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 97분

감 독 : 마이크 니콜스(Mike Nichols)
각 본 : 아론 소킨(Aaron Sorkin)
원 작 : 조지 크릴(George Crile)

촬 영 : 스테판 골드브래트(Stephen Goldblatt)
         
출 연 : 톰 행크스(Tom Hanks)        
          줄리아 로버츠(Julia Roberts)
          필립 세이무어 호프먼
           (Philip Seymour Hoffman)
          에이미 아담스(Amy Adams)

음 악 : 제임스 뉴튼 하워드(James Newton Howard)

오래간만에서 극장에서 만나는 3명의 걸출한 연기자를 만나는 것만으로도 이 영화의 미덕은 철철 넘쳐 흐른다. 영화에대해서 조금 관심을 가지다 보니, 영화의 주인공이 미국의 실제 하원 의원이며, 그의 역할이나 행동..그 시대의 역사적인 사건이 실화라는 사실을 접하고 미국의 재미난 사람들과 정치라는 생각을 영화만큼이나 하게 된다. 실제 챨리 윌슨 하원 의원의 의정 활동과 사생활, 성격 등을 넌픽션화 한 책이 나와 있지만, 국내에 그의 책이 출간 되었는지는 아직 확인을 하지 못했다. 특별히 영화 개봉에 맞추어서 원작의 책에 대한 홍보가 없는 걸 보면 없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 하원 의원 찰리 윌슨(Charlie Wilson)

탐 행크스가 만난 챨리 윌슨이라는 미국의 하원 의원은 젊은 시절부터 의원 생활을 시작해서 우연히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탈하고 있다는 사실에 호기심을 가지면서 소련과의 조용한 전쟁을 시작하여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군을 몰아내는 데 혁혁한 공을 세운 미국 의원계의 이단아다. 영화를 통해서 아주 흥미로운 사람이구나 라는 생각을 했는데, 영화 안에서 충분히 극화된 캐릭터일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여자 좋아하고 술 좋아하고..가끔 마약도 해주시는 자유 분방한 이 의원은 실질적으로 미국을 바꾸기 위한 획기적인 이슈를 만들고 하는 타고난 정치인은 아닐지 모르겠지만, 인간미가 넘치고 의원들 사이에서 무척 인간관계가 좋은..배포가 큰 사람으로 그려진다. 일면 조금 엉뚱한 면도 보이고 유아스러우면서도 단순해 보이는 고집스러운 성향이 영화 속의 큰 사건을 이루어 냄은 아주 자연스럽게 표현 해 주는 인물이다. 지극히 영화적인 캐릭터로 소화되기에 좋은 캐릭터를 골고루 가진 인물이었구나라는 생각을 쉽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연히 TV 프로그램을 통해서 보게 된 아프가니스탄의 현장모습과..그 전쟁의 현장을 역시 문제 삼는 최고의 로비스트 조앤과의 러브러브하면서 정치적인 우정 관계는 그를 단순하고 그저 그런 하원의원에서 순박한 반전 의원으로 탈골환태 시킨다. 영화는 그런 그의 인간적인 매력과 순수함에 쉽게 빠져 들게 한다. 우리가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1980년대 그것도 미국과 소련, 아프가니스탄이라는 이름들이 섞인 역사는 슬픈 무대 바탕으로 하면서도 매력적인 인물들로 인해 코믹하면서도 흥미롭게 영화 안에서 변모 해 버린다. 내가 하면 하는거라는 불도저 정신은 자신의 땅을 처 들어온 가난한 민족에게 승리와 함께 자긍심을 안겨주고...설렁 설렁 살아온 것 처럼 보이는 정치인에게 새로운 인생을 만들어 준다. 한 인간의 변화를 지켜보는 관객은 영화의  빠른 전개와  배우들의 명연기를 통해서 쉽게 영화 안으로 빠져들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치 영화라는 일부 관심자들에게 국한된 영화 소재적 한계는 탐 행크스의 물컹물컹한 연기와 줄리아 로버츠가 만들어대는 조앤의 태도들에 몰입하다 보면 이 영화가 정치영화지만 아주 재미가 있네 라는 느낌을 받게 되고..두말 할 나위 없는  필립 세이무어 호프먼의 질척한 연기에 빠져들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 3명의 헐리우드 명연기는 이 영화 속의 최고의 맛내기 양념이고 영화 전반적으로 균형을 잡아 즐거운 영화보기의 기쁨을 아낌없이 선사한다. 개인적으로 줄리아 로버츠의 경우는 배우 자체의 칼라가 강해서 미모의 로비스트로서 어떨까 궁금했는데...로비스트라는 의미가 단순히 미모가 아닌 매력과 개성...그리고 세계를 보는 시선에 따라서 충분히 다른 색깔을 낼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새로운 가능성으로 다가와서 조금은 신선했다. 필립 세이무어 호프먼의 울렁대에서 퍼져 나오는 그만의 색깔 가득한 목소리는 그가 나올 때 마다 귀가 즐거움을 다시 확인하게 하고 가끔식 씨익 쪼개주시는 얼굴 면면에는 연기인가? 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 정도로 영화 보는 재미을 배가 시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제 하원의원인 찰리 윌슨에 대해서 몰라도...1980년대라는 실제 시대적 상황에대한 사전 지식이 없다고 해도..미국의 정치 혹은 정치 라는 것 자체가..얼마나 사람들의 관계에서 만들어지며, 한 사람의 역할이라는 것이 어떻게 세상을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조금씩 생각할 여운을 남기는 부분이 있다. 영화 한 편을 통해서 일방적인 당시의 역사를 진단할 수는 없지만, 영화 안에서 국한에서 본다면, 전쟁에 반하고..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아이와 여자들이 전쟁에 희생되다니..내가 쓸 수 있는 미국의 힘이 조금 있다면 거기에 쓰고 싶어라는 단순한 인간의 생각과 그것을 실제로 실행하는 인간의 행동은 충분히 흥미롭지 않은가....

마이크 니콜스..톰 행크스..줄리아 로버츠..필립 세이무어 호프만...이 이름만으로도 쉽게 영화를 본 것에 후회하지 않으며 영화를 보는 동안은 충분히 즐거운 시간이었음을 다시 떠 올려본다. 순수하고 저돌적이며 유머러스라면서도 여유로운 매력의 소유자...그런 정치인을 가진 나라 미국...그리고 그런 실존 인물을 영화로 만들 수 있는 나라 미국..우리 나라에 비춰 보았을 때 저절로 고개가 절래절래 흔들거린다. 살아있는 사람 그 누구를 실제로 대놓고 비판하는 영화를 만들기도 어렵고...실존하는 그 누구를 대놓고 칭찬하면서 영화의 소재로 쓰기도 힘든 나라....정치라는 성역 안에 묶여서 소재의 제한을 받고 있는 한국에서는 이 코믹한 정치 영화의 제작 자체에 대한 부러움이 넘쳐나는 건 또 웬지 모르겠다. 실컷 재밌는 영화 보고 나서 불똥은 또 이상한 데로 튀어 버린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2. 19. 12: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미국, 107분

감 독 : 메노 메이제스(Menno MeyJes)
각 본 : 세스 배스(Seth Bass )
          조나단 톨린스(Jonathan Tolins)
원 작 : 데이빗 제롤드(David Gerrold)

촬 영 : 로버트 D. 예먼(Robert D. Yeoman)

출 연 : 존 쿠삭(John Cusack)
          보비 콜맨(Bobby Coleman)
          아만다 피트(Amanda Peet)
          소피 오코네도(Sophie Okonedo)
          조안 쿠삭(Joan Cusack)
          올리버 플랫(Oliver Platt)
          안젤리카 휴스턴(Anjelica Huston)
        
음 악 : 아론 지그만(Aaron Zigman)

세상의 모든 아이는 화성에서 지구로 와서 지구에 적응하기 위한 과정을 거친다. 아이의 성장과정을 이러한 화법으로 이해한 원작자 데이빗 제롤드의 상상력이 소박한 내음으로 만들어진 소품 영화. 그의 SF 소설집 속에 단편으로 씌어진 걸 원안으로 하는 이 영화를 보고서는 데이빗 제롤드의 원작 소설을 읽고 싶은 생각이 스물스물 들었다.

화끈한 재미나 역시 새끈한 소재가 들어 있는 영화는 아니지만 아이는 물론이고 어른들까지도 끊임없이 지구에 적응하고 지구에 살고 있는 사람과 시스템에 적용해서 커 가야 한다는 걸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휴먼 드라마. 보고나면 씩 가볍게 웃고 넘길 수 있는 부담 없는 영화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이 입양자였던 데이빗의 아내..그 아내가 살아 생전에 함께 입양하려고 했던 아이를 혼자서 키울 수 있을까..아이를 입양해서 키우는 것이 죽은 아내의 의도였을까 나의 바램이 있었던 걸까...SF 소설을 쓰는 영화의 주인공은 데이빗은 아이를 입양하는 것, 하지 않는 것 조차 결정하는 데 아주 어려우 하는 아이같은 어른이다.(모든 독신남들이 고민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런 그가 아내의 체취를 찾아가듯 그 아이를 보기를 몇일...웬지 또래 아이들과 다른 생각을 가지고 행동하는 아이에게 호기심과 함께 연민을 느끼기 시작한다. 입양원의 직원은 자신이 화성에서 왔다고 말하는 아이가 SF 작가인 데이빗에게 딱이라고 말하지만, 데이빗은 과연 아이를 받아들여서 함께 잘 생활 할 수 있을까...관심 만큼이나 부담감이 커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내의 사진을 만지작거리며..채 이뤄내지 못한 사랑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입양을 통해 이뤄보고자 데니스와의 생활을 결심 한다. 일정 기간 조금은 어색하고 서툰 이들의 동거 생활 속에서 스스로 누군가를 보살피는 생활을 통해서 스스로도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는 데이빗은 점점 더 데니스의 아버지가 되기 위한 훈련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아이와 싸우이도 하고, 설득하면서 지치기도 하고 먹을 것을 챙기고 스스로를 희생하면서 작은 흐뭇함과 기쁨을 느끼는 데이빗은 서서히 데니스의 아버지가 되어 가면서 진정 지구에서 원하는 어른이 되어 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자신이 버림 받았다는 것을 화성에서 온 것으로 표현하는 데니스는 데이빗과의 생활을 통해서 진정한 자신에 대한 사랑과 연대를 느끼게 되고 스스로 화성이 아닌 지구에서 태어나서 살아가야 하는 아이임을 인정하게 된다. 아이를 키우고 있는 내 눈에도 어른과 아이는 실제로는 큰 차이가 없음에도 어른들이 자신의 테두리 안에서 아이를 보는 것으로 해서 차이를 두고 있음을 스스로 느낄 수 있게 된다. 영화는 모든 어른들이 잊고 살아가는 스스로에게 과연 아이들에 비해 얼마나 스스로 성장한 존재인지 한번 되돌아 볼 수 있게 한다. 깊은 반성이 아니라 작은 되돌아 봄을 가능하게 하는 건 이 영화가 부담없이 받아들여지는 또 다른 부분이기도 하다.

존 쿠삭의 작가로서의 면모(아주 잘 어울린다.)와 실제 친 누나인 조안 쿠삭과의 조율은 실제 가족의 한 일면을 보는 것 처럼 편안하다. 함께 어울려 살아간다는 것..입양이든 그것과 또다른 형태의 가족이든 함께 살아가고 느끼는 타인은 모두 새로운 가족의 의미를 갖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들게 하는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2. 18. 13:30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출간일 : 2004.12                                                                 제작 년도, 제작국 : 2006년, 한국
                                                                 
글쓰고 그린이 : 강풀                                                                  감 독 : 안병기
출판사 : 문학세계사                                                                   각 본 : 안병기, 이소영, 조무상        
                                                    
                                                                                              출 연 : 고소영, 강성진, 장희진, 박하선,                                                                                                         유민, 김동욱       
                                         
                                                                                              촬 영 : 윤명식
                                                                                              음 악 : 오봉준

아파트...가장 편리하고 윤택해 보이지만, 가장 획일적인 주택 공간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주거환경이다. 우리나라 같이 땅은 좁고 사람이 재산인 나라는 어쩔 수 없이 많이 선택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인지도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공간에 대한 현실적인 낙담에 얻혀진 정감없는 모습에 그닥 매력을 느끼지 못한 주거 환경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그런 아파트 라는 일반적인 환경을주 무대로 벌어지는 강풀의 만화 아파트를 한국의 공포영화의 기린아라고할수 있는 안병기 감독이 2006년도에 영화로 만들었다가말 그대로 쫄딱 망했다. 아파트 값은 폭등해도 영화는 폭락해 버린 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강풀의 만화는 혼자밖에 없다는 외로움으로 서서히 피를 빼서 자살해버린 한 여자의 극명한 고독을 같은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에게 전이시키면서 연이어 사고나 자살이 이어지는 아파트의 기괴한 사실을 쫒아가는 백수의 인정어린 눈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강풀의 아이디어는 비교적 감성적인 면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을 정도로 외로울 수 밖에 없었던 한 인간에 대한 애잔함이 만화 곳곳에 묻어 있어서 비교적 썰렁해 보일 수 있는 작가의 의도대로 충분히 공포스럽기 보다는 조금 공포스럽고 많이 아픈 만화로 마무리 된다. 그런 아파트에서의 연쇄 사건....을 안병기는 현실적인 모토 안에서 연쇄 살인사건으로 치화해서 몇가지 변형을 주었다.

만화 속의 백수 청년은 인테리어 그 중에서도 매장의 DP를 중점으로 하는 캐리어 우먼으로 환치 시켰으며, 죽은 여자의 혼을 멀쩡한 남자의 몸을 통해서 연쇄 살인하는 것으로 극화 했다. 물론 그 살인의 배경에는 극도의 외로움이 아니라 혼자 남은 어린 소녀를 강간하고 협박하고 괴롭히고 폭력을 행사한 사람들 이른바, 아파트 주민들에 대한 복수로 그려놓아 인과 관계를 만들어 두는 변화를 주었다. 덕분에 내용은 말이 되는 것처럼 변화 되었지만 만화에서 느낄 수 있는 답답한 외로움이나 안타까움은 영화의 스크린 밖으로 사라져 버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파트 주민들의 악행에 대해서 처음엔 선의였으나 점점 더 악행으로 변환되어 가는 구체적인 이유 설명이 불분명하고(강간한 대학생이나 그의 엄마의 폭행 정도만이 설명이 되고...) 소녀를 상대로 신약을 실험하는 의사의 경우도 쉽게 이해할 수가 없다. 시간대를 과거의 회상과 현실로 썪어 둔 것 역시 현실적인 구사법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고 임의로 만들어 둔 인과 관계는 꼬이기만 할 뿐 명쾌한 답을 내포하고 있지 않아 보여서 그닥 극 안에 몰입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럼 결과적으로 영화보다 만화가 좋았다? 꼭 그렇다고 말할 수도 없는게 본 작품은 강풀의 여느 만화보다 재밌게 본 작품은 아니었다. 다르게 말하면 아파트라는 공간감이 적극적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충분히 매력적으로 이야기감이 되는 것인가 의구심이 들었다는 것이다. 원작에는 소소한 재미나 작은 긴장감이 주는 매력은 있지만 그것이 과연 영화로 만들어졌을 때 시너지를 넘어서는 폭발력이 있을 수 있었을까? 궂이 이 작품을 원작으로 삼아 영화로 만들 필요가 있었을까...라는 생각이 쉽게 들었다. 만화가 외로움과 죽음...슬픔의 전이라고 했을 때 그 사건의 근간이 되는 아파트라는 공간이 원인이면서도 문제 해결의 열쇠였음을 보다 영화 속의 공간감으로 풀어 낼 수 있는 묘안은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만이 생긴다. 고소영의 연기도 그닥 입을 댈때도 없지만 그닥 칭찬할 바도 없는 애매한 경계에 서 있고, 단순히 주인공의 무능력함으로 덮어버리기엔 영화가 가지고 있는 자체의 매력이 많이 떨어져 보인다. 스스로 문구용 칼로 살을 찔러대던 영화 초입의 자살녀는 왜 나온 것인지....아직도 그 이유에 대한 확신이 생기지 않는데 공포 영화만이 가지고 있는 어떤 연결고리를 내가 못 읽은 것인지..조금 답답하기도 하다. 극도의 잔인함도 대단한 인간적인 매력들도 없는 영화 속의 캐릭터는 감성 없이 사실로만 포장되어 버린 공포영화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줘 아쉬움이 큰 작품이다. 강풀의 조금 더 좋은 작품이 아주 좋은 영화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면 좋겠다는 작은 기대감만이 남는 순간이다.
by kinolife 2008. 2. 16. 01:30
2월 2일 땡땡데이 6%의 할인을 맞아 예스에 주문한 책들과 CD들...
거장이라 불리우는 신중현의 책들과 박스세트 덕분에 저거밖에 안되는 수량의 책과 시디가 20만원치다.

오랜동안 미루dj 두었던 신중현과 김민기의 책..그리고 내가 보고 싶어했던 책 두어권을 얹었다. 근래 한동안 신경을 끄고 살았던 북시디 중에 참한 것들이 있어서 샀는데..한수산의 딸..한강이라는 걸출한 소설가가 이제 노래를 만들고 불렀는데..이게 또 물건이다. 자신의 능력을 숨길 수 없는 이 끼넘치는 사람들의 비주류 감성에 찬사를 보낸다. 이 외에 찜해 두었던 김창완을 비롯한 몇몇 음악인들의 북시디도 조만간 구입을 해야겠다. 파스텔의 5주년 기념 음반을 사면서...웬지 그동안 나에게 잘해준 파스텔에게 보은이라도 하는 기분이다... 나름 색깔 있게 잘 빠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ll That My Life > My Shopping & Collec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01.21]엄마랑 우리 큰딸 장갑  (0) 2011.01.24
[Book] 여름의 책들  (0) 2010.08.11
다와 뮤직 CD 구입  (1) 2007.11.22
9월의 BOOK  (0) 2007.09.03
8월의 BOOK  (0) 2007.08.24
by kinolife 2008. 2. 16. 00:23
상효가 주식으로 돈 좀 벌었다고 사준 미스터 피자의 새 메뉴.."시상 마구 떠올라"라고 하던 그 피자 인것 같다.

피자헛보다 기름기가 적어서 선호하는 미스터 피자..비싼 가격 덕분에 일년에 한 3번 먹나 싶다. ㅋㅋㅋ
맛은 나지만..그다지 자주 먹고 싶진 않은 메뉴... 특히 싫어하는 진건씨가 웬일로 먹을 만 하다고 한다. 비싸거든요..진건씨...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2. 15. 23:12
시사회를 가기 위해서 부리나케 움직여 갔지만..어느새 빡빡한 시간에 도착을 했다. 1시 30분이 훌쩍 넘은 시간..배는 고픈데 후루룩 한 술 떠야 겠다 싶어서 먹은 대한극장 푸드 코트 내의 오징어 덮밥 정식...요즘 들어 매운게 자꾸 댕기는 데...대부분 맵기 보다는 달짝 지근하다. 시간을 내어서 제대로 된 낙지뽁음을 먹고 싶다. 진건씨가 못 먹는다는 게 아주 큰 흠이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교적 허접하진 않지만 평범한 분식점 맛.....


by kinolife 2008. 2. 15. 23:08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94분

감 독 : 김현석
각 본 : 김현석
촬 영 : 최진웅

출 연 : 임창정, 엄지원, 박철민, 이대연, 백일섭
          양희경, 이건주, 김희원, 윤찬식
음 악 : 이병훈

광주 출신의 괴물 투수 선동열에 관한 야구 영화...평상시에 야구에 미쳐서 산다고 하는 감독 김현석의 또 다른 야구영화다. 이로서 그가 야구와 기타 이야기를 엮은 작품으로 3번째가 되는 건가....솔직히 대박이나 흥행영화라고 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이렇게 일관되게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감독의 고집이 그져 부럽게 느껴진다.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일을 하고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그것만으로 충분하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영화의 이야기는 단순하게 괴물 투수를 영입하기 위한 대학 야구부의 스카우터에 대한 이야기에 머물러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 시점을 광주 항쟁이 일어나기 10일 전으로 해서 정치적으로 풀어 낸 감독의 재기 발랄함에 두 손을 들어주고 싶은 생각이 절로 든
다. 그저 웃기거나 단순한 야구 영화가 아니라..정치가 우리 삶과 따로 있는것이 아니듯이 야구도 우리 삶 안에 있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 같이 느껴질 정도로 이 뜬금 없는 두 이야기가 엮인 영화가 그저 생경하게만 받아들여지지만은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같은 해에 개봉한 영화 <화려한 휴가>의 5.18에 대한 직설화법 보다는 일상 속에 5.18의 피페함을 그려낸 이 영화가 더 깊게 머리에 남을 것 같다. 여기엔 두 명의 실제 인물이 영화에 실명으로 등장하는데, 영화의 주 이야기거리가 된 괴물 고교 투수 선동열과..5.18과 함께 할 수 밖에 없는 이름 전두환이 바로 그들이다.

광주에서 벌어지는 이 짧은 이야기에는 정치와는 상관 없었던 광주 사람들과 역시 더더욱 상관이 없었던 야구선수들...그리고 이들에게 그 상관없는 삶에 피를 흘리게 만든 대구의 전두환에 대한 이야기들이 아주 지능적으로 버무려져 있다. "머리 벗겨진 아저씨가 뭐가 멋있어요?"라고 말하는 실제 대구 아가씨 엄지원...아니 "남자(연애상대)로서가 아니라..남자(정치인, 군인)으로서 말이지"라고 말하는 대구와 광주 밖의 남자 임창정..영화는 80년을 지나오면서 지역색이 생길 수 밖에 없었던 한국사를 유쾌하게 비틀어 준다. 가벼워 보이지만, 결코 가볍게 받아들여지지 않은 영화의 설정은 그래서 더 오래 남는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의 모티브가 되었던 선동열 역은 순돌이로 알려진 이건주가 맡았는데, 나오는 분량은 작았지만 적절한 캐스팅이라고 말 할 수 있을 정도로 영화 속에 아주 잘 녹아 있다. 선동열의 가족...이건주, 백일섭, 양희경 모두...영화는 자연스러운 캐스팅이었던 것 같은 생각이 절로 든다. 어 사진을 비교해봐도..음 이미지가 비슷한거 같네...라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실제 살아 있는 사람을 모델로 한다는 건 어려운 일이고 특히 그걸 연기로 한다는 건 정말 부담스러운 일인데..소재로 쓰였기에 그 부담감 없이 영화가 진행 될 수 있었나 보다.

2000년대를 살아가지만, 호남과 경남의 정서적인 괴리를 어떻게 그렇게 쉽게 풀어 낼 수 없는건 역시 5.18과 전두환이 가로 놓여 있기 때문이라는 역사적인 결과를 비켜가기란 쉽지 않다. 단순한 야구 영화에도 광주일고의 선동열이었기에 자연스럽게 광주,,,5.18,,,전두환이라는 실제 인물이 오버랩이 되고..현대사가 묶이게 되고 픽션으로 그려져도 아픔이 남는 건 그런 부분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영화의 초입에 이 영화는 절대적으로 픽션이라고 못 박는 감독의 강조 역시도 어느 정도 이해가 되는 부분이 바로 그런 면이다.

아픈 역사와 야구 신동..그 사이에 연애 이야기까지 엮은 영화 속에서 사랑을 하는 두 남녀..그리고 그들이 헤어질 수 밖에 없었던 개인의 역사적인 위치까지 영화는 복잡한 여러 이야기를 아주 잘 버무려낸다. 역시 사랑을 감내하기에는 버거운 당시의 역사가 더 깊게 영화 속에서 맴돌고 있는 것 같다. 영화 안의 주인공들의 눈물과 이별.."미안해...."라고 밖에 할 수 없었던 사람들과 영화 속의 총성처럼..선동열을 놓친 스카우트 처럼...아쉬움 투성이의 역사를 우리가 갖고 있기 때문이다. 1980년이 아프고 광주라는 역사가 부끄럽고 삶이 한없이 허전해 지는 건 그런 역사를 거쳐온 모든 이들의 작은 양심이 쿰틀거리기 때문일테다. 난 이 영화를 재미있게 봤다. 그리고 얄팍하게 그린것 처럼 보여도 지능적으로 그려낸 감독의 소양과 끊임 없는 관심도 좋다. 영화의 한 중간..역사의 일면에 서 있었던 선동열과 이종범이 이 영화를 어떻게 봤을까..왜 이리 궁금한지 또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 30. 14:04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 제 : 우먼스 비트 가네보 스페셜 21
제 작 : 니혼TV
방 영 : 2003

감 독 : 아마미야 노조무

각 본 : 미즈하시 후미에(水橋文美江)
원 작 : 마타키 세이코

출 연 : 무로이 시게루(室井滋)
          미네 류타(峰竜太)
          아이바 마사키(相葉雅紀)
          쿠사부에 미츠코(草笛光子)
          아소 유미(麻生祐未)
         
음 악 : 오오시마 미치루(大島ミチル)

사용자 삽입 이미지
회사를 그만 둔 철업는 아버지가 순수한 어머니만을 믿고 시작한 노인들을 위한 케어 회사...자신의 집을 빚을 내어 개조하고..주변의 동네 어르신들을 돌보는 데이 헬프 서비스를 위한 공간사업을 시작한다.

치매에서 부터 다양한 종류의 어른들을 모시다보니 생기는 가족간의 문제를 다룬 드라마. 일본의 화장품 회사인 가네보의 지원을 받아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특집극이다. 덕분에 가네보에서 나오는 중요한 제품들에 대한 광고는 드라마 중간 중간에 하도 많이 나와서 중독이 될 정도로 본 것 같다. 다양한 화장품과 케어 제품들까지..제품도 많고 광고도 참 많다.

지고 지순한 마음 하나 만으로 어른들을 모시면 된다고 생각하는 어머니와 실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통해서 조금씩 노인분들을 모시는 것에 대해서 배워 가는 주인공..그리고 주인공의 끊임없는 열정과 정성에 조금씩 감동을 받는 노인들과 그 가족...그리고 간호사를 비롯한 전문가들....사람을 다루는 일에 마음만큼 중요한 것이 있을까..라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된다. 특별할 건 없지만 소중한 가족과 사람에 대한 짧은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by kinolife 2008. 1. 30. 13:4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 : NTV
방영일 : 2005.03.01

연 출 : 아메미야 노조미(雨宮望)
각 본 : 이노우에 유미코(井上由美子)
원 작 : 후지사키 마리(藤﨑麻里)
 
출 연 : 시노하라 료코(篠原涼子) ,           니시지마 히데토시(西島秀俊)
          무로이 시게루(室井滋),               후세 히로시(布施博)
          미네 류타(峰竜太)                      이즈미야 시게루(泉谷しげる)
          아치와 사토미(阿知波悟美),         나카지마 쇼코(中島唱子)
          야자와 신(矢沢心) ,                    덴덴(でんでん)
          이시이 켄이치(石井愃一) ,           무라스기 세미노스케(村杉蝉之介)
          엔도 유미(遠藤由実),                  히노 요진(日野陽仁) 
          토다 마사히로([戸田昌宏),          후지타 소큐(藤田宗久) 
          시시도 미와코(宍戸美和公),        소가와 루미코(曽川留三子) 
       
음 악 : 이토카와 레이코(糸川玲子)
주제곡 :  心はいつでも17才 by 타케우치 마리야(竹内まり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든 중독은 의지 박약..혹은 자기애 부족 쯤으로 곹오 분모를 찾아볼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중독은 그만큼 나약한 인간들의 면모를 보여주는 아주 보현적인 양상이 아닐지 모르겠다.

도회지의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시를 술로 풀어오다 자신도 모르게 알콜 의존증이 되고 고향으로 돌아와 결혼을 하고 아이까지 가져서 키우는 아내가 되고 엄마가 된 여자도 알콜 의존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괴로워 하는 과정을 다룬 드라마. 특집으로 제작된 드라마에는 평범해 보이는 일상에서 가장 흔해 보이는 술에 의해서 한 인간이 어떻게 폐인이 되어가는지를 너무 끔찍하게 보여준다. 몸의 이상증상은 바로 정신적인 피폐함으로 이어지고, 그런 한 인간을 받아들이는 건 역시 본인 못지 않게 주변인들에게도 고통스러움 임을 드라마는 감추지 않고 보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도 모르게 자신을 억압해 왔던 일들이 자신이 최고의 폐인이 된 이후 그걸 인정하게 되고, 완변한 한 인간이 되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는 게 인간이라는 걸 알기 위해 알콜중독이라는 큰 홍수를 치러야 했던 드라마 속의 인간의 우매함이 궂이 일부만이 가지는 건 아니라는 생가이 든다. 본인데게 철저하거나 혹은 너무 철저하지 않거나..그 둘 모두를 인식하지 못하는 인간들이 쉽게 유혹에 넘어 갈 수 있는 것들은 아주 많다는 생각이 든다. 술, 담배, 도박, 중독성 약물이나 기타 여러가지들의 인간의 일상적인 삶을 비웃들이 방해한다. 드라마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알콜 자판기는 조금 놀라웠는데...국내에서는 청소년 보호 때문에 일상적인 장소에서는 자판기에 술을 팔지는 않나 본데, 드라마 속에서의 알콜 자판기는 정말 쉽게 유혹에 빠져들게 하는 것 같은 설정이 자주 나와서 무섭다는 생각이 스쳐 들기도 했다.

어디에 무엇이 있든, 어떤 유혹이 있든 이겨내야 하는 것이 또 인간이 가져야 하는 강인함 면모 이겠지만, 이 역시도 불완전한 한 인간에게 그러한 힘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가족인지, 본인에게 주어진 역할을 바로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자세인지, 교육인지 혹은 살아오면서 겪는 갖가지 일들로 스스로를 단단하게 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태어날 때부터 부여받는 유전자인지 딱히 정답이 없어서 그저 운이지 라고도 할 수 없는 것이 인생인 것 같다. 그저 이런 무서운 걸 보면...있을 때 아끼고 잘 쓰는 법을 익혀야 겠다는 생각만이 들 뿐이다. 무엇이든 나를 놓고 나면 다시 잡기가 너무 힘드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 26. 22:53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2년, 81분

감 독 : 마에다 테츠(前田哲)
각 본 : 이마이 마사코(今井雅子)

출 연 : 미야자키 아오이(宮崎あおい)
          카츠지 료(勝地涼)
          오오이즈미 요(大泉洋)
          하기와라 마사토(萩原聖人)
          마츠다 미유키(松田美由紀)
          토쿠이 유(徳井優)     
          마츠다 카즈사(松田一沙)     
          노무라 에리(野村恵里)     
          오오모리 나오(大森南朋)     

음 악 : 야마모토 히메코(山本姫子)
주제곡 : "炭酸水" By Whiteberry

지극히 단순한 소품영화..허리를 삐긋해서 바른 파스 떄문에 자고 일어나서 엉덩이에 꼬리가 달려버린 어느 여중생의 이야기. 파스회사에서 실수로 만든 강력 파스 덕분에 그 파스를 바른 사람들이 엉덩이에 꼬리가 달려버린다. 남들에게 말하기도 그렇고 혼자 몰래 삭히기에도 그렇고 그런 인생 일대의 고민을 지니게 된 사람들의 환타스틱한 이야기..동화보다는 만화에 가까운 소재를 잔잔하게 그려낸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유도 모른채 허리에 꼬리가 달려버린 히카루는 좋아하는 동급생에게서 서서히 피하게 되는 자신을 모습을 발견하게 되고 말 못할 고민으로 의기소침해 진다. 그런 그녀의 고민과는 상관없이 특종을 잡는 신문사의 기자 손에 걸려서 신문에 노출이 되어 버린 히카루...그런 히카루의 고민을 언니도 덜어주려고 하지만..즐겁게 받아드리고 말기에는 고민의 깊이가 너무 크다. 히카루의 꼬리가 하나의 의상 소품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꼬리 장식을 만들어서 함께 하기도 하지만, 이내 신문에 실리는 빌미를 제공하게 되고..히카루의 고민도 깊어간다. 가족들도 모두 알게 되면서 어찌할바를 모르는 히카루..그러나 꼬리가 달리든 달리지 않았던 히카루는 히카루라는 가족의 응원에 힘입어 자신에게 꼬리가 달리게 된 것에 대해서 방송에 알리는 히카루...그 당당함에 일약 동네 스타가 된다. 언니가 만드는 여우 꼬리 소품과 옷들은 날개돋힌 듯 팔리고 온 가족이 즐거운 일로 받아들일려고 노력 한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히카루는 인간 여우로 변모 시켜 불온한 대상으로 이미지화 시킨 동네 주민들은 히카루를 같은 동네에서 함께 살 수 없는 존재로 부각시킨다. 결국 정부의 개입으로 인체 실험까지 하게 된 히카루는 자신의 젊은 인생을 이렇게 마감한다고 생각하고 순순히 응한다. 그러던 찰나 기업의 도뎍 윤리와 한 개인의 희생에 눈을 뜬 파스 회사는 이게 파스 오남용의 결과이지 인간 여우 따위는 없다는 것을 얼론에 노출하면서 히카루는 꼬리가 달렸지만 이전과 별반 다를 것 없는 삶을 살 수 있는 기회를 다시 찾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금 싱겁기도 하고 우습기도 한 소재를 짧게 풀어낸 이 영화는 영화의 소재나 흥미...혹은 영화를 보는 재미 보다는 한 개인에게서 벌어지는 일을 미디어가 어떻게 대중에게 알리고 소모하는지를 그리고 그 미디어의 정보를 많은 대중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자기화 해서 받아들이는지를 끔찍하게 보여 준다는 점에서 미디어의 문제점을 폭로한다는 메세지가 더 눈에 들어 오는 영화다. 한  동네의 스타가 되었다가 다시 동네에서 몰아내야 한느 존재로 변모하는 주인공의 모습에서 추앙해야 할 인물과 짤라내야 하는 인물에 대한 간극이 애매모호하며 집단적으로 만들어 낸 논리가 한 개인에겐 어떠한 의미가 되는지를 아주 잘 보여주는 면모가 있다. 영화의 주된 줄거리나 내용과는 어느 정도 중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주인공의 신체에서 벌어지는 변화 못지 않게 주변의 시선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되고 움직이며 등장인물의 캐릭터가 거기에 따라서 반응을 한다는 점은 흥미로운 부분이다. 다른 사람의 시선과 상관없이 나와 연관되어 있는 개인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우며..또한 그런만큼 그 일이 얼마나 가치 있는지 어느 정도는 짐작해 볼 수 있는 면이 있는 것이다.

조금은 만화같은 소재지만..충분히 볼만한 요소가 있는 소품...큰 욕심 없이 있는 그대로 담백하게 그려낸 감독의 소양도 영화를 과욕에 빠트리지 않게 하는 부분이다.
by kinolife 2008. 1. 25. 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