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Up Above & Down Below
글 : 수 레딩(Sue Redding)
그림 : 수 레딩(Sue Redding)
출판사 : 마루벌
2007.06월 재판 1쇄
가격 : 8,500


지상을 기준으로 지상과 지하의 모습을 따로 따로 나우어서 보여주는 그림책..각각의 내용으로 잘 나뉘어져 있다. 귀여운 그림에 다양한 상황들이 많은 이야기거리를 담고 있는 책..화려한 색상이 아이들의 눈에 바로 들어올 듯한 구성이다.

지하철에서 숲에서 마을에서 각각의 상황을 두고 모두 땅을 기준으로 위와 아래가 나뉘는 점은 다양한 이야기거리를 내포하고 있는 셈..재미난 그림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8. 15. 13:0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랑과 신뢰, 합의는 믿지만 결혼은 믿지 않아요." - [코스모콜리탄] 중에서

"결혼은 변호사들이나 어머니들 한테는 대단해 보일지 몰라도, 남편이나 아내되는 사람들 한테는 그렇지 않아요."- [수잔 서랜던:여배우 혹은 투사]-마크 샤피로 중에서
by kinolife 2007. 8. 14. 12:38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한국, 121분

감독 : 윤종빈
각본 : 윤종빈

출연 : 하정우
         서장원
         윤종빈

  삽입곡 : Sleep the Clock Around By Belle And Sebastian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넌 어른이 먼저 되어야 해..."

철없는 남자들을 철들게 한다는 장점을 피력하는 군대에서 벌어지는 갑갑한 일상에 대한 다큐 보고서 같이 극명한 영화. 한국 인디 영화의 놀라운 신선함이 담긴 영화다.

군대라는 협소한 장소의 조금은 극적이다 못해 극단적인 죽음에 관한 이야기지만, 실제로는 몸은 성인이나 서로 소통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 대한 담화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영화의 메세지 전달은 강렬하다. 남자들이 하는 군대 이야기와 축구 이야기 만큼 여자들에게 지루할게 없다지만, 서로의 심리 상태나 개인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받아들지지 못하는 조직내에서의 인간상이라는 데에서 군대라는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영화속의 이 현실은 정말이지 끔찍한 한편의 코미디가 아닐 수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쫄다구일땐 아낌없이 까이고, 다시 상사가 되면 고대로 자신의 쫄다구에서 내림한다는 이른바 '가학의 역사'는 협소한 공간과 정해진 규율 안에서 집단 생활을 하는 인간들의 공통된 습성일까..아니면 낙후한 시설과 유난히 인간적인 교감이 강조되는 한국의 병영에서만 벌어지는 특수한 일일까 근본적으로 궁금한 부분이 있지만, 영화에서는 이른바 고문관이라고 하는 쫄다구와 그 쫄다구를 인간적으로 대하려는 상사, 또 그들을 바라보는 병영의 다른 사람들과의 소소한 일상들이 무척 사실적으로 그려진다. 몇몇 답답함으로 무장한 코믹한 장면들이 병영 내의 깝깝함을 대변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눈치 없고 사태 파악에 둔한 한 인간에 대한 집단적인 의견통합을 보여 주는 건지도 모르겠다.


"꼬박 꼬박 말대꾸 하네~"라고 하는 반항에서 시작된 집단 규율위반이 결국엔 전체 부대원 내에서 섞이지 못한 한 존재로 내비쳐지며 결국엔 위 상사에게까지 인간적인 심리 변화를 겪게 한다. 외부적으로 개인적인 문제들 역시 이들 안에서는 소통의 주제가 되지 못하고 각 개인에게 고립의 원인으로만 남는다. 영화는 젊은 청춘에게 연인과의 이별을 감내하지 못한 이 패쇄적인 스타일의 청년에게 자살이라는 극명한 처방을 내리게 되고 영화는 단순히 느리고 사태 파악이 잘 안되는 미숙한 부대원 이야기가 아니라..그런 한 사람을 인간으로서 인정하고 받아들이지 못하는 군대라고 한정적인 조직에 내의 군대의 기제에 대해서 반문하는 것이다. 이 영화가 가지고 있는 놀라운 점은 그런 개인의 답답함을 통해서 충분히 영화속에서 고문관의 존재에 대한 다른 병영 식구들의 상태(이른바 영화의 주인공 태정과 같은)와 같이 문제를 느끼고 동조하면서도 사회적으로 나약하고 도태되어 가는 인간(영화 속의 한지훈)을 구해내지 못한 기제에 대한 반감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쟤 진짜 고문관이다...그래도 그걸 군대가 받아듣이지 못하는 것인가 라는 동감과 반감의 공존이 이 영화가 사회 문제에 대해서 영화가 직접 화법으로 던진다는 점에서 놀랍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의 부하 직원의 자살을 막아내지 못했다는(방조했다는 죄책감으로 괴로워 하는) 사실에 불안해 하는 승영은 자신의 상사이자 중학고 동창인 태정을 만나 그 괴로움을 피력하려고 하지만 자신 역시 병영에서 비이성적인 규율들을 받아들이지 못했던 것 처럼 태정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실패하고 자신의 괴로움을 이겨재지 못한다. 각각의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입장과 처지..혹은 조직에서 하나의 도구나 구성원이 되지 못하고 표류하는 인간의 한계가 너무나 극명하게 드러난다. 한 편의 영화라고 하기엔..썸뜩함과 안타까움..그리고 영화 속의 디테일한 표현들이 놀라운 영화. 영화를 다 보고 또 한 노라운 것. 이 영화의 각본과 감독을 맡은 친구가 바로 영화속의 고문관 역할이라는 것..계속해서 놀라운 영화다.

by kinolife 2007. 8. 14. 05:09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 이은숙
그림 : 이은숙
출판사 : 마루벌
2007.03월 재판 1쇄
가격 : 8,500

많은 동물 친구들은 밤에 어떻할까..모두 다 잠드는 걸까? 잠들지 않는 동물들은 뭘 하는 걸까..밤에 자는 동물들은 어떻게 자는지..자지 않는 동물들은 뭘하는지를 보여주는 동물 관찰 그림책이다.

기존의 그림책에 단순한 그림에 의존한 것에 비해 이 그림책은 천으로 오려 붙이고 그 위애 다시 그림을 그리고 해서 투박하지만 새로운 방법으로 표현했다. 아기자기하고, 화려한 맛 없이 뭉텅 뭉텅 단순하게 표현한 모습이 어떤 이미지로 아이들에게 느껴질지는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8. 13. 12:56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미국, 135분

감독 : 낸시 마이어스(Nancy Meyers)
각본 : 낸시 마이어스(Nancy Meyers)

촬영 : 딘 컨디(Dean Cundey)
음악 : 한스 짐머(Hans Zimmer)

출연 : 카메론 디아즈(Cameron Diaz)
         케이트 윈슬렛(Kate Winslet)
         주드 로(Jude Law)
         잭 블랙(Jack Black)
         엘리 웰라치(Eli Wallach)
         루퍼스 스웰(Rufus Sewell)
         에드워드 번즈(Edward Burns)

         미피 잉글필드(Miffy Englefield)
         엠마 프리차드(Emma Pritchard)
         사라 패리쉬(Sarah Parish)
         샤닌 소사몬(Shannyn Sossamon)
         빌 머시(Bill Macy)
         셜리 버맨(Shelley Berman)
         캐서린 한(Kathryn Hahn)
         존 크래신스키(John Krasinski)
         알렉스 오로린(Alex O'Loughlin)   
         오뎃 유스트만(Odette Yustman)   
         번들 윌리엄즈(Bundle Williams)   
         수잔 디즌(Suzanne Dizon)
         테리 디아브(Terry Dia)   
         케네스 댄지거(Kenneth Danziger)   
         홉 릴리(Hope Riley)   
         길버트 이스퀴벨(Gilbert Esquivel)   
         스티븐 브런스(Steven Bruns)   
         닉키 노박(Nikki Novak)   
         주디스 드레이크(Judith Drake)   
         파멜라 던랩(Pamela Dunlap)   
         핼 더글러스(Hal Douglas)   
         제이 심슨(Jay Simpson)   
         시오반 페스타노(Siobhan Pestano)   
         사라 플린드(Sarah Flind)   
         마리나 모건(Marina Morgan)   
         리디아 브란코(Lydia Blanco)   
         패트릭 카바노(Patrick Cavanaugh)   
   
         더스틴 호프만(Dustin Hoffman)-cameo
         린제이 로한(Lindsay Lohan)-cameo
         제임스 프랭코(James Franco)-cameo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리스마스에 개봉한 또 하나의 로맨틱 코미디..코미디라고 하기엔..조금 그렇지만...
마치 영화 <러브 액츄얼리>의 미국판을 떠올리게 하는 영화 <로맨틱 할리데이>. <러브 액추얼리>보다는 20% 부족하지만, 단순한 비교분석에서 그렇고 나름의 색깔은 있는 영화다. 카메론 디아즈, 주드 로, 케이트 윈슬렛, 잭 블랙이라는 화려한 캐스팅에 한스 짐머의 음악까지..영화의 주인공들이 가지고 있는 영화 예고편 제작자, 잡지 편집인 등등까지 영화를   보는 관객들을 위한 화려함이 크리스마스 선물같은 편안한 영화다.

뉴욕의 아만다와 런던의 아이리스는 햔재의 자신에게 염증을 느끼고 자신만을 위한 크리스마스 여행을 고민 하던중, 집 바꾸기 사이트를 통해서 딱 2주 동안 서로의 집을 바꾸기로 한다. 아만다는 자신의 남자 친구가 일에만 빠진 자신을 뒤로 하고 다른 스탭과 놀아난 것을 알고 남자 친구에게 이별을 고한 상태이며, 아이리스는 3년 동안 자신과 함께 했던 짝사랑의 존재가 발표한 약혼에의 충격을 피하기 위해서 이 집 바꾸기 이벤트에 동참을 한다. 각자 후련하지 못한 마음을 가방에 담고 비행기에 오르고..아이리스는 뉴욕의 너무 큰 저택에 또 다른 하나 아만다는 이국적이면서도 아담한 영국의 환경을 신선함으로 받아들이고 새로운 기분에 젖어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리스의 오빠 그레험은 평상시 처럼 만취한 상태에서 아이리스의 집으로 찾아오고, 아이리스가 아닌 아만다를 보게 된 그레험은 자연 스럽게 서로에게 끌려 화끈한 첫 만남을 가진다. 그날 이후 아만다가 런던에 있는 2주 동안 호기심 가득한 서로에 대한 탐구가 계속된다. 상처한 이후 다정한 아빠로서 가장으로서 바쁘게 살아가는 그레이엄, 이에 비해 일에만 미쳐서 사랑했던 남자친구가 떠나는 날 이별의 눈물초자 흘리지 못했던 아만다는 그레험의 딸과 함께 하는 시간, 그레험과의 따스한 대화를 통해서 삶에 대한 또 다른 시선을 느끼게 된다. 런던에서의 클래시컬한 삶은 아만다에게 삶에 대한 기본적인 수칙들..느끼고 생각하고 기억하면서 사는 것에 대한 소중함을 서서히 일깨워 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 다른 지구의 반대편 뉴욕에서는 거대한 저택과 역시 거대한 집의 기제들에 의해 편리한 생활에 빠져 있던 아이리스는 옆집 할아버지의 손을 부축해서 집에 바래다 드리는 작은 선행을 통해서 뜻하지 않은 인연을 맺게 된다. 과거 헐리우들에서 시나리오를 썼던 아서의 집에서 이른바, 오스카의 명장을 만나 뛰어난 과거 헐리우드 영화에 대한 감상을 듣고 코치를 받게 된 것. 말 그대로 뉴욕의 대 저택에서 헐리우드를 그대로 체험하고 있었던 것,  뉴욕에서의 생활 중에서도 제스퍼가 자신을 이용하고 있다는 생각에 빠져든 아이리스는 서서히 새로운 삶에 힘을 받아 강인한 여성이 되어 가고 있다. 아서의 기념회를 위해서 아서의 걸음걸이를  도와주고, 명작 영화에서 좋은 대사를 음미하며 아만다의 친구인 마일즈에게 좋은 영화음악들에 대한 감상도 들은 아이리스는 헐리우드 영화같은 화려한 삶 속에서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서서히 터특해 나가고 있었다. 재스퍼를 극복하는 체험을 하고 있는 아이리스는 영화 같은 삶을 통해 바보 같았던 자신의 과거에 마침표를 찍는다. 아서의 기념회의 감격도..역시 아이리스 만큼이나 자기애가 부족했던 마일스의 관심도 아이리스에겐 재스퍼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얻게 된 전리품인지도 모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만다는 아이리스의 오빠 그레험과 아이리스는 아만다의 동료 마일즈와 사랑에 빠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단순한 집 바꾸기가 새로운 가정을 꾸려 모두 가족이 되기 프로젝트가 되어 버리는 과정을 별 무리 없이 보여준다. 사랑은 이미 짜여진 각본처럼 우연히 벌어지고 모두에게 우연 안에 담긴 필연적인 느낌들을 전해준다. 영화는 이들에게 이미 정해진 것 같은 사랑의 결과물들을 남겨 주지만, 아이리스에겐 재스퍼를 뛰어 넘는 결단의 결과로 주어진 것이며, 아만다에게는 일이 아닌 스스로가 소중한 존재임을 깨닫는 과정을 통해서 사랑을 얻게 된다는 것은 비교적 자연스러운 인생의 비법인지 모르겠다. 스스로를 사랑하는 방법을 알 고 있는 자들에게만 주어지는 마법같은 비밀. 이 영화 속에 담긴 사랑들은..크리스마스에 어울리는 소재이며 크리스마스 적인 영화 바로 그 자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연스러운 전개를 보여주는 나름 세련된 영화 로맨틱 할리데이는 결혼 전, 다양한 사랑을 경험하는 청춘들에겐 좋은 사랑영화 중 한편이다. 물론 영화 속에서 그런 통과 의례를 겪고 있는 4명의 배우들의 이젠 늙어가고 있구나 라는 한탄을 느낄 수 있는 부분들은 역시 아쉬움으로 남는다. 사랑하게 된 배우들에게서 사라져 가는 풋풋함이란..내가 늙어가는 또 다른 증거인지도 모른다. 나이가 들었다고 사랑을 못하는 것도 아니고 나이가 들었다고 모두 다 철이 든 것이 아님을...자기 성찰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값진 사랑에 대한 작은 에피소들이 모인 평범해 보이는...그래서 그 소박함이 마치 헐리우드 영화의 교과서처럼 이루어진 가장된 담백함!! 뻔한 거짓말처럼 익숙한 영화의 법칙들이 고스란히 담긴..익숙한 그 맛 그대로를 담고 있는, 새롭진 않지만, 나쁘지 않은 영화다. 
 
by kinolife 2007. 8. 11. 21:13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형태 : IMAX  영화
1995년, 미국, 40분

나레이션 : 브루스 로빈슨
               (Bruce Robison)
               프란시스 토리비
               (Francis Toribiong)    
               메릴 스트립
               (Meryl Streep)   
   
감독 : 그렉 맥길리브레이
         (Greg MacGillivray)
각본 : 팀 카힐(Tim Cahill)
촬영 : 척 데이비스(Chuck Davis)

음악 : 스팅(Sting)

살아 있는 바다에 대한 짧은 뮤직드라마..맑은 물 속의 신 세계에 대한 경의로움 안에서 살아가는 작은 인간에 대한 이야기가 짧은 런닝타임 안에 담백하게 담겨 있는 작품이다. 만들어진지 12년이나 흘렀지만 자연은 여전히 경이롭다.

푸른색, 그 중에서 밝은 바다 색깔이 더운 여름에 청량제로 다가온다.영화 전반에 흐르는 스팅의 음색이 이렇게 바다와 잘 어울렸는지도 모르겠다.

큰 바다만큼 큰 이야기를 담는 것도 아니고, 짧은 시간에 한정된 바다에서 충분이 그 신비감을 드러내..부담없이 아름다운을 느낄 수 있게 했다. 시원한 여륾에 이른 바다풍취의 담백한 다큐멘터리도 아주 좋다는 생각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8. 11. 20: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형태 : TV 다큐멘터리
방송사 : MBC
나레이션 : 박기량
음악 : 고병준, 최경식
촬영 : 박화진
         백승우
         김수만

연출 : 최삼규

방영일시를 정확히 기억 할 순 없지만, 다큐멘터리 중간에 2002년 한,일 월드컵의 장면이 등장하는 걸 보면 2002년~2003년에 방영된 작품으로 예상이 된다.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세렝게티 지역에서 벌어지는 야생동물들의 드라마틱한 삶을 다룬 본 작품은 기존에 수도 없이 반복되어 보여지는 동물의 왕국 안에서 미처 생각지도 못했던 생과 사의 철학적 논의를 찾아 깊게 파고 든다.

1편 [초원의 승부사들] 에서는 개과 중에서 유일하게 집단 생활을 하는 사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백수의 왕자 사자에게도 살아남기 위한 피나는 생존의 위협을 뚫어야 하는 고초가 있음을 심도 깊게 다루고 있다. 30% 밖에 안되는 사냥성공률, 자신의 아비가 아닌 수컷 사자에게 죽임을 당하는 어린 사자들..한 마리의 사자가 대응할 수 있는 하이에나의 숫자가 4마리 정도 밖에 안된다는 것은 실로 사자에겐 가혹한 현실로 받아들여졌다. 먹이감이 부족해서 굶어 죽어야 하는 사자의 숫자는 서글픈 생과 사의 드라마를 전해주는 잣대 같다. 치타나 표범 같은 맹수들의 사냥법과 살아남기 위한 질주에 관한 내용이 눈요기 이상의 감동을 전해준다.

2편 [위대한 이동]은 해마다 건기를 피해서 양질을 풀을 찾아 떠나는 150만 마리의 누우 떼를 따라서 이 긴 역사적인 이동 안에서 벌어지는 생과 사의 과정이 처절하게 그려진다. 맹수나 물 안의 악어 혹은 지쳐서 무리에서 떨어져서 물을 건너 익사하면서 큰 무리의 이동을 통해 생존의 역사를 써 나가는 이 긴 소떼가 시나리오 없는 영화를 만들어주고 있는 것이다.

3편 [200일의 기록]은 본 다큐멘터리를 찍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Staff의 노고들 또한 드라마틱하게 담고 있다. 우리가 보았던 하나의 장면 조차도 담기 위해 건조한 날씨와, 더위, 파리떄와 굶주림...그리고 그리움과 외로운 기다림을 겪어 내는 모습을 통해 다큐멘터리 촬영지에서의 힘난 과정을 또 다른 감동으로 느낄 수 있게 한다. 보다 길게 보다 치밀하게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도..이 촬영과정을 보고 나면..지금 이만큼도 충분히 대단하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아프리카 만큼이나 멀게 느껴지는 초원이 같은 지구 안에서 또 다른 생존의 역사를 쓰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 다큐멘터리는 동물의 왕에게도 죽음의 순간과 위협이 있고, 죽음을 내포하면서도 먼 길을 떠나는 초식 동물의 본능에도 역시 그 원인 분석보다 감동적인 역사가 있어 왔음을 깊은 감동으로 느낄 수 있게 한다. 한편의 드라마와 번외편에 해당되는 작품을 순식간에 호흡없이 내리 봐버리고는 살아간다는 것.살아 있다는 것 자체게 감사함을 다시 한번 느낀다...다시 한번 더 드는 생각이지만, 사자, 표범, 치타와 같은 맹수들이 그렇게 아름다울 수 없다. 그들의 거룩한 생존의 방식만큼이나 그들의 비쥬얼이 황홀하다는 생각을 다시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8. 7. 07:02
하도 선전에 나오고..지나가는 피자헛 창문에 내내 이 피자만 먹는거 같아서 용기내서 주문해서 먹어 본다.
기름기로 승부거는 피자헛의 새우차바이트 피자 치즈..새우가 있다는 걸 제외하면..머 일반 피자랑 똑같다는 거..혜진이의 30% 할인 카드가 있기에 먹을 수 있는 고부가가치 음식..정언이는 역시 몇조각 먹더니 안 먹는다.. 몸에 안 좋은건 본능적으로 너무 잘 아는 우리 딸이다. 피자헛 피자 주문하기 전에 포즈도 잡아보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8. 6. 13:10
주말에 비도 오고 해서 해 먹은 감자전..정언이가 관심을 좀 가지라는 의미에서 빨간색 파프리카를 응용해서 만들어 보았다..하지만 역시 조금 먹고 말았다.. 요즘은 먹는게 좀 시원찮은거 같은 정언이다. 덕분에 엄마 아빠만 열심히 얌얌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8. 6. 13:07
사용자 삽입 이미지

8월 들어서 구입한 책들... 몇몇가지 최신 만화책 [엠마][피아노의 숲][20세기 소년][데쓰 노트] 등도 있었지만...순수한 책은 [조선을 위흔든 16가지 연애사건][하이피델리티][CSI 1탄 냉동화상] 정도다...8월..책 좀 봐야지....

'All That My Life > My Shopping & Collec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의 BOOK  (0) 2007.09.03
8월의 BOOK  (0) 2007.08.24
7월의 CD들  (0) 2007.07.11
6월의 책들  (0) 2007.06.13
6월의 CD들  (0) 2007.06.13
by kinolife 2007. 8. 6.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