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Le jeune loup qui n'avait pas de nom
글 : 장 클로드 무를르바
             (Jean-Claude Mourlevat)
그림 : 장 뤼크 베나제(Jean-Luc Benazet
)
옮긴이 : 신선영
출판사 : 문학동네
2000년 01월
가격 :9,500


어린 아이들에게 이름이란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정언이도 자기의 이름이 멋지다고 혹은 더 멋진 이름을 가지고 싶다는 걸 느끼는 날이 있을 거다.
동화책 속의 일곱번째 늑대는 자신처럼 이름이 없는 다른 일곱번째 개, 곰, 여우 등과 함께 이름을 지어주시는 할아버지를 따라 자신의 이름을 받는다.

이름을 얻는 방법은 이름 보따리에서 자신의 이름을 찾는 것인데, 제일 마지막에 찾는 이름이 가장 멋지다는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기다린 늑대는 결국 할아버지처럼 다른 이름 없는 이들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역할을 받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프랑스 동화라 그런지...조금은 철학적인 냄새를 담고 있는..하지만 그다지 흥미로운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
by kinolife 2007. 1. 28. 21:2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후지TV
방 영 : 2006년 11월 18
각 본 : 츠치자 히데오(土田英生)
감 독 : 니시타니 히로시(西谷弘)


출 연 : 타나키 유코(田中裕子)
          오오이즈미 요(大泉洋)
          카미키 류노스케(神木隆之介)
          히로스에 료코(広末涼子)
          오오츠카 네네(大塚寧々)
          마츠카네 요네코(松金よね子)
          츠카지 무가(塚地武雅)
          호소야마 타카네(細山貴嶺)
          오카다 요시노리(岡田義徳)
          요네야 신이치(米谷真一)
          에비스 요시카즈(蛭子能収)
          타케나카 나오토(竹中直人)
          사토 류타(佐藤隆太)
          카토 하루코(加藤治子)
          코바야시 카오루(小林薫)
          키키 키린(樹木希林)
          카니에 케이조(蟹江敬三)

원작 : [東京タワー オカンとボクと、時々、オトン] - Lily Franky
주제곡 : "도쿄" By BEGIN

굉장히 낯익은 어머니의 모습...아주 많이 헌신적이면서, 아주 많이 유머러스한 엄마.
그에 비해 상당히 철딱서니 없고 이기적인 면모를 지닌 아들...무척이나 뻔할것 같은 이들의 구조지만 이 들은 형생을 통해서 서로가 애인이 되어주고 인생의 큰 의미가 되어 주었다. 한 남자의 인생을 통해서 엄마는 과연 어떤 의미일까...
어머니 역을 맡은 타나키 유코의 자연스러운 인상과 연기가 이 드라마의 전부라고 해도 좋을 만큼 좋으며, 소박하고 따뜻한 정을 중요히 여기는 단순하지만 그저 단순하지만은 않은 인생에 대한 찬사가 요즘처럼 점점 더 가벼워 지는 어머니와 아들의 사이를 되돌아보게 한다. 단순한 의무가 아닌 사랑을 느끼게 해 주는 관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 28. 02:0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Vom Kleinen Maulwurf, Der Wissen Wollte, Wer Ihm Auf Den Kopf Gemacht Hat
글 : 베르너  홀츠바르트
      (Werner Holzwarth)
그림 : 울프 에를부르흐(Wolf Erlbruch
)
옮긴이 : 서예경
출판사 : 사계절
1993년 12월
가격 :6,500








누가 두더지의 머리에 똥을 샀을까?
머리에 똥을 이고서 여러 동물 친구들에게 물어본 두더지...그리고 만난 똥파리 친구들을 통해서 그 똥이 정육점 개 한스의 똥이란걸 알고 똑같이 복수를 하고 행복해 하는 두더지...유머러스한 이야기 ..특히 추후에 그림책 속의 두더지와 같은 인형을 함께 끼워서 파는 것 같은데..인형도 많이 귀엾다.
머 특별한 이야기는 없지만, 주인공의 행동이 무척 어른아이의 행태를 담고 있어서 귀여운 동화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 27. 21: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고은출판사: 창작고 비평사
0000.00.00 초판 1쇄
가격: 2.500원
창비시선(041)














- 바람 부는 날 -

바람 부는 날
바람이 빨래 펄럭이는 날
나는 걸레가 되고 싶다
비굴하지 않게 걸레가 되고 싶구나
우리나라 오욕과 오염
그 얼마냐고 묻지 않겠다.
오로지 걸레가 되어
단 한 군데라도 겸허하게 닦고 싶구나

걸레가 되어 내 감방 닦던 시절
그 시절 잊어버리지 말자

나는 걸레가 되고 싶구나
걸레가 되어
내 더러운 한평생 닦고 싶구나

닦은 뒤 더러운 걸레
몇번이라도
몇번이라도
못견디도록 행구어지고 싶구나
새로운 나라 새로운 걸레로 태어나고 싶구나

- 旗 -

아무리 어두울지라도
어둡다고 호소하지 맙시다
입 다물어 버리고
밤 하늘의 어둠 속으로
기를 올립시다

내일 북동한설에 휘날릴 깃발아래
우리는 서야 합니다.
휘날리는 것 없이
어찌 그것이 삶이겠습니까

어둡다고 호소하지 맙시다
우리는 꿋꿋하게 서야 합니다
단 하나로 휘날리는 깃발아래
우리는 우리끼리 서야 합니다

빈 백양나무들 언제까지나 서 있습니다.
어둠속으로
어둠속으로
우리도 묵묵히 서서 기를 올립시다

마침내 어둠까지도 커다란 깃발인 그 날을 위하여
우리에게 이 어둠이 얼마나 환희 입니까

- 너울 -

바람 하나 없다
나에게 너무 큰 적이여
너울이여
울지 못하는 짐승에게
울음을 주어라
쓰러지면 안된다
잎이란 죽음에 없다
날으는 새에게
집 없는 민중에게
집을 주어라
나라를 주어라

우리나라에는 지평선 대신
가는 곳 마다
수평선이 있다
얼마나 다행한 일이냐
수평선이 있어야 민중이 있다
지금 수평선에는
바람 하나 없다
크나큰 너울 뿐이다
온 세상에게 성난 여울이여
나는 너에게 가야 한다
나는 너에게 가야 한다.
by kinolife 2007. 1. 25. 20:42

일본의 접시들 수입해서 파는 엔시아의 고양이 접시...
고양이가 아주 즐겁게 놀고 있는 이 접시들 2종 세트는 지금 직경 17Cm..그렇게 크지는 않고 가격은 2개 세트 가격이 31,000원이다.
둘다 나름의 귀여움을 가지고 있는 접시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 25. 20:16

뚜 스튜디오 제작 그림 접시
바깥쪽 지름이 22.5Cm~17.5Cm. 가경은 27,000원에서 ~ 14,000원
접시의 사이즈에 따라 가격도 안에 그림도 다르다....
애기들이 좋아라 할 것 같은 느낌의 접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 25. 20:16

원제 : The French Lieutenan's Woman
글 : 존 파울즈(John Fowles)
번역 : 김석희 역
출판사 : 열린책들
2004년 05월

지루하게 해를 걸쳐서 읽게 되어버린 존 파울즈의 명성 어린 작품을 다 읽었을 땐, 재밌다 와 명작 이런 느낌보다 오랜 숙변을 제거했을 때의 느낌 혹은 긴 숙제를 마쳤을 때의 기쁨이 먼저 다가 왔다.

시대를 거슬러 조금은 답답한 기운을 전해주는 영국 신사들의 시대에 마음을 숨기고 살아가는 혹은 열정을 누르고, 욕망을 감추고 살아가는 이들에 대한 단상이 어찌나 갑갑하지만 진실되게 느껴지는지 모르겠다.

하룻밤의 추억...아니 기억...혹은 상처가 되어버린 걸 잊어버리지 못하는 남자와 역시 그것을 털어내 버린 여자와의 긴 기다림과 엇갈림, 오해와 이해가 이 빠른 시대에 적잖게 여운으로 남는다. 고루하고 고지식한 이들의 만남과 헤어짐이 지금 이 빠른 시대에 사는 나에게 와서 전해주는 건 무엇일까. 불분명하지만 진지한 시대가 적잖게 가슴에 페인다.


- 책 속의 글 -

"미래에 생겨날 비행기라든가 제트 엔진, 텔레비전, 레이더 등에 관한 이야기를 듣더라도 놀라지는 않았겠지만, 시간을 대하는 세상 사람들의 태도가 변한 것을 알았더라면 분명 놀랐을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기의 비극 사운데 하나는 시간 부족이다. 과학에 대한 사심 없는 열정이나 지혜 때문이 아니라 시간 자체에 대한 사고방식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독창성과 사회의 소득 가운데 큰 몫을, 일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는 방법을 찾는데 투자하고 있다. 마치 인류의 궁긍적인 목적이 완전한 인간성에 가까워지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번갯불에 가까워지는 것이기나 한 것 처럼.그러나 찰스에게, 또한 시대. 사회적으로 그의 동료였던 사람들 대부분에게 존재를 지배하는 시간의 박자는 분명 <아다지오>였다. 문제는 한정된 시간 속에 하고 싶은 일을 모두 끼워 넣은 것이 아니라, 남아도는 여가의 드넓은 광장을 채우기 위해 일을 일부러 질질 끄는 것이었다. "

"앞으로 여러분은 찰스가 좀 더 높은 곳을 겨냥하고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지성을 가진 게으름뱅이들은 자신의 지성을 상대로, 자신의 게으름을 정당화하기위해 늘 그러는 법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그는 바이런적 배출구. 즉 천재와 방탕한 기질은 전혀 없이. 다만 바이런적 권태만을 가지고 있었다."

"찰스, 나는 가장 장인한 사람의 눈에서도 그런 생각을 읽었다. 의무란 항아리에 불가한 것이다. 그건 가장 큰 악에서부터 가장 큰 선에 이르기까지, 그 안에 들어오는 건 뭐든지 담고 있다."

"에술가가 자신에게 가장 엄격한 심판자가 되지 못하면, 그 사람은 예술가가 될 자격이 없다고 하더군요."

"다소 멜로드라마 같은 말투였다. 그러나 말보다는 그 뒤에 숨어 있는 감정의 깊이가 더 중요할 때도 있는 법이다. 이 말은 찰스의 모든 존재와 절망에서 나온 말이었다."

"언어는 줄무늬 비단과 같아서, 보는 각도에 따라 색깔이 달라진다."

"신비로운 법칙과 신비로운 선택으로 이루어진 인생의 강물은 황량한 강둑을 지나 흘러간다. 그리고 또 다른 황량한 강둑을 따라서 찰스는 자신의 시체가 실린, 눈에 보이지 않는 상여를 뒤따라 가는 사람처럼 걷기 시작한다. 그는 임박한, 그리고 스스로 선택한 죽음을 향해 걸어가고 있는 것일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는 드디어 자신에 대한 믿음 한 조각, 그 위에 자기 존재를 세울 수 있는 진정한 고유성을 찾아냈기 때문이다. 그는 아직도 비통하게 그것을 부인하려 하지만, 그리고 그의 눈에는 그 부인을 지지하는 눈물까지 고여 있지만, 그리고 사라가 어떤 면에서는 스핑크스 역할을 맡기에 유리한 점을 많이 갖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인생이란 결코 하나의 상징이 아니며, 수수께끼 놀이에서 한 번 틀렸다고 해서 끝장이 나는 것도 아니고, 인생은 하나의 얼굴로만 사는 것도 아니며, 주사위를 한번 던져서 원하는 눈이 나오지 않았다 해도 체념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그는 이미 깨닫기 시작했다. 도시의 냉혹한 심장으로 끌려 들어간 인생이 아무리 불충분하고 덧없고 절망적이라 할지라도, 우리는 그 인생을 견뎌 내야 한다. 그리고 인생의 강물은 흘러간다. 다시 바다로, 사람들을 떼어 놓는 바다로. "
by kinolife 2007. 1. 25. 00:27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이시영
출판사: 창작고 비평사
0000.00.00 초판 1쇄
가격: 2.500원
창비시선(010)

- 引火 -

아무도 눕지 않은 깊은 밤, 주검 곁에서 일어난
가난한 마음이 켜고 있는 불을 보아라
한 마음이 다른 마음을 위하여
숨 죽이며 켜고 있는 불을 보아라
이 밤이 지샐 때까지, 고요 뒤에 노리고 선
첩첩의 눈이 뚫릴 때까지
돌에 눌린 가슴을 찾아
이웃에서 이웃으로 몰래몰래 깜빡이는
한 사람의 새벽 불을 모아라.






- 이름 -

밤이 깊어질수록
우리는 누군가를 불러야 한다
우리가 그 이름을 부르지 않았을 때
잠시라도 잊었을 때
채찍 아래서 우리를 부르는 뜨거운 소리를 듣는다.

이 밤이 깊어갈수록
우리는 누구에게도 가야 한다.
우리가 가기를 멈췄을 때
혹은 가기를 포기 했을 때
칼자욱을 딛고서 오는 그이의
아픈 발소리를 듣는다.

우리는 누구인가를 불러야 한다.
우리는 누구에게로 가야 한다.
대낮의 숨통을 조이는 것이
형제의 찬 손일지라도

언젠가는 피가 돌아
고향의 논둑을 더듬는 다른 날선 낫이 될지라도
오는 조인 목을 뽑아
우리는 그에게로 가야만 한다
부르다가 쓰러져 그의 돌이 되기 위해
가다가 멈춰 서서 그의 짐승이 되기 위해

 - 갈 길 -

가야 할 길은 하나
등 뒤에 쓰러진 벗들, 발목을 붙들고
같이가자 소리쳐도
뿌리치고 걸어야 할 길은 하나
저 태양소리 없는 눈을 뒤집어 쓰고
까무러치는 곳
돌덩이 같은 달 파랗게 박힌 하늘로
지평선으로

부러진 팔 쓰린 눈으로
더듬어 찾아야 할 것은 하나
움켜쥐고 낯 비벼야 할 건은 하나
웃음으로 잠들어야 할 것은 하나
거기에 가서

목메이게 불러야 할 것은 하나
흔들어야 할 깃발은 하나
싸움이 끝난 땅에서
칼날이 잠든 땅에서

그러나 이내 걸어야 할 길
숨 막힌 방 쪽을 뚫고
갑옷을 뚫고
가야 할 길은 천리
함께 걸어야 할 그리움에
몸부림 치는 이름없는 벗들
못내 떨치고 가야 할 길은 만리
                              
by kinolife 2007. 1. 24. 09:16


글: 황지우

출판사: 풀빛
1987. 00.00 초판 1쇄
가격: 1,500원

- 40-2 -

칼이 없으면
날개라도 있어야 해

이건 네가 깨질때면
맨날 하는 소리였지

촛불이 타고 있는 동안
촛불의 靈魂은 타고 있다

네가 너의 날개를 달면
나에게 날아오렴

바람이 세운 石柱 위 둥지에
지지지 타들어가는 내 靈魂이 孵化하고 있어

칼만 있으면
질질 흐르는 이 石柱 밑돌을 쳐버릴텐데



- 508 -

어머니는 우리들 앞에서, 종종, 느그 아부지는, 하고 말을 잇지 못할 때가 있다.
그'아부지'라는 말에는 너무나 괜찮은 세월이 들어 있다.

- 109-5 -

치열하게 싸운 자는
敵이 내 속에 있다는 것을 안다.
지긋지긋한 집구석

- 144 -

샛별아
이 밤길을 너는 먼저 달려가 새벽 산길을 비추고 있거라
이 어둠 저편 누가 플래시를 버르장머리 없이 비추며 본다
두려워 말라, 그도 우리를 두려워 하고 있을 것이다.
어둠 자체가 무서운 것은 아니다.
무서운 것은, 다가오는 물체를 크게 보는 내 마음 속에 있다.
네가 자라서 너의 미래로 가는 길목에서 몇 차례
불심검문을 당하고 굴욕을 통과하여 더 탄탄해진
네 길을 갈 때 너도 알게 되리라
쉽게 승리에 도취되지 않고 먼 새별 산정에 이르는 길을.

- 18 -

수 많은 "너" 안에서 나는 "나"를 증언하게 된다.
너를 찾아서 명동 유흥가를 지나갔었다.
신흥 시가지 좋은 집들 사이사이에
아, 나는 황토에 부리 박은 옥수수나무 몇 그루를 본다.
머리로 갔느냐, 너, 원주민이여?
거기 사람 있으면 소리 지르고 나오시오
대답 없고
옥수수 나무만이 털을 꺼내놓고 靑?色의 개마고원으로 옮겨 간다

살아 있으세요. 그리운 당신

- 1.-

꼬박 밤을 지낸 자만이 새벽을 볼 수 있다.
보리, 저 황홀한 지평선을 !
우리의 새날이다
만세
나는 너다
만세 만세
너는 나다
우리는 全體다
성냥개비로 이은 별자리도 다 탔다.






by kinolife 2007. 1. 23. 17:5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Wasteground Circus
글 : 챨스 키핑(Charles Keeping)
그림 : 챨스 키핑(Charles
Keeping)
옮긴이 : 서예경
출판사 : 사계절
2005년 02월
가격 : 9,000

자신의 놀이터=빈터에 어느날 들어온 서커스 단...
한 친구는 서커스가 떠난 이후 쓸쓸한 빈터만 생각하고 다른 한 친구는 마음 속에 그린 빈터에서 벌어졌던 서커스를 가슴 속에 추억한다.

어릴 적 크레파스로 여러 책을 칠한뒤에 검음색을 크레파스로 다시 그리고는 날카로운 것으로 검은색 크레파스를 긁어내면서 그렸던 그림같은 기억을 되살리게 하는 챨스 키핑의 그림은 세밀한 캐릭터의 손짓만큼이나 화려한 색감으로 새로운 동와의 그림을 보여주는 것같다.

실제 초등학생이 읽기에도 전혀 손색이 없는, 다 큰 어른들이 읽어도 설득력이 있을법한 이야기가 고급스러운 그림 속에 담겨서 괜찮은 이야기 하나 만났네 하는 느낌을 전해준다.. 같은 사실에 대해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서 개인의 사고가 달라지고 그 개인들의 힘이 모여서 세상이 어떤 방향으로 변한다는 건 당연한 사실..문제는 어떠한 사실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인식하느냐 ...이 질문은 살아가면서 누구든지 죽을 때까지 해야만 하는 공기호흡과 같은 반복행위이니....과연 책을 읽은 애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
엄마 !! 진짜 서커스가 보고 싶어요...라고 할지...그 전에 빈터의 공터를 보여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언 뜻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 23. 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