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영국, 92분

감독: 제이슨 라이트맨(Jason Reitman)

출연 : 아론 에크하트(Aaron Eckhart)
         마리아 벨로(Maria Bello)
         카메론 브라이트(Cameron Bright)
         아담 브로디(Adam Brody)
         샘 엘리어트(Sam Elliott)
         케이티 홈즈(Katie Holmes)
         데이비드 코에너(David Koechner)
         롭 로우(Rob Lowe)
         윌리암 H. 머시(William H. Macy)
         J.K. 시몬스(J.K. Simmons)
         로버트 듀발(Robert Duvall)
         킴 딕켄스(Kim Dickens)
         코니 레이(Connie Ray)
         토드 루이소(Todd Louiso)
         다니엘 트래비스(Daniel Travis)
         르니 그레이엄(Renee Graham)
         에릭 하버맨(Eric Haberman)
         마리 조 스미스(Mary Jo Smith)
         조엔 런든(Joan Lunden)
         제프 위츠크(Jeff Witzke)   
         마리안느 무엘러레일(Marianne Muellerleile)
         알렉스 디아즈(Alex Diaz)   
         조단 가렛(Jordan Garrett)   
         코트니 테일러 번니스(Courtney Taylor Burness)   
         조단 오어(Jordan Orr)   
         리차드 스파이트 주니어(Richard Speight Jr.)   
         에릭 맬도나도(Eric Maldonado)   
         케이티 홈즈(Katie Holmes)   
         티모시 도우링(Timothy Dowling)   
         데니스 밀러(Dennis Miller)   
         아론 러스티그(Aaron Lustig)   
         멜로라 하든(Melora Hardin)   
         마이클 맨텔(Michael Mantell)   
         스펜서 가렛(Spencer Garrett)   
         얼 빌링스(Earl Billings)   
         캐서린 라이트먼(Catherine Reitman)   
         데이빗 O. 색스(David O. Sacks)   
         브루스 프렌치(Bruce French)   
         로버트 L. 리차드(Robert L. Richards)   
         크리스토퍼 벅리(Christopher Buckley)   
         마이클 칼더(Michael Calder)   
         재클스 드로센나(Jacques Derosena)   
         카렌 다이어(Karen Dyer)   
         닐 페틸(Neil Patil)   
         아로마 라이트(Aloma Wright)

음악 : 롤페 켄트(Rolfe Kent)

원작 : 크리스토퍼 버클리(Christopher Buckley)

지금 미국이 최고의 자유 국가라고 생각하는가? 라는 초등학생의 논술 숙제처럼 우문에 휩싸인 미국의 현 주소를 아주 실랄하게 보여주는 하이 코미디..오래간만에 씩 쪼개며 비웃을 수 있는 영화를 만난 것이 지극히 반가운 정도였다. 영화의 주인공. 아론 에크하트의 연기를 처음 만난 것, 조연으로 출연한 윌이엄 에이치 메이시의 명연을 오래 간만에 만난 것은 아주 소중한 보너스..영화 자체만으로도 훌륭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을 죽음으로 이끄는 대표적인 3가지..술, 담배..그리고 총의 필요성을 대변하는 세 명의 진실한 동지에 관한 작은 에피소드 안에는 미국이 경제적 이익을 독점하는 몇몇의 이기적인 기업 안에서 어떻게 놀아나는지..협회라는 이름의 경제적인 폭력집단과 어떻게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지를 아주 실랄하게 보여준다.

이른바 로비스트라고 대변되는 직업을 가졌지만 실제로는 답배 협회에 소속되어서 담배로 인해 죽어가는 사람들의 외면하며 담배 판매에 도움이 될만한 악덕을 덜 악덕하게 혹은 더 당당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자신의 장기를 들어내는 닉 네일러... 스스로 저당잡힌 자신의 인생의 몫에 살 뿐이라는 이 냉소적인 사람에게도 친구가 있고 아들이 있고 그리고 살아가야 할 날들이 있다. 단 한 사람의 언변에 미국의 사회적인 이슈를 좌지 우지 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영화 속에서 닉이 가진 기술들은 조금 많이 아깝다는 생각마저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네라면 백전백승..미국의 담배 시장의 최고 황제에게 칭찬을 듣는 그런 최고언변의 담배가게 전사에게도 위기는 찾아온다. 자신을 취재하기 위해서 찾아온 미모의 여기자와 동침하면서 자기의 유일한 친구들과의 모임이 지닌 비밀, 회사 안에서 있었던 사건들(암 환자가 되어 버린 말보로맨에게 돈을 전달 한 사건, 헐리우드 최고의 배우들이 담배를 피면서 등장하는 영화를 제작하기 위한 물밑 작업) 등이 그래도 보도 되면서 자신의 로비스트 이력에 절대 위기를 맞는다. 물론 그 위기를 자신이 여기자와의 섹스로 인해서 자기 뿐만이 아니라 주변인들 까지도 물 먹은 사실을 역으로 토로하면서 여기자도 물 먹이고 자신의 다시 로비스트로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 낸다. 로비스트는 단순히 말을 잘하는게 아니고 머리가 비상해야 함은 물론 자기 신조에 따른 요기 조차 필요하다는 점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스로도 담배를 피면서..담배를 피우는 자유에 대한 권리를 옹호하며..나아가서는 본인 스스로가 선택해서 책임 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 닉의 논조 자체가 틀린 점은 없어 보인다. 물론 그의 논조대로 사회와 그 사회 안에 사는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이 자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책임이나 자기 보호에는 나약하다는 점이 문제 인지도 모르겠다. 부족한 사회. 그 사회 안의 나약한 구성원을 위해서 대중을 선동할 수 있는 똑똑한 뇌는 어떻게 쓰이느냐에 따라 담배 판매율을 높힐수도..많은 사람을 암이나 질환으로 죽게 할 수도 있다는 점..그 사악한 진실이 담배만큼이나 섬뜪하게 다가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돈의 지배 논리 안에서 철저히 기생하는 인간들에 의해 좌지우지 되어가는 미국의 현재 모습을 '담배'라는 아이콘을 통해서 표현하는 이 깜찍한 드라마는 썩어가는 미국의 현주소를 우회적으로 그것도 제대로 비웃고 있는 정치 코미디 그 자체이다. 담배가 나쁜것을 알지만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방어하는 닉, 담배의 나쁜점을 홍보하는 것으로써 자신의 정치생활에 이용하는 하원의원, 자신의 몸을 무기로  당대 최고의 로비스트의 정보를 빼내는 여기자, 그리고 그보다 많은 미국을 죽음으로 이끄는 모임의 기존 회원(담배, 술, 무기) + 신참회원(페스트푸드, 각종 식품 첨가물 등등) 등 모든 스투피트 어메리칸 협회와 혐회원이 보여주는 부당하고 부정한 미국의 현 주소란 미국을 죽음으로 이끄는 모임이 주문한 쓸쓸한 성조기 메뉴처럼 몸에 나빠 보이고 또 그만큼 처량해 보인다. 헐헐 입술을 비틀고, 씩 조개면서 보는 이 영화는 쓸쓸한 웃음이 있기에 더 값진 코미디임을 아낌없이 보여준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31. 06:36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121M, Color

감 독 : 코야마 세이지로(神山征二郎)
각 본 : 신도 카네토(新藤兼人)
          토미카와 모토후미(冨川元文)
원 작 : 이츠키 히로유키(五木寛之)

음 악 : 카바사와 미노(加羽沢美濃)
주제곡 :  返信 by 타케우치 마리야(竹内まりや)

출 연 : 이치카와 에비조(市川海老蔵)
          이세야 유스케(伊勢谷友介) 
          우에노 주리(上野樹里)
          시오야 슌(塩谷瞬)
          카시와바라 슈지(柏原収史)
          이사키 미츠노리(伊崎充則) 
          카가와 테루유키(香川照之)
          코테가와 유코(古手川祐子)
          미우라 토모카즈(三浦友和) 
          쿠로다 유우키(黒田勇樹)  
          히라야마 히로유키(平山広行)  
          오다카 안나(尾高杏奈)  
          나가시마 토시유키(永島敏行)  
          타나카 미노루(田中実)  
          타카하시 카즈야(高橋和也)  
          히라이즈미 세이(平泉成)  
          시마오 야스시(嶋尾康史)    

일본의 전쟁에 대한 모든 기록에 담긴 영화는 일본의 자국민에게는 과장된 애국심을, 그렇지 않은 타국의 사람들에게는 자신들의 고통만을 호소하기 위해 만드는 것 같다.  일본의 작가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해서 영화와 된 본 작품은 고등학생, 대학생 야구와 육상선수라는 활력 넘치는 청년까지 전장터로 보낸 일본의 악랄함을 한치의 반성없이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본 영화에 관한 국내 리뷰에는 "반일감정 백배"라는 단어 하나로 영화에 대한 전반적인 분이기를 바로 읽을 수 있다. 정말이지 반성없는 이들의 이런식의 추억담화를 담은 전쟁영화는 물린다는 단어가 저절로 토해져 나온다.

비교적 기존에 만들어진 영화에 비해서 전쟁 내부에 있는 인물들의 비정상적인 면(자신이 가난한 농군의 아들이었으므로 전쟁에서의 죽음을 통해 일본의 군신이 되어 계급 상승을 하고 싶다고 토로하는 캐릭터)이라거나, 자신의 청춘에 대한 아까운 느낌을 그대로 전해주는 부분이나. 주인공의 아버지가 가지고 있는 적(미국이나 영국)에 대한 인간적인 의견이 담긴 향수...혹은 국가의 승리보다는 자신이 좋아하는 선배의 죽음을 방치하고 싶지 않은 인물상 등은 지극히 인간적이며..자국내의 자성을 어느 정도 인식 한 면 등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문제는 일본내에서 제작되는 태평양 전쟁을 무대로 한 대부분의 영화들이 역사적인 사실에 주안점을 둔 자기 반성이라거나..국제 사회에서의 일본의 이미지 혹은 역사적인 사실- 왜 전쟁을 했었어야 했냐-라고 하는 자기 반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보다 어리고 보다 잔인한게 자국민을 전쟁에 내볼 수 밖에 없어서 얼마나 애처로우냐 라는 식의 영화속 인물의 과장을 통한 인간애 호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에 자국민을 제외하고는 이해의 폭을 줄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전쟁에 가장 큰 영향 안에 있었고..역사적인 고통을 당한 우리 나라 관객들에게는 더더욱 토 나올만 한 설정이 아닐 수 없다. 막말로 너네가 이길려고 막판에 저지른 만행을 왜 우리가 안쓰러워 해야 하냐! 라고 한다면 할말이 없는 게 바로 이런 류의 영화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는 반성을 담고 있는 듯 하지만..반성보다는 슬픈 회고나 자기 면피를 위한 소극적인 발상으로 밖에 다가오지 않는다. 실제 이런 연기를 하는 젊은 배우들의 시각 역시도 크게 차이 나지 않을걸로(영화와 비슷하거나 내용도 모르고 연기하는) 예상되는데..과거 자신들의 잘못된 역사를 스스로...그리고 해당국에게 절실히 반성없이 힘과 돈으로 새 역사를 쓸려는 국가가 일본임을 감안한다면 머 그렇게 놀랄만한 사실도 아니다.

반성보다는 면피라는 전국민적인 모토 속에서 만들어지는 반성의 영화라는 것이 주는 한계는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한계와 별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카이텐이라고 하는 인간 어뢰에 관한 이야기 자체가 영화적인 소재가 될수는 있겠지만, 영화 속에 녹아 있는 인물들의 참상이 주는 인간적인 아픔이 일본의 역사가 잘된 것, 혹은 어쩔 수 없었던 것으로 미화 될 수 없음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니 영화는 이미 한계를 안고 바다 속으로 뛰어든 영화 속의 카이텐과 결코 다를 바 없다. 아울러 반성하지 않은  사람들이 새롭게 써 나가는 역사에 출구가 있을리 만무하지 않은가 !!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29. 00:28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The Philosophy of Andy Warhol From A To B Back Again
글: Andy Warhol
번역: 김정신
출판사: 미메시스
2007.05 초판 1쇄
가격: 15.000원

아주 특이한 예술가.
현대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미국의 대중적인 아티스트

앤디 워홀의 그 다운 철학이 담겨 있는 독특한 책..초반엔 책장이 좀 안 넘어갔었는데..집중해서 읽다 보니 금방 다 읽어버린 책이다. 그의 생각, 예술작품..인생 모두가 영화와 같은 이야기 충만 컨텐츠 임을 다시 한번 재 확인 할 수 있는 책이다.


- 책 속의 글 -

"죽음에 가까이 간다는 것은 실로 삶에 가까이 가는 것과 같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지요. 삶이 곧 무(無)이니까요."

"1960년대에는 모든 사람이 모든 사람에게 관심을 가졌다.
 1970년대에는 모든 사람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끊었다.
 1960년대는 혼란이었다.
 1970년대는 아무것도 없는 공허였다. "

"가장 재미있는 일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거야. 누군가와 사랑에 빠져도, 사랑을 하지 않는 거지. 그게 훨씬 더 재미있어."

"연애는 너무 많은 것을 소모시킨다. 하지만 그것은 그럴 만한 가치가 없다. 어쩌다 연애 감정을 느끼게 되면, 상대방이 당신에게 쓰는 만큼의 시간과 에너지만 쏟아라. 말을 바꾸면 "네가 주면 나도 주겠다."

"그러다가 그때 나이 마흔에 갑자기 사람들의 인생이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아이로 살아가는 시간이 지금보다 훨씬 더 길어야 한다. 지금 우리는 너무 긴 시간을 살고 있으니까.
삶이 길기 때문에 모든 오래된 가치와 그 가치들의 적용이 쓸모 없어 지는 것이다.사람들이 열 다섯 살 때 섹스를 배우고 서른 다섯 살에 죽는다면, 여덟 살에 섹스를 배우고 여든 살에 죽는 요즘 사람들보다 훨씬 문제를 적게 겪을 것이 분명하다. 같은 콘셉트를 가지고 놀기에는 긴 시간이다. 똑같은 지겨운 콘셉트. 자식을 진정으로 사랑하고, 그들의 인생에서 겪을 지겨움과 불만족을 되도록 줄여 주고 싶은 부모라면, 가능한 한 늦게 데이트를 시작하게 해주고, 더 많은 시간을 무언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살게 해주어야 할 것이다."

"사랑의 조짐은 당신 내부의 어떤 화학적인 요소들이 잘못될 때 온다. 그러므로 사랑에는무엇인가 있는 것이 틀림없다. 그 화학적인 요소들이 당신에게 무언가를 일으키기 때문에 그렇다."

"나는 실제로 <미인들>에게는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내가 진짜 좋아하는 사람들은 <토커, 말 잘하는 사람들>이다. 내 눈에 비친 토커들은 아름답다. <잘 하는 말>은 내가 좋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단어 자체가 내가 왜 미인보다 토커들을 좋아하는지, 내가 왜 촬영보다 녹음을 더 좋아하는지 보여 준다. 수다스러움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토커들은 무슨 일인가를 하고 있지만 미인들은 그저 무언가로 존재할 뿐이다. 그것이 꼭 나쁘다는 것은 아니고, 그들이 어떤 존재로 있는지를 내가 모른다는 사실이 문제이다. 무슨 일인가를 하고 있는 사람들과 같이 잇는 것은 더욱 재밌는 일이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28. 23:36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감독이 되고자 하는 사람에게 오늘날 내가 할 말은 간단하다. 영화를 만들라"

"영화 감독에게는 직업 면에서나 윤리 면에서나 여러 가지 의무가 있다. 그 중 하나는 끊임없이 탐구하고 연구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감독도 스스로 가끔 즐겨야 한다는 것이다. 영화 감독의 세 번째 임무는 아주 간단하다. 자기가 그 영화를 왜 만드는지 되돌아 보는 일이다. 처음 대답에 만족하지 않고 계속 되물어야 한다. 내가 처음 영화를 만든 이유는 그럴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 외에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었다. "

"영화의 내용에는 두 가지 차원이 있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카메라 앞에  두는 게 보이는 것이다. 보이는 것 외에 아무것도 없다면, 텔레비젼용 프로그램이다. 나에게 진짜 영화란, 보이지 않는 데 있는 것이다. 그 보이지 않는 부분을 통해 발견과 깨달음이 생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보이는 부분을 특정한 형식에 따라 꾸며야 한다." - [거장의 노트를 훔치다 : Moviemakers' Master Class] 중에서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28. 06:47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리즈명 : 연기자(演技者)

연출 : 오오네 히토시(大根仁)
         우치다 에이지(内田英治)
각본 : 모리카쿠 타케유키(森角威之)
원작 : 모리카쿠 타케유키(森角威之)

출연 : 요코야마 유우(横山裕) 
         마츠모토 마리카(松本まりか) 
         모리시타 아이코(森下愛子) 
         유게 토모히사(弓削智久) 
         카미지 유스케(上地雄輔) 
         우스다 아사미(臼田あさ美) 
         오카모토 유키코(岡元夕紀子)
         사이토 가쿠
         오카모토 유키코(岡元夕紀子)
         타니가와 이사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극과 드라마의 조합이라는 특색을 내세운 20여분의 단막극을 4회로 나눈 시리즈.
극 시작에도 알리듯이 연극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고스란히 드라마화 했다는 신선함은 있으나 그게 전부인 드라마이다. 연극의 특성을 최대한 살린 과장된 액션과 배우들의 오버된 목소리 톤, 조금은 부자연스러워 보이는 극전개 등이 드라마 속에 있는 연극적인 요소들을 최대화 시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만난지 3일 밖에 안된 여자 친구와 함께 살고 싶은 욕망에 홀로 독립생활을 시작한 철없는 아들과 그 아들 못지 않게 황당한 성품을 지닌 엄마의 이야기에,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소중한 집을 남자 주인공에게 빌려주기로 한 집 주인 처자의 집 지키기 이야기와 이삿짐 센터 직원과의 러브러브 이야기. 함께 이사를 도와주러 온 남자 주인공의 친구들과 이들의 간단한 연애 스토리가 이 극의 주된 플롯이다.

신선한 소재도 애정어린 캐릭터도 없이  약 90분에 달하는 본 시리즈는 젊은 청춘과 인생의 또 다른 시작에 대한 우화를 아주 지루하게 풀어낸다. 아주 특이한 엄마의 캐릭터나 그 캐릭터 못지 안은  남자 주인공의 여자 친구...그리고 이 엄마나 여자 친구와의 이상할 정도의 친밀감은 극도의 우연이 만들어내는 또 다른 식상함이다. 짧게 진행되고 역시 짧게 끝이 난 스토리가 덜 부담 스러웠던 드라마.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24. 12:55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토리보드는 고속도로와 같다. 경치가 좋거나 빠른 길로 가기 위해 가끔 고속도로에서 벗어나려고 하지 않나. 그렇다고 처음부터 우회도로만 따라가기로 결정하면, 길을 잃고 막다른 길에 이를 위험도 많다."

"자기 자신을 위해 영화를 만들라. 절대 필수다. 감독은 첫 관객인 자신을 위한 영화를 만들어야 하는데 , 그 영화를 보고 감독 자신이 즐겁지 않다면, 다른 사람도 즐거울 수 없다. 영화 만들기의 공식에 대해 많이들 이야기한다. 그러나 내가 아는 유일한 공식은 '성실'이다. 성실하다고 훌륭한 영화가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성실이 없다면 실패는 확실하다. 자신은 좋지만 관객은 거부한 영화를 만든 경험은 쓰라리다. 그러나 내가 몇 편의 광고를 만들면서 경험한 바는 자신이 보기에는 만족스럽지 않지만 다른 사람이 훌륭하다고 말한 것을 만들었을 때, 훨씬 더 쓰라리고 좌절한다."- [거장의 노트를 훔치다 : Moviemakers' Master Class] 중에서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24. 07:54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성석제
시리즈 : 작가정신 소설향 8
출판사: 작가정신
1990.07.10 초판 2쇄

소설이라기 보다는 성석제의 세상에 대한 불만 토로 쯤으로 볼 수 있는 단막글의 모음집같은 글들이 모인 책...

소설집이라고 하니..아주 아주 단편 초 단편의 소설집 정도로 해 주자. 그의 글쓰기에 비해서 조금 독설만이 남은 조금은 공허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 책 속의 글 -

"음. 좋다. 나를 보고 사람들은 구름구두를 신고 다닌다고 한다. 일주일에 한두 번은 국제선 비행기를 타고 구름 위에 올라서니 그런 이야기를 듣는지도 모른다. 음, 바람처럼 구름처럼 산다는 게 내 신조다. 어차피 인생은 내 뜻대로 온 것이 아니고 내 뜻대로 가는 것도 아니다. 당신이 짐작하는 대로 나는 보따리에는 가볍고 값나가는 것만 넣는다. " -구름구두를 신은 사나이의 이야기- 中에서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24. 06:21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소주영, 박미애
출판사: 넥서스
2007.06 초판 1쇄
가격: 12.000원

7월 중순 가족들과 함께 갔던 북경 여행을 위해서 미리 사서 읽었던 책...책 속의 북경 뒷 고목에 관한 이야기는 충분이 매력이 있었으나, 실제 여행사의 팩키지 상품으로 떠난 중국 북경의 여행지는 사람구경..장사꾼 구경이 다 였던 것 같다. 돈은 돈 대로 쓰고..그냥 쓱 나들이 정도를 다녀온 느낌이라 마음이 묵직한 것도..그렇다고 다양한 체험들이 쌓인 느낌도 없다.

물론 이 책 속의 이야기는 북경에서 살아가는 저자들의 삶에 비춘거라 궂이 여행의 실제 모습과 비교하는 것은 조금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가볍고 무료신문의 간단한 연재 정도의 수준의 말캉한 이야기가 슬렁슬렁 책 안에 담겨 있다.

이 책을 보지 않고 중국을 만나는 게 더 좋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생활과 여행에는 아주 큰 차이가 있으니까...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22. 19:2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형태 : TV 다큐멘터리
방송사 : KBS

처음 아기를 가졌을 떄 참고로 보라고 남편이 준 동영상을 아이가 태어나고 2년이 다 되고서야 보았다.
일종의 태교에 대한 가이드 정도로 볼 수 있겠는데..예시로 표시되는 년도가 2000년이니..벌써 10년이나 지난 영상물로 추정(?) 된다. 어느새..10년...정말 지난 7년은 유독히 빨리 간 것 처럼 느껴진다.

뇌에 관한 인간의 관심이 비교적 구체적인 교육법으로 연결되는 여러가지 태교, 유아 교육법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상당히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기 때문에..어느 하나를 산모나 부모가 의식적으로 선택해서 꾸준히 해야만 효과가 있을 것 같은 생각은 바로 든다. 물론 그런 교육 안에는 수많은 돈과 시간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 한...뇌의 과학을 통해서 본 빈부의 격차를 보는 듯이 굉장히 이질적인 부분이 없지 않았다.

실제 어느 부분을 실행활에 녹여서 아기의 교육에 그리고 늙어가는 나의 뇌에 탄력의 한 기반으로 활용할지는 정말이지 무거운 마음의 숙제로 남는것 같다.  충분히 흥미로웠지만..그만큼 부담감이 커지는 다큐멘터리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22. 19:11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든 영화의 출발에는 아이디어가 있다. 그 아이디어는 언제라도, 어디서라도 나타난다. 거리에서 사람들을 보다가 생기는 수도 있고, 책상 앞에 혼자 생각하다가 떠오를 수도 있다.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아무런 아이디어도 없는 메마른 시기에는 영화로 만들기 좋을 아이디어가 다시 떠오를 때까지 또 다시 몇 년을 기다려야 할지 모른다. 나도 5년을 기다린 적이 있다. 필요한 것은 불꽃이 튀는 오리지널 아이디어다. 그런 아이디어를 찾으면 그 아이디어를 미끼로 다른 것들을 모두 꼬드긴다. 그러나 감독이라면 무엇보다 본래 아이디어를 잊지 말아야 한다. 많은 장애물과 만날 터이다. 시간이 지나면 많은 생각이 마음속에서 지워질 수 있다. 그러나 영화는 마지막 장면을 편집할 때까지 마지막 음향을 믹싱할 때까지 끝나지 않는다. 아무리 작은 결정이라도 결정은 모두 중요하다. 그리고 모든 요소가 작없을 진행시킬 수도 혹은 지연시킬 수도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에 열려 있어야 하고, 동시에 자신의 본래 의도에 항상 주의를 집중해야 한다. 새로운 제안의 가치는 그 본래 의도가 기준이 된다."

"특정한 역을 연기할 배우를 찾는 일은 어렵지 않다. 꼭 맞는 배우를 찾는 일은 어렵다. 어떤 역할을 훌륭하게 연기할 배우는 예닐곱 명이 될 것이다. 그러나 다들 조금씩은 다르다. 어찌 보면 음악과 같다. 같은 음악을 트럼펫으로 연주할 수도 있고 플루트로 연주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악기 모두 멋진 음악을 만들어 내겠지만, 그 방향은 각기 다르다. 어느 쪽이 더 좋은지는 감독이 결정을 내려야 한다"

"내가 특정한 스토리라인과 인물의 성격을 좋아하는 바는 확실하다. 일부러 그러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는 것을 항상 나중에 깨닫는다. 하지만 집착에 대해 생각할 필요도 없다. 결국 집착이란 스스로도 어쩔 수없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기가 천착하는 것에 대해서만 뜻 깊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사랑에 빠져야만 이야기도 인물도 창조할 수 있다. 연애와 같다. 영화도 마찬가지다. 그 정도로 집착해야만 감독의 결정이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집착을 피하려고 애쓸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받아들이고 탐구해야 한다."- [거장의 노트를 훔치다 : Moviemakers' Master Class] 중에서
반응형
by kinolife 2007. 7. 19. 1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