 가슴의 가장 큰 인간적인 용도는 그 점이었다는 점이 요즘은 그냥 화석 처럼 남은 전설과 같이 느껴지기도 한다. 국내 상황을 보더라도...어느 배우가 저 절벽녀를 맡고 또 어느 배우가 저 빵빵녀를 맡으려고 할까...쉽지 않은 문제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30. 09:15

입으로 먹는다기 보다는 눈으로 즐긴다는 표현이 더 어울릴 듯한 화과자...
경미씨가 두번 째로 집에 들리면서 사 들고 왔다. 아직도 우리 집에 오는 것이 불편한 것인지....그냥 크리스피 노넛 더즌이나 빠리 바게트에서 일용할 빵들 한 만원치 담아 오는 것이 더욱 더 생활에는 유용할 듯 한데...어른들할 때 인사 드리러(특히 장모님, 시어머님 등을 처음 뵐 때) 갈 때 많이 사 간다고 하는 화과자를 사 가지고 왔다.

덕분에 내 돈 주고 사먹지 못할 이쁜 찹쌀 떡 몇일 동안 아침 식사 대용으로 먹었다. 먹이에 아깝다고 생각됐는데...손을 대기 시작하니 얼릉 먹고 치워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엔 보다 유용한 양식을 사오던지 그냥 오던지....OK?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28. 04:49
주로 책방의 주인장이 모아 온 듯한 양서의 책들이 아주 깨끗한 모양새를 하고 군데 군데 꼽혀 있는 이색적인 문화공간...주인장의 자리 옆 부분에 있는 차를 만드는 곳이나, 작업실 옆의 취향이 들어다는 피규어 등은 주인장의 성향을 잘 보여주는 듯 했다. 조금 느긋하게 책을 보다가 가고 싶었는데..너무 포근한 의자가 꾸벅 꾸벅 졸게 할 것 같아서 참았다. 집이 근처라면 아이랑 함께 와서 차도 마시고 각자 책도 보고 조용히 놀기도 하고 우연히 만난 친구들이랑 놀려도 좋을 법한 곳이라는 생각을 한 조금은 특이한 헌책방 겸 북까페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주인장이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를 좋아하시나 보네...라는 생각이 저절로 드는 독특한 공간... 나에게 이런 시간이 생기다니..그게 참 좋다는 생각을 하게 한 하루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의외로 찾기가 쉬운 책방 입구 모습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홈페이지 발췌 사진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홈페이지 발췌 사진. 실내 풍경은 찍고 싶었지만, 주인 아저씨가 싫어하실까봐 슬 홈페이지에서 옮겨 와 본다.



홈페이지는 : http://www.2sangbook.com/
by kinolife 2007. 12. 27. 06:02
사랑을 노래하는 노래는 사랑을 노래하지 않는 노래보다 그 수가 작을까? 글쎄..과연 그럴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가 싸이월드 음악의 마케팅 부서에서 일하는 근 2년 동안 매일 나오는 아다마 신곡(업계 용어로 이른바, 대박가수의 신곡이라는 의미) 중에서 '사랑'을 주제로 하지 않는 곡은 참 찾기가 쉽지 않았다. 노래 안의 가사는 차지하고라도 아예 제목에 사랑을 마구 인용해서 마치 이렇게 했는데도 안 살테냐라고 시위라도 하는 듯이 '사랑'을 들이대는 노래들이 넘쳐났다. 오죽 심하면 그게 극에 달한 날에는 '대한민국은 사랑 못해서 죽은 유전자들만이 떠 도는 나라인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으니.....정말 흔하고 별 볼일 없는게 사랑인건가 라는 생각마저 들었었다. 이렇게 사랑이라는 단어에 시니컬 해지는 것도 어느 정도 홍수처럼 쏟아지는 양도 양이지만 그 얄팍한 상술 안에서 가수들이 자신의 입지를 위해서 이런 노래를 양산할 수 밖에 없는 시장의 환경 문제를 좌시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마케팅을 하는 사람이 그걸 무시하고 할 수는 없겠지만, 가능하면 보다 고급스럽게 혹은 색다르게 사랑을 노래 하거나 사랑을 노래하지 않는 걸 바랄 수 밖에....그렇게 사랑은 숨 죽은 나물처럼....식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내가 인생을 통털어서 가장 나에게 맞는 사랑노래라고 생각하는 노래가 하나 있다. 함중아의 "내게도 사랑이"....통속적인 가사에 처절한 자기비하에 마치 당신이 나를 사랑하지 않아도 나는 사랑할 것이라고 외치는 듯한 음색은 나 같은 태생적으로 사랑에겐 루저라고 생각하는 족속들들에겐 슬프지만 위로가 되는 곡이었다. 언젠가 내 나이 50이 넘게 되고, 우리 신랑과 함께 살 붙이고 말 섞으면서 산지 20년 30년이 되고 아줌마 아저씨를 넘어서 할머니가 되면 쭈글쭈글 해진 그 손을 잡고 불러주고 싶은 노래... 간혹 다른 남정네의 지갑 속의 화려한 명함이나 돈...미끈한 외모에 확 했을지도 모르겠지만...그런 나 조차도 당신을 사랑했음을 말해야 한다면 이 노래를 불러주고 싶다. 가사도 별게 없어서 치매 직전이라도 외우기도 좋다.

"1.긴 세월 흘러서 가고 그 시절 생각이 나면 못잊어 그리워지면 내 마음 서글퍼지네
   *내게도 사랑이 사랑이 있었다면 그것은 오로지 당신뿐이라오(반복)
2.시간이 흘러서 가면 아픔은 잊어진다고 남들은 말을 하지만 그 말을 믿을 수 없어

    *내게도 사랑이 사랑이 있었다면 그것은 오로지 당신뿐이라오(반복)"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노래의 색깔을 아주 잘 표현해서 음악까지 차용한 영화가 하나 있는데..역시 내가 아주 좋아라 하는 영환데 역시 루저 스럽게 흥행은 쫄딱 망한 영화였다. 영화 개봉 당시에 영화 쪽에서 일을 하고 있어서 기자 시사회며, 배우들이 회견 하는 곳까지 다 구경했었는데, 당시 주연을 맡은 송윤아의 단아했던 모습이며 똑똑해 보이던 인상이 기억에 스쳐 남는다. 물론 본인은 흥행에 실패 할 것으로 보아 홀대하는 홍보사 관계자들이나 언론의 무관심에도 살짝 섭섭해 하면서도 영화를 하는 일에는 좋아라 하는...일면 인간적인 모습들이 좋았고, 마치 방금이라도 넝마를 어깨에 매고 나가도 좋을 정도의 범상치 않은 심광진 감독의 순수함에 고개가 절로 끄덕여 지기도 했었다. <불후의 명작>... 물론 영화는 보기 좋게 망했고, 요즘 젊은 사람들은 이런 찌질한 사랑을 좋아하지 않는다. 가슴이 콩닥 콩닥 뛰기 전에 벌써 머리 속에선 계산기가 돌아가는 세상이다. 그런 사랑은 얄팍한 제작자와 뇌가 있어도 쓸 수 없거나 이 제작환경을 이겨낼 수 없는 그저 그런 앵무새 재능의 가수들에겐 버거운 현실이다. 그들조차도 그런 사랑을 할 수 밖에 없을 테니...그런 노래밖에 부를 수 없겠다 싶다.

가끔 노래방에 가게 되면 거의 책장을 만지작 거리다가 이내 내려놓고 박수치고 술만 먹는 나지만..어느 정도 술이 들어가고 꼭 한 곡 해야 된다면 지루한 반복이 이어지는 이 노래를 아주 가끔 부른다. 어릴 때는 다른 노래들(이소라, 이수영 등)을 부르기도 했지만....20대 후반 부터는 거의 그러질 않았던 것 같다.  노래를 부르면서 흥이 나는 세상도 아니고....노래 부르는 노동이 사람에 따라서는 어찌나 중노동인지 모른다...

나의 18번 노래..."내게도 사랑이" 내게 있어서는 사랑에 관한 최고의 찬가다. 이만한 진솔함..찾기 힘들다. 죽기 전에 부산 어딘가에서 여전히 노래를 하고 있다는 함중아의 살아있는 목소리로 이 노래를 들을 수 있을까? 음...아마 그런 날을 만난다면 죽기 전에 남을 기억 중 하나가 되지 않을까 싶다.
by kinolife 2007. 12. 26. 06:50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1년, 캐나다, 미국, 111분

감 독 : 제리 주커(Jerry Zucker)
각 본 : 앤디 브렉맨(Andy Breckman)

촬 영 : 토마스 E. 애크만(Thomas E. Ackerman)

출 연 : 로완 앳킨슨(Rowan Atkinson)
          라네 챔프먼(Lanei Chapman)
          존 클리즈(John Cleese)
          우피 골드버그(Whoopi Goldberg)
          쿠바 구딩 쥬니어(Cuba Gooding Jr.)
          세스 그린(Seth Green)
          웨인 나이트(Wayne Knight)
          존 로비츠(Jon Lovitz)
          브렉킨 메이어(Breckin Meyer)
          캐시 나지미(Kathy Najimy)
          에이미 스마트(Amy Smart)
          데이브 토마스(Dave Thomas)
          빈스 비에루프(Vince Vieluf)
          딘 케인(Dean Cain)
          실라스 웨어 밋첼(Silas Weir Mitchel)

음 악 : 조 파웰(John Powell)
         보니 그린버그(Bonnie Greenberg)

국내에서 개봉될 때 예고편을 정준하의 바보스러운 목소리로 더빙해서 홍보효과를 노렸던 것으로 기억되는 제리 주커 감독의 2001년도 영화. 도박장이 웅집해 제대로 돈이 미칠 수 이는 공간을 마련해 둔 미국의 라스베가스를 배경으로 우연히 모인 사람들이 역시 우연히 손에 넣게 된 황금 동전 때문에 시작된 내 돈찾아 레이스를 다룬 경주영화.. 코믹함이 온 몸에 베인 세계적인 코미디 배우들이 이 거액을 향한 레이스를 시작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무런 욕심이 없던 사람까지도 거액의 숫자 앞에서는 혹시 그게 내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눈에 쌍씸지를 켜고 달려든다. 멕시코의 금고에 제일 먼저 도착해서 열쇠를 꼽기만 하면 나의 인생이 달라진다. 머 당분간 제대로 된 생각은 접어두고 달릴만 한 경주가 아닌가...영화 속의 배우들은 불법에 자신의 기존 성격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모하고 그저 달리기 시작한다. 함께 경주를 시작한 사람들의 발을 걸고 뒷통수를 쳐 가면서 필사적으로 이 경주에서의 승리를 위해 달려간다. 각자의 사연은 가끔씩 양념으로 전해지고 생경만 만남도 같은 목적으로 더욱 더 가까워 진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멕시코에 도착한 경주 참가자들은 우와좌왕 속에서 함께 열쇠를 열고 안에 담긴 돈을 서로 나누기로 하지만..지구를 살리기 위한 쇼에 초대 되면서 기분 좋게 손을 털고 이 경주를 함께 햇던 사람들을 다시 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황당무게한 코미디 영화스럽지 않은 결말이긴 하지만 이 상황 역시도 이 상황극이 얼마나 웃긴 것인지를 우회적으로 보여주기에 좋은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초에 이 질주의 시작이 이들을 선수로 해서 또 다른 도박디 벌어진 것임을 아는 관객에겐 이들의 경주가 그저 즐겁기 보다는 조금은 씁쓸한 스타트 였음을 감안한다면 이렇게 스스로 기분 좋게 손을 털 수 이는 상황은 조금이나마 보는 이들에게 인간적인 감회를 느낄 수 있게 하는 부분인지도 모른다. 더욱더 감흥 적인 것은 이 도박을 애초에 감행한 자들의 판돈 까지도 지구를 살리기 위해 쓰이게 되었다는 것 정도?...어찌보면 인생이 도박이고 언제 판돈을 올리고 언제 가지고 있는 전부를 버릴 수 있어야 할지를 가늠 당하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 아낌없는 손털기가 주는 유쾌함은 작은 사고의 전환을 필요할 때 적절한 처방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돈은 좋은데 쓰고 좋은 인간관계만 남은 이 뇌 없는 질주의 결과는 무조건 해피 엔딩으로 봐도 좋겠다. 거액을 받고 나눌 수 있고 또 다 줄 수 있는 것..가장 비현실적인 코드이지만, 영화가 가장 선택하기 좋은 결과인지도 모른다. 영화의 원래 제목이 "쥐들의 경주"라고 하니 조금은 끔찍한 비유이다라는 생각도 든다.

다양한 캐릭터와 여행중의 만남이 주는 다이나믹함, 그리고 나름대로 꽉 짜여진 내용에도 불구하고 제리 주커 감독의 초기 작품에서 느낄 수 있는 과대 코미디적 폭소가 없어서 조금은 아쉬웠던 영화... 그는 보다 더 체계적으로 성장했지만, 영화생활 초입의 그 난잡하고 두서 없는 혼동 속의 황당한 코미디가 조금은 그립다는 생각을 했다. 영화가 취향이고...그의 영화마저 이렇게 깔끔해질 필요가 있나...그런 생각을 잠시 했다. 그 누군가는 잘 만들어놔도 XX이라고 할지고 모르겠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26. 06:16
집에서 일하거나 혹은 조금은 여유롭게 낮시간을 쓸 수 있게 된 새로운 일 덕분에 조금씩 시간을 내서 움직여 보기 시작한다. 그래서 처음 가보게 된 아름다운 가게-연신내 점...연신내 라는 이름만 들어보고 처음 가본 이 강북의 어느 동네...시장을 끼고 쭉 걸어가다 끄트머리에 보이는 녹색 간판이 그냥 반갑기만 했다. 사람들이 쓰다 기증한 물건들 사이에서 내가 지금 필요한 물건을 찾는 묘미는 사실 참 많은 곳에 숨어 있다. 연신내 점에서는 책은 없었고, 그저 그런 시디 한 3장 정도 구입하고 돌아왔지만...햇볕 좋은날 나들이 치고는 나쁘지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26. 0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