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 여성의 프랑스적이고 쓸데없어 보이는 철학적인 고민들을 충분히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게 그려낸 생활영화?다.
정말 오래간만에 보는 프랑스 영화..대중 영화든 예술 영화든 프랑스 영화는 정말 오래간만인데 감독도 배우도 아는 사람이 없어서 더 신선하게 보였는지 모르겠다. 배우들의 연기가 너무 리얼하고 아기자기한 매력이 곳곳에 숨겨져 있다. 특히 어머니 아버지와의 불화를 지닌 여주인공이 엄마가 되면서 그들과 화해해 나가는 과정이나 데이트 신청을 하는 두 주인공의 DVD로 표현된 영화제목 베틀대화는 앙증맞다. 킬링타임용으로 나쁘지 않은 영화다.
-영화 속 대사-
"간호사, 의사, 산파, 산부인과 의사 많은 사람들이 기계적으로 다룬 바람에 모든 기능을 잃은거다. 내 성기는 성적 역할을 잃고 그냥 통로에 불과하게 된 것이다. 찢어지고 꿰메고 뜯어지고 상처는 아물이 않았다."-바바라
"종일 집에 갇혀 지내는거 너무 외롭고 힘들어. 감옥살이 같아. 1년 동안 외출도 못했어 그것도 모르지? 맨날 울고만 있어 몸 속에 물만 남은 것 같아. 뭘 해도 기쁘지 않고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어. 속이 뻥 뚫린 것 같아."-바바라
5학년이 되는 것에는 크게 의미를 둘 일이 아니나 유치원때부터 함께 학교를 다닌 친구 여울이가 5학년이 되기 전에 서산으로 전학을 간다고 해서 나름 아이들을 위한 이별여행이 되었다.
방학이 되었으나 늘 바빠서 어딜 운신하기 어려워 년말에 미리 예정하고 엄마들과 일정을 잡아 두었었다. 예상대로 여행날이 다가오니 총회 준비가 턱 걸려서 숨이 막혔지만, 그럴수록 바람을 쐬고 와야 겠다 싶어서 약속대로 영주로 가는 길을 떠났다.
[부석사]
영주를 가면 당연히 부석사..
생각보다 부석사로 올라가는 길이 멀게 느껴졌던 아이들이 조금 힘들어 했고..우리 작은 딸은 어찌나 투털 거리던지.. 그러나 좋은 장소는 장소대로 느낌이라는 것이 있는것인지 작은딸과 친구들은 아래에서 내려보는 부석사의 면모에 즐거워 했다. 개인적으로 부석사를 좋아하는 남편 덕에 몇번 가 보았으나 갈떄마다 늘 사람이 많아서 올라가는 공간 중간중간에 틈을 볼 수 없을 정도로 전체 뷰를 가렸지만, 평일이고 차가운 날씨 덕분에 상당히 한가한 부석사의 뷰를 즐길 수 있었다.
표지판에 적힌 500m가 점점 줄어들면 겨울의 부석사가 눈에 들어온다.
일직선으로 건물들이 이어져 있지 않아서 늘 각도에 따라 다른 그림을 부여주는 부석사.
무량수전 왼쪽 위의 돌들도 한 자리를 차지한다.
영주에서 학교를 다닌 하윤이 엄마와 가현이 엄마가 부석사에 대한 설명을 해 준다.
여름이면 무량수전의 문을 걸어 올릴 수 있는 발도 알려주고..하늘을 치솟은 처마에 대한 이야기도 나눈다. 상언이도 그냥 보는 것과는 조금 다르게 보는거 같다.
겨울의 풍경이지만 따뜻하게 느껴진다. 부석사를 나와 점심을 먹으러 간다.
영주에는 유명한 쫄면집이 2군데 있다고 한다. 인생쫄면이라고 하는 쫄면집..나드리 분직. 쫄면 외에 다른 메뉴가 있닥 중앙분식은 쪽면 밖에 없어서 매운걸 잘 못 먹는 아이들을 생각해서 나드리 분식으로 갔다. 쫄면과 만두, 돈까슬 먹으며 오래간만에 추운 날씨에 걸은 몸을 녹인다.
오전 일정 하나가 부석사 점심 식하 후에 오후 일정은 영주시내 공방 [갱이곰팩토리]에서 아이들이 운동화를 만들기로 예약해 두었다. 밑그림을 자신들이 고르고 디테일한 선은 선생님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아이들 모두 그림을 잘 그리고 시간내에 끝낼 수 있어서 대견하다는 후문을 들었다. 아이들이 공방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엄마들은 커피 한잔했다.
전학가는 여울이와 담임선생님은 누가될까.. 중학교는 특별히 생각하고 있는 곳이 있는가 같은 이야기들을 나누었는데.. 상언이야말로 일반 중학교가 맞지 않을까 정말 고민이 깊어진다.
경북에 살고 있어서 가까이 있다고 느끼지만, 가지 않으면 먼 곳이 세상 모든 여행지이고..기회가 되면 많은 기회를 만들어서 좋은 사람들과 많이 다니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늘...
다양한 선장들이 나올 줄 알았더니 주요 선장은 2명...그리고 선장이 주인공이 아니라 선장에게 인생의 가르침을 받는 하비가 주인공이다. 이런 모험 소설 성장 소설은 지금 한창 자라나는 우리 딸이 읽어줘야 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많이 들지만, 요즘 아이들은 성장도 유투브로 하고 모험도 핸드폰으로 하니 할말 다 했지.. 싶다. 나 역시 그 젊은 날에는 키플링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고 자랐고 나이 오십이 다 되어서야 흐뭇한 마음으로 책장을 넘기다니 인생은 역시 알 수 없는것 같다.
책에 대해서 찾아보니 최초 완역본이라고 하고 삽화도 초판 당시의 그림이라고 하니 덕분에 역사속의 낯선 미국의 문화를 엿볼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사실적인 바다그림 선원들 이야기는 활기차고 지금의 자본주의적인 세태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고군분투하는 미래의 부자들과 그들과 섞여서 전혀 자신의 존재에 영향없이 교류하는 선장들의 면모에 일면 생경하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부잣집 아들이 죽을지도 모르는 바다에서 벌인 이야기들을 살면서 젊을 떄 격을 수 있는 경험으로 받아들이는 신흥부자의 마인드에 감탄한다. 이건 순전히 지금 우리나라 세대에 비추어서 그렇다.
고통없이 크는 생물은 없으니 다 함께 인생을 살찌우는 고통이 하나의 사람을 보다 단단한 사람으로 만들겠거니 생각해 본다. 새해 벽두부터 나이와 상관없이 도전하고 그것을 즐길 수 있는 힘에 대해 응원 받은 느낌을 전해 주는 소설이다. 정글북을 안 읽어봐서 그것보다 더 좋은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고전적인 글을 썼던 사람이구나 키플링은....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책장을 는다.
- 책 속의 글 -
"깊은 잠은 사람의 영혼과 눈과 마음을 개끗하게 하고 아침밥도 게걸스럽게 먹게 만든다."-85P
"제 아무리 슬픈 일이 있다고 해도 천만장자 역시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자기 일을 계속해야 하는 법이다. "-281P
"트루프 선장님이 그러셨어요. 이 세상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다음 세대가 어떻게 밥벌이를 하는지 알아내는 것이라고요.." 304P
"저는 말처럼 열심히 일했고 돼지처럼 열심히 먹었고 시체처럼 열심히 잤다고요."-305P
"절망의 가장자리로 내몰렸을 때조차도 그는 믿을 버리지 않았다.그 믿음은 사람과 사물에 대해 아는 것에서 부터 나왔다."-353P
01.나를 세우는 옛 그림 : 조선의 옛 그림에서 내 마음의 경영을 배우다-손태호 02.세계 건축가 해부도감-오이 다카히로 외 공저 03.다 그림이다-손철주 & 이주은 04.레코드를 통해 어렴풋이-김기연 05.콜렉터 : 한 웃기는 만화가의 즐거운 잉여수집생활-이우일 06.위대한 영화감독들의 기상천외한 인생 이야기-로버트 쉬네이큰버그 저 07.눈의 황홀-마쓰다 유키마사 08.미식가의 도서관-강지영 09.모든 게 노래-김중혁 10.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플롯-로널드 B. 토비아스
@인물 10권@ 01.오래된 꿈-홍경의 02.섹스와 지성: 마릴린 먼로와 작가 아서 밀러-크리스타 메르커 저 03.페기 구겐하임: 모더니즘의 여왕-메리 v.디어본 저 04.에드워드 호퍼-롤프 퀸터 레너 05.영원한 라이벌 김대중 VS 김영삼-이동형. 06.오드리 햅번-알렉산더 워커 07.노무현 마지막 인터뷰-오연호 08.반 고흐-바바라 스톡 09.무엇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가-가네코 후미코 10.읽는 인간-오에 겐자부로
03.마이 코리안 델리-벤 라이너 하우 04.고래-천명관 05.화씨451-레이 브레드베리 06.바람이 분다,가라-한강 07.관촌수필-이문구 저 08.주홍글자-너새니얼 호손 09.제인에어-브론테 10.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 스티븐 킹의 사계 봄 · 여름-스티븐 킹 11.내 연애의 모든 것-이응준 12.표백-장강명 13.82년생 김지영-조남주
14.사월이 미, 칠월의 솔-김연수
15.사랑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레이먼드 카버 저
@인문학 5권@ 01.한일 피시로드, 흥남에서 교토까지 일본 저널리스트가 탐구한 한일 생선 교류의 역사-다케쿠니 도모야스 02.쇼에게 세상을 묻다 : 모르면 당하는 정치적인 모든 것-버나드 쇼 저 03.가축이 행복해야 인간이 건강하다 : 가축사육, 공장과 농장사이의 딜레마-박상표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