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주 맛집을 찾다가 우연히 검색해서 들른 칼국수와 만두가 맛있는 집..

그러나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이 집은 다른 집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구미에서 만두가 맛있다는 그 호박과 비슷하다는 포스팅은 이젠 확인 불능이 되어 버렸다.

뒤늦게 사진을 찾다보니..아 이집 깔끔했는데...라는 생각이 든다.


가끔 생각나는 수제 만두였는데....






반응형
by kinolife 2015. 11. 18. 15:03
반응형

상주에도 설빙이 생겼다오!!

부산에서 부터 전국으로 퍼지고 있는 콩가루의 위엄을 느껴볼 수 있는 빙수와 토스트..

개인적으로 가루가 마구 날리는 불편함 속에서도 저 토스트는 맛있었다.

 

 

 

반응형
by kinolife 2015. 11. 11. 20:42
반응형


영제 : Our Little Lifes

개봉 : EIDF 2015

2015년, 41분, 한국

          
감 독 : 민환기

문래동에 위치한 꿈땅자연학교의 아이들과 선생님들의 모습을 아무런 가감없이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자연 속에서 아이들 스스로 자라게 한다는 모토는 좋겠지만, 내가 본 영화 속의 아이들은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처럼 보였고, 선생님들도 아이들에게 지친 어른의 모습이었다. (아이들을 데리고 바깥놀이만 하는 건 선생님 학대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가혹하다고 생각하는 면이 있다.)


자연에서 놀든 아니든, 어린 나이에 부모 손을 떠나 힘겨워 하는 모습을 보는 건 어렵다. 나 역시 두 아이를 사설 교육기관에 의지에 아이들의 유아시기를 지내왔지만, 그것을 잘 했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집 앞 실내 위주의 유치원이냐 자연이냐 보다는 부모와 아이들과의 관계가 더 궁금해 지는 건 나의 과거와 오버랩 되는 부분이 있을까 생각되어서 그런 걸지도 모르겠다.


돌들이 수북한 곳에서 아이 혼자 힘겹게 움직이는 장면이나, 차에서 큰 아이와 작은 아이가 폭력을 행사하면서 싸우는 걸 보는 카메라는 비교육적인 것이 아닌가? 고민도 되었고, 그 어떤 개입이나 간섭도 하지 않는 어른들이 성숙한 교육법의 실현과 맞닿아 있다고 생각되지도 않았다. 스스로 클 수 있도록 두는 것과 어른의 무관심이나 방치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혼란스러웠고..무엇보다도 그런 장면들을 자율이라는 이름으로 계속보고 있는 카메라가 불편했다. 큰 생각거리보다는 의문을 더 남긴 아이들의 교욱에 대한 다른 이야기...새로움이나 즐거움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점이 많아서 보는 내내 걱정스럽게 시선을 고정해야 해서 힘들었던 영화다.

반응형
by kinolife 2015. 11. 11. 20:42
반응형

상주로 오고 냉면이 먹고 싶어서 집 근처에 있는 냉면집이라고 들른 곳...

그러나 맛은 홈쇼핑이나 쇼핑몰에서 파는 MSG 가득 냉면과 큰 차이를 못 느껴서 조금 많이 실망한 집..

그 이후로 맛있는 냉면집을 찾아서 다시는 가지 않게 된..어느 여름날의 한끼 시원함...




반응형
by kinolife 2015. 11. 11. 20:40
반응형

촌에 와서 애들 도시락을 싸면 일단 양이 많아진다.

같이 먹겠지~~라는 마음 때문에..작년 봄 소풍 사진이네..

물론 다녀온 애들 반응은 먹느라 힘들었어~~였지만...





반응형
by kinolife 2015. 10. 19. 00:23
반응형



영제 : May I Talk to You?

개봉 : EIDF 2015

2015년, 25분, 한국

          
감 독 : 이승준

EIDF 2015년 작품 중에 런닝 타임이 짧다는 이유로 덥썩 선택해서 보게 된 작품.
청소년들의 상담정화 1388의 수화기 속에 울려퍼지는 아이들의 목소리는 이 세상이 저들에게는 각각의 다른 이류들을 가진 감옥은 아닌지 목소리만으로도 답답한 마음이 들었다. 

처음엔 조금 어이없는 상담 내용들을 들으면서 야들이요~~ 싶었지만, 
울먹이면서 아이들에게 맞지만 부모도, 선생님들고 관심이 없다는 아니나, 자신의 가정이 가난하고 자신의 어머니가 싫다며 이야기 하는 아이들...의 목소리를 들으면서..아 나는 이런 아이들의 눈에 어떤 어른일지..나는 어떤 어른이 되고 있는 걸까?


곧 어 전화기 속 아이들과 같은 나이가 될 나의 클 딸에게 다가온다는 건..어떤 면에서 다른 부모의 아이가 아니아 내 딸아이의 선배이자, 미래의 내 딸 모습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재미 보다는 무거움이 가득한 작품이다.

반응형
by kinolife 2015. 10. 19. 00:22
반응형

가끔..쫄면이 먹고 싶을 때가 있다.

싸구려 고추장에 시큼한 식초맛이 베인 ..

상주 시내에 그런 가벼운 분식맛을 내는 쫄면을 맛 볼 수 있는 곳 중 한 곳..

혼자서 조용히 먹고 나오기에 좋은 작은 분식점...



반응형
by kinolife 2015. 10. 18. 23:50
반응형

홍대에 가면 다양한 빵을 먹을 수 있는데..퍼블리크 역시..그런 맛을 엿볼 수 있는 곳..

기본적인 빵에 샌드위치도 있지만 프랑스식 디저트를 맛볼 수 있다는 점이 좋다.

 

여러명이 함께 갔었기에 다양한 맛을 볼 수 있어서 좋았던 퍼블리크...

 

 

 

 

 

 

 

 

 

반응형
by kinolife 2015. 8. 28. 21:57
반응형

꽤 자주..아 다른 사람들은 뭘 해 먹고 지내나~~ 싶을 때가 많은 요즈음...

맛있는 두부를 튀김가루 무쳐서 살짝 튀겨내고 겉절이를 함께 내어 반찬으로 먹었다.

나쁘지 않아!!...이러면서 한끼 떼우며 산다.



반응형

'All That My Life > My 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듬 주먹밥] 소풍 도시락  (0) 2015.10.19
[예송김밥]-쫄면  (0) 2015.10.18
[둥지반점]-짬뽕  (0) 2015.08.26
[대한 곱창]-곱창전골  (0) 2015.05.18
[고향 종가집]-홍합밥  (0) 2015.05.18
by kinolife 2015. 8. 26. 05:22
반응형


2013, 일본, 후지TV, 총 11부작


감 독 : 호시 마모루(星護), 히지카타 마사토(土方政人), 죠호 히데노리(城宝秀則)

각 본 : 쿠로이와 츠토무(黒岩勉), 타나베 미츠루(田辺満)

 

출 연 

에구치 요스케(江口洋介),쿠라시나 카나(倉科カナ), 마츠시게 유타카(松重豊)하카마다 요시히코(袴田吉彦)

세키 메구미(関めぐみ), 시가 코타로(志賀廣太郎), 시바모토 유키(柴本幸), 타케노우치 유타카(竹野内豊)

이케즈 쇼코(池津祥子), 카자마 모리오(風間杜夫), 야시마 노리토(八嶋智人),유스케 산타마리아(ユースケ・サンタマリア)

시노하라 마이(篠原真衣), 와타나베 쿠니토(渡辺邦斗), 이토 유키(伊藤友樹), 코시무라 토모카즈(越村友一)

마치다 히로키(町田宏器),하마다 마리(濱田マリ), 야시바 토시히로(矢柴俊博), 오오시마 요코(大島蓉子)

시미즈 신(清水伸), 코바야시 히로시(小林博), 타마키 히로시(玉木宏), 이부 마사토(伊武雅刀) 

마스 타케시(升毅), 마야 쿄코(真野響子), 야마나카 타카시(山中崇), 무라이 미키(村井美樹)

키타미 토시유키(北見敏之), 모리 칸나(森カンナ), 하라 사치에(原沙知絵)


음악

사하시 토시히코(佐橋俊彦)


Si !!

좁아보이는 레스토랑의 작은 주방에서는 주방장의 오더에 맞게 우렁차게 울려퍼진다. 

이탈리아 정통 레스토랑 답게 구령은 씨(S!!)

근저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먹방 드라마, 요리 예능의 기조에 흠뻑 취해 요리사로 장래 희망을 급 변경한 큰 딸아이의 관심사에 부흥하기 위해 검색을 통해 딸아이와 함께 보게 된 일본 드라마 디너...

잔잔한 드라마 속에서 쉐프 에자키의 천진난만함이 요리만큼이나 재미를 선사해 주었던 요리중심 휴면 드라마의 전형적인 표본이라고 불러도 좋을 드라마다. 투철한 룰을 지키고 있는 주방의 모습, 주방에서 일하는 한명 한명이 에피소드의 주인공이 되어 전개되는 일본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개방식. 전문 직업인의 면모를 끊임없이 노출하는 일본의 직업세계와 위계질서 흔한 소재지만 흥미롭다..



- 일단 요리가 주인공! -

레스토랑을 무대로 쉐프, 주방, 홀의 이야기들의 얽히면서 이어지다 보니까 일단 요리에 눈이 간다. 

더군다나 언제 한번 정식으로 먹어 본 적이 없는 이탈리아 요리에 관한 것이다보니 마냥 신기한 식재료들에 귀가 즐겁고 다 만들어진 요리를 보는 것은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눈이 호강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화면에서 보여지는 요리사진 만큼이나 요리에 대한 이야기들도 쉐프의 입에서 흘러나오니 그것 또한 드라마 속 앙꼬처럼 재미있다. 물론 곧 잊혀지는 가벼운 팁 정도겠지만 이런 작은 정보들이 드라마의 디테일을 꼼꼼하게 챙기는 역할을 하고 있어서 드라마를 보는 내내 풍성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게 드라마 속에 잘 스며들어 있어 즐겁다. 

대부분의 서양요리처럼 전채 메인 사이드 후식 같은 순서나 어떤 것들이 주로 있는지 궁굼하기도 하지만, 간간히 등장하는 이탈리아 요리의 특성, 예를 들어 다양한 면이 사용되는 스파게티들은 이탈리아 요리에서 주요한 순서로 들어가는구나~~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게 하는 요리 이야기들이 슬몃슬몃 멋지게 스며 들어 있다.


- 그러나 요리는 사람을 위해사람이 만든다.!! -

물론 요리는 맛있어 보이고 화면을 꽉 채우는 또 다른 주인공이다. 그렇지만 그것을 만드는 것도 만들어지는 것도 다 사람을 통해서다. 요리를 만드는 주방은 늘 주방 안의 사람들 이야기로 가득하고 그 이야기들은 주방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요리만큼이나 다양한 이야기들로 넘쳐난다. 그런 유기관계가 드라마를 이끌어가는 힘이기도 하다. 

주방 안에서의 규칙, 요리에 대한 각각의 생각들과 열정을 숨기고 들어내는 온도차, 주방과 홀을 연결하는 에피소드..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음식들이 홀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입속으로 들어가면서 만들어지는 이야기들이 이탈리아 요리의 코스처럼 쪼르르 이어진다. 작은 에피소드들이 엮어져 한회 한회 다양한 이야기들이 이어진다. 

주방 안에도 사람이 있지만, 요리들이 사람을 이어주면서 이야기도 이끌어간다. 사람없이 요리만은 아무 힘이 없음을 드라마는 이야기 속에서 강조한다. 요리가 있고 그 안에 사람이 있음을 회가 거듭할 수록 시청자들에게 인지 시킨다고 할까.. 그 끈끈함이 레스토랑 안의 다양한 메뉴처럼 끊이지를 않는다.



 - 전형적인 사무라이식 해법, 그러나 그것의 일본 스러움 -


잘 나가던 레스토랑에서 메인 쉐프의 병환, 그리고 큰 레스토랑에 닥친 크고 작은 위기들을 수습해 줄 짜자잔 쉐프. 

전형적인 사무라이 구조다. 사무라이 처럼 다양한 칼을 들고 레스토랑을 정리해 나가는 쉐프는 일본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문 직업인을 다루는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인공 캐릭터다. 오랜 경험, 그것을 이루어낸 경험과 끈기 배포 같은 덕목들을 가진 천재적인 쉐프. 흔들흔들하는 레스토랑의 축이 되어주고 레스토랑이 스스로 일어설 수 있도록 해 주고 바람처럼 떠난다.위기를 보여주고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을 탐닉하는 드라마란 언제나 빤한 결과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지만, 원래 그런 맛에 보는 것이고 그런 주인공에 빠져 즐기는 것이다. 드라마 <디너 Dinner> 속에 등장하는 쉐프 에자키의 매력도 그런 면에서 완벽하게 일본 사무라이식 작품의 전통적인 사무라이다. 얼굴이 낯은 익었지만 에구치 요스케라는 이름도 생소하고 별로 본 것이 없어서 조금은 더 신선하게 느꼈는지도 모르겠다. 중년스러움. 그것의 매력을 많이 가진 배우라는 생각이 든다. 그가 만들어준 성찬을 구경하고 그만의 독설을 즐기며 일본의 식도락의 일면을 볼 수 있어서 한회 한회 아끼면서 오래간만에 즐겁게 본 드라마다. 


에자키의 말 처럼 식재료에 요리법을 더하면 어떤 맛이든 결과물인 맛이 나온다. 요리가 아니라 사는 모든 것이 그런 것 같다.

반응형
by kinolife 2015. 8. 26. 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