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KITTEN'S FIRST FULL MOON
글 : 레이첼 이사도라(Rachel Isadora)
그림 : 레이첼 이사도라(Rachel Isadora)
옮긴이 : 이다희
출판사 : 비룡소
출판일 : 2006년 11  초판 6쇄
가격 : 7,500

흑인=스포츠, 음악
그러한 등식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지만 아름다운 메세지가 있는 동화책이다. 일단 우리들에게 있어 흑인의 이미지는 교육을 받지 못한, 가난한, 지저분한 이라는 선입견이 있지만 이건 대부분 잘못되 교육에서 부터 시작된 아주 나쁜 편견이다. 그러한 편견을 그나마 상쇄시키는 것이 스포츠 스타와 음악인들일테다. 흑인에게 있어 음악, 그리고 재즈에 대한 작은 이야기를 담은 이 동화책은 짧지만 깊은 감동을 전해준다. 왜 오랫동안 출간이 되고 꾸준이 팔리는지는 그 책안에 해답이 있는 셈이다.

가난한 흑인 소년이 재즈 클럽 앞에서 트럼페터로서 꿈을 키워과는 과정..그리고 클럽의 트럼페터와의 우정과 소년의 꿈이 커과는 모습을 통해 가난한 한 가족에도 밝은 미래가 있을 수 있음을 소년의 성공이 아니더라도 미래를 바라보는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성장동화로써 이 동화책이 주는 감동은 꽤 큰 편이다. 아이랑 함께 읽으면서 트럼페터가 무언지도 이야기 하고 기회가 닿아 집에 있는 윈튼 마샬리스의 음악도 들려주었다. 하나의 악기와 그 안에 담긴 음악이 개인의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그 큰 힘을 미루어 짐작해 볼 만 하다. 동화책 속의 그림자 그림을  비치는 A4 용지를 이용해 그리고 그걸 색칠해 보기도 했는데...책 한권으로 음악과 미술수업 못지 않은 공감을 해 본 셈이다. 꽤 본전 생각 안나는 오롯한 동화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2. 5. 15:5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TX
방영타이틀 : 드라마 24
방 영 : 2007.07.13 - 2007.09.28

연 출 : 아카바 히로시(赤羽博)
원 작 : 마사키 소코(真崎総子)

출 연 : 나카무라 아오이(中村蒼)
          스기모토 유미(杉本有美)
          사이토 타쿠미(斎藤工)
          오자와 카즈히로(小沢一敬)
          카슈 토시키(賀集利樹)
          이케우치 히로유키(池内博之)
          마리에(マリエ)
          츠츠이 마리코(筒井真理子)

여기 샤방샤방한 젊은이들이 젊은 여성의 아름다움을 가꾸기 위해 모였다. 이른바 남성들이 꾸려가는 에스테틱...예전에 중국 여행을 갔을 때 발 마사지를 하는데 여자는 남자에게 남자는 여자에게 발 마사지를 해 주는데 그게 일종의 음양의 조화와 관계된 것으로 같은 성이 할 때 보다 더 효과가 좋기 때문이라고 한 기억이 난다. 일종의 기 효과일 수 있겠는데, 서로에게 흐르는 기가 전해주는 효과라는 것인데...그럴듯 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 드라마 속의 남성들은 그런 음양의 조화를 통해 생업에 종사하는 모습을 다루고 있다.

약간 호스트 같은 이미지를 풍기는 이 젊은이들은 젊은 여성들이(아니 가끔 나이든 아줌마도 찾아드니 젊은 여성만을 위한 건 아닌 듯 하다.) 자신들의 손에 의해 아름다워 지기를 바라면서 마사지를 한다. 드라마는 그런 무대를 통해 이른바 '신의 손'(일본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다. 사람을 감동시키는 어떠한 것..이 드라마 속에서는 손이다.)을 가진 히비키 군이 에스테틱에서 넘버 원이 되는 과정을 그려낸다. 철부지 마사지사에서 고객을 감동시키고 실질적으로 체중 감량효과와 피부를 좋아지게 하는 최고의 마사지사로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타고난 신의 손에 고객을 위한 마음이나 태도도 배우게 되고 실질적으로 신의 손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까지도 연마 하는 것. 그 안에 삼겹배 소녀로 통칭될만한 시즈카 상과의 로맨스를 통해서 풋풋한 젊은이의 사랑까지도 다뤘다. 하지만 꽤 지지부진한 로맨스와 같은 에스테릭의 선배와의 삼각관계는 꽤 지루한 면모까지 보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삽겹살배 소녀 시즈카 상을 맡은 배우는 신예인듯 한데..꽤 이쁜 외모에 작위적인 연기가 꽤 인상적이었다. 소재에 비해서 소소한 에피소드들이 약하고 조연들의 캐릭터 역시 좀 진부하면서 단조로운 느낌이 강한 드라마이다. 일본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장인이 되기 위한 과정, 코믹한 가족, 최고가 되어야 하지만 진실과 정의를 위한 달금질을 필수로 하는 것, 꼭 빠지지 않는 대결 등등이 결합되어 있지만 드라마는 진부하고 단순하다 .덕분에 꽤 재미없게 돌려보고 싶은 유혹을 드라마를 보는 내내 가지면서 드라마를 보게 됐다. 그 결과까지도 그다지 궁금하지 않다고 할까. 그 원인의 가장 큰 부분은 캐릭터들이 가지고 있는 밋밋함과 작위적임이라는 생각이 든다.

일본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멋있는 척이 이루어지고, 끝내는 주인공들이 자기의 자리를 찾아가지만 ,그 당연한 결과까지도 뻔하다는 느낌이 강했다. 드라마 속의 대사도 일반적인 생활용어들만이 가득해서 산뜻한 소재의 식상한 진행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 같았다. 독특한 직업의 세계 역시도 특별한 기억이 없게끔 밋밋함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끝까지 다 보는데 꽤 긴 시간이 걸린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2. 5. 10:2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KITTEN'S FIRST FULL MOON
글 : 케빈행크스(Kevin Hanks)
그림 : 케빈행크스(Kevin Hanks)
옮긴이 : 맹주열
출판사 : 비룡소
출판일 : 2006년 03  초판 9쇄
가격 : 9,000

흑백의 담백한 그림이 아이에게 친근감을 전해 주는 동화책.

달에 비친 그림자를 보고 자신이 먹던 우유접시로 착각한 고양이의 순진한 행동들이 귀엽게 받아들여져 아이도 즐겁게 본 동화책이다. 아이에게 있어 그림책에 나오는 고양이는 귀엽고 친근한 존재인것은 틀림이 없는 것 같다. 몇일 동안 계속애서 고양이 읽어달라고 한 딸아이 덕분에 연이어 3번씩 보는 수고를 거쳤지만 전혀 지루하거나 괴롭지 않았다. 나중에 시간을 내서 동화책의 순박한 고양이를 그려봐야 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2. 1. 10:52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 마가렛 와이즈 브라운(Margaret Wise Brown)
그림 : 김진화
옮긴이 : 최재숙
출판사 : 비룡소
출판일 : 2006년 03  초판 9쇄
가격 : 9,000

외국 작가가 글을 쓰고 국내 작가가 그림을 그린..동화책...단적으로 보면 내용보다 그림이더 눈에 띄는 작품이다.난 자동차가 좋아..난 기차가 좋아...난 배가 좋아...탈것에 대한 다양한 나열이 동화책의 전부 이다 보니, 다양한 차와 기차, 배에 대한 그림들이 아이들의 시선을 끈다. 동화책의 내용보다 동화책 속의 그림들을 아이와 함께 나누면서 조금은 즐거운 시간을 가질수 있는 동화책<그림책이다.

자동차에 대해서, 기차에 대해서..그리도 아직은 타 보지 못한 배에 대한 이야기들이 아이들이게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 같다. 실제 경험했던 걸 이야기 하게 하는게 더 흥미로운데..이 동화책은 그 동기를 부여하면서도 실제로는 보지 못했던 차와 기차 배에 대한 동경을 그림으로 보여줘서 흥미거리가 된다. 그림도 귀여워서 꽤 아이이에 호응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1. 6. 15:30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4년, 일본, 123분

감 독 : 시노하라 테츠오(篠原哲雄)
각 본 : 하세가와 야스오(長谷川康夫)
 
출 연 : 카리나(香里奈)
          타니하라 쇼스케(谷原章介) 
          나리미야 히로키(成宮寛貴)
          카네코 사야카(金子さやか)
          쿠온 사야카(久遠さやか)
          나가사와 마사미(長澤まさみ)
          오오모리 나오(大森南朋)
          키타무라 사부로(北村三郎)
          요시다 타에코(吉田妙子)   

음 악 :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

오키나와의 사탕수수 밭, 자신의 삶에서 조금은 떨어져 자신을 돌아볼 여유가 필요한 청춘들이 은둔을 겸한 외유를 위해 모여든다. 늦봄에서 여름까지 사탕수수밭에서 사탕수수를 거두는 노동에 참여하는 것. 과한 노동은 오히려 정신을 맑게 할 수 있다는 삶의 철학이 영화의 주된 분위기를 좌지우지 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들을 위해 소아과를 신청했지만, 너무 어린 나이에 생명을 잃는 아이들에 대한 괴로움을 안고 있는 의사, 아버지에게 허락받지 못한 아이를 임신한 간호사, 지지리 실력이 없다고 스스로를 단죄해 버린 야구선수, 너무 어린 나이에 삶을 접어버릴 생각을 했던 소녀...그리고 그 안에서 자신의 삶을 다시 찾고자 하는 많은 청춘들이 낯선 오키나와의 섬으로 모여든다.

처음엔 '노동'이라는 것을 감당할 수도 없을 만큼 나약한 육체와 정신력을 가지고 있던 이들이 서로에게 조금씩 관심을 가지고 삶 자체에 여유를 가지게 되면서 사탕수수를 베는 기술이 늘 듯...이들 사이엔 협동심과 마음의 여유가 조금씩 생긴다. 본인 스스로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시간..모든 인생에는 심호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영화는 조용한 어조로 나즈막하게 알려주는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너무 더워서 피하고 싶고,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생경해서 또 불편했던 이들에게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다가오는 친밀감 만큼이나 할아버지 할머니의 밭에 있는 사탕수수를 다 캐겠다는 의지도 커지고...한동안 스스로를 원망하고 미워했던 마음에는 자연스러운 치유가 일어난다. 물론 영화 속에서 그려지는 이들의 과다한 노동이 주는 미학은 실제 과한 노동을 통해서 삶에 대한 애착을 느껴 본 이들에겐 실로 이해하기 쉬운 설정이다. 몸이 너무 힘이 들 때는 그저 내 몸에 휴식을 주고 싶다는 목적만이 생기고, 그런 원초적인 자기애가 자신도 모르게 마음의 치유까지 가능하게 하는건지도 모르겠다. 누군가는 배부른 자들의 잠깐의 외유하고 볼수도 있겠지만, 이런 과정조차 없는 이들의 청춘이란 얼마나 나약하고 획일 적인가!  낯선 자기의 삶을 떠나 새로운 경험을 해 본다는 것..그것이야 말로 청춘이 가진 가장 값진 키가 아닐까. 그 청춘엔 미처 모르는 인생의 묘미를 영화는 숨기듯 숨기지 않듯 보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의 말미, 학교 떄 수영 시합 전에, 아버지가 출발 전에 크게 숨을 쉬라고...그 숨을 쉬느라 시합에서는 꼴찌를 했지만, 그 때만큼 수영을 한다는 것이 좋은 적이 없었다는 건....인생살이에서 호흡과 템포의 조절이 얼마나 중요한지 스르륵 전해 주는 것 같다.

조금은 쉬었다 가자는 구호보다는 인생을 쉬듯이 편하게 접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가지게 하는 영화... 특별한 사건 없이 오키나와의 어느 촌 마을의 활기찬 일상을 전해주는 영화는 영화 속의 주인공들이 흘린 땀 만큼이나 생에 대한 강한 애착을 쉬엄쉬엄...숨을 쉬는 것 처럼 편안하게 전해 준다.

이런 류의 일본영화가 주는 미덕은..사는게 그런데...라는 여운을 조금이나 전해 준다는 것....지금 내가 살아가는 삶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것은..지나온 삶에 대한 추억보다 소중한 것이라는 걸 일깨워준다. 조금 루즈해진 삶이라는 생각이 든다면,과거 자신이 가진 고통을 노동과 자신이 경험해보지 못했던 환경 속에서 찾아볼려는 영화속의 이들의 삶을 잠시 들여다 보는 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1. 6. 15:13
집에서 삼겹살을 구워 먹으면서 동네에서 잘 한다는 집에서 막창을 좀 사가지고 왔다.

초벌구이를 해 와서 먹는 거라 살짝 데우는 수준으로 먹었는데 기름이 쏙 빠진 것이 꽤 먹을 만하다. 꼬마들도 삼겹살보다는 막창이 맛있단다. 맛은 알아가지고들..오래간만에 먹은 삼겹살과 막창..참 만나다. 동생네랑 같이 먹어서 더 그런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1. 5. 22:26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 카타야마 켄
그림 : 카타야마 켄
옮긴이 : 김난주
출판사 : 비룡소
출판일 : 2001년 05  초판 2쇄
가격 : 6,000

아이가 잠깐 잠든 사이에 시장을 보러간 엄마, 그 틈을 채 버티지 못하고 깨어버린 아이...
그 아이의 마음으로 바라다본 동화책... 엄마가 없는 곳은 집이 아니라고 역설하는 어느 아파트 CF처럼 엄마가 최고의 친구이자 보호자인 어린 아이에게는 엄마가 없는 집은 공포 일지도 모르겠다.

그런 아이의 황량한 마음을 담백한 수묵화로 담아낸 일본 작가의 동화다. 일본 작가들에게서 쉽게 볼 수 있는 일상적인 동화가 아이에게 똑같은 질문을 대뇌이게 한다. 코코 집이다. 강아지 집이다. 코코는 혼자다 라고 반복하는 딸 아이에게..엄마는 곧 돌아온다...엄마가 없어도 먼저 울기만 하면 안된다. 바람이랑 구름이랑 새랑도 친구가 될 수 있는 아이가 되었음 좋겠다라는 기억 못할 주문을 되내어 보게 하는 책이다.

특이한 구성이나 쌈빡한 줄거리는 아니지만..아주 짧은 시간 아이와 엄마의 교감에 대한 작은 생각을 갖게 하는 동화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1. 5. 21:57
어머님이 병 투병 하시기 전에 공장 근처에서 애써 주워 오셨다던 은행...은근히 중독되는 맛이 그리워서..조금은 싸서 친정집으로 왔다. 아이들이랑 함께 전자렌지에 돌려서...함께 까 먹는 재미가 쏠쏠하다. 어머님이 다시 건강해 지셔서 이 싱싱한 은행을 다시 편하게 맛 볼 수 있음 좋겠다는 일상적인 행복에 대한 고마움을 어머님의 손길이 담긴 은행을 먹으면서 다시 떠올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0. 22. 01:25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방희종
출판사: 뉴런(NEWRUN)
2007.10 초판 1쇄
가격: 10.000원

여행 관련한 수필집을 읽을 때면..인생 머 별 것이 있다고 못 떠나는 것일까? 혹은 이와 비슷하게 무엇이 그렇게 아깝다고 버리지 못하고 살까...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제까지의 경험상...여행을 갔어도 쉽게 감탄하고 다시 돌아와서는 또 쉽게 잊어버리고 산 것 같기는 한데...여행은 삶 만큼이나 큰 동경이고 끝내 풀리지 않는 갈증 같은 것이다.

작년 말 회사를 나오면서 함께 일했던 아이가 선물해준 책을 이번에 책장을 정리하다가 언뜻 생각이 나서 여행에 대한 사념에 다시 빠져보게 된다.

잘 나가는 서울의 직장남이 배낭을 메고 세계로 떠난 여행기를 일기같은 수필로 적어내려간 이 책은 욕심을 가져봤자 살아 있는 동안 잠시 가질 뿐이라는 인생의 교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끔 했던 기억이 문득 떠오른다. 책값도 착해서..므흣해 하면서 본 기억도 요상하게 오버랩이 된다. 세상의 잘 만들어진 여행책은 여행을 꿈꾸게 하는데..이책 역시 마찬가지다.
by kinolife 2008. 10. 22. 01:08

제 작 : TBS
방영타이틀 : 목요극장
방 영 : 2007.07.05 - 2007.09.13

연 출 : 요시다 아키오(吉田秋生)
          카토 아라타(加藤新)
         모리 카즈히로(森一弘)

각 본 : 아라이 슈코(荒井修子) 
          와타나베 치호(渡辺千穂)
원 작 : 이가라시 타카히사(五十嵐貴久)

출 연 : 에스미 마키코(江角マキコ)
          노기와 요코(野際陽子)
          사와무라 잇키(沢村一樹)
          카타세 나나(片瀬那奈) 
          카네다 아키오(金田明夫)
          오오시마 요코(大島蓉子)
          이시이 토미코(石井トミコ)
          시라이시 미호(白石美帆)
          아오타 노리코(青田典子)
         시부키 준(柴吹淳)
         이토 리카(棟里佳)
         우지이에 메구미(氏家恵)
         사노 시로(佐野史郎)
         아사다 미요코(浅田美代子)

며느리와 시어머니의 관계란 정말 개와 고양이의 관계와 같은 것일까? 이 드라마는 그 시어머니와 며느리
의 관계를 마주보는 집 사이를 두고  각각의 에피소드를 통해 우회적으로 보여준다. 일본의 전통문화와 정신에 전문적이면서도 고집스런 지식과 의지가 있는 시어머니와  잘 나가는 체인초밥집을 운영하는 신세대 며느리와의 싸움 아닌 언쟁과 전쟁 아닌 다툼들이 드라마를 이어가는 가장 큰 이슈이다. 집안 대소사는 물론 며느리의 일과 연관된 사건들에도 이들의 전쟁은 결코 멈추는 법이 없는데 때론 똑똑한 며느리와 역시 똑 부러지는 시어머니 사이에서 벌어지는 여성들 간의 새대를 뛰어넘는 지능게임을 보는 듯한 인상을 전해준다. 세대를 대표하는 주장들과 빠른 시대를 동시에 살아가는 고부간에 대한 일본식 전개는 조금 과장되어 있는 표현을 뺀다면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게 느껴진다.

돈을 잘 버는 뛰어난 경영인으로서의 며느리는 밖에서는 최고의 여성이지만, 시어머니의 눈으로 봤을 때는 조신하지 못하면서 자기 일
 
밖에 모르는 현대 여성에 불과하다. 대부분 이러한 경우엔 집에서 살림만 해온 시어머니가 뒷방마님으로 인식되어 기가 죽기 마련이지만, 이 드라마 속의 시어머니는 자신의 삶 자체에 대한 자부심으로 며느리에게 자신의 가정 속에서 하나의 가족으로서 자리 매김하길 바란다. 가족 대대로 내려오는 가정의 수행법으로 며느리에게 육체, 정신적으로 압박하지만, 며느리는 나름 꿋꿋하게 시어머니의 수행을 이겨내면서 시집살이와 함께 자신의 회사를 끌어간다. 이런 내용을 담고 있는 9회 까지는 그러한 에피소드들의 묶음 이었으나, 10회 들어 며느리가 아이를 가지게 되면서 그 대립구조의 시어머니는 며느리의 어머니로 다시 태어나는 모습을 통해서 좁게는 한 집에 같이 시집온 사람들로 더 나아가서는 아시아의 문화 속에서 여자로 살아가는 것에 메세지 던지는 것으로 전환된다. 물론 뜻밖에 뒷방에 눌러앉아 일본 전통문화를 즐기는 시어머니는 며느리가 운영하는 초밥집을 뉴욕에 선공적으로 뿌리 내리는데 기여함으로 일본 전통의 한 힘을 보여준다는 건 드라마적인 구조 속의 에피소드라고 해도 일본문화에 대한 제작진의 의견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부분으로 다가오기도 했다.

드라마의 말미....전통을 우기다시피 하면서 꿋꿋하게 살아온 고집센 할머니의 피와 신세대의 강인한 자신감과 추진력을 가진 엄마의 피를 이어 받은 시어머니의 손녀, 며느리의 딸에 대한 언급은 꽤 신선한 대사였다. 결국 그렇게 다른 피를 가지고 같은 집에 들어와 둘의 피가 섞인 또 다른 생명체와 가족의 연을 맺는 다는 걸 통해 서로 남인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한 가족이 되어갈 수 밖에 없는 필연을 자연스럽게 느끼게 한다. 살짝 진부하면서도 지겨운 맛이 있어서 후반부에서는 건너뛰며 보기의 신공을 발휘하기도 했지만, 일본의 문화에 대한 엿보기를 통한 즐거움이 드라마를 보는 내내 즐겨움을 선사하는 듯 했다. 시어머니의 샤미센 연주와 요시다 형제, 며느리의 하와이안 댄스 격돌 중에서는 시어머니의 샤미센 연주가 더 당겨졌고, 서로 티격태격하면서 눈속임 없이 정정당당하게 싸워내는 둘의 격전을 다양한 전투씬으로 담아 낸 타이틀 역시 드라마를 뛰어넘는 재미를 선사한다.

며느리와 시어머니...한 가정에서 시작되는 진부한 싸움...일본식 가족 드라마의 가장 손쉬운 소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스쳐지나간다.


by kinolife 2008. 10. 20. 0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