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을 맞아 후루룩 먹은 닭한마리 칼국수...
생각보다 기름기가 없이 깔끔한 것이 특징...머 그렇다고 아주 맛있다고 강추 할 정도는 아니고...
오래간만에 먹었다. 회사 근처에 있는지도 몰랐는데 ㅋㅋㅋㅋ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4. 5. 14:51
서대문구 충정로에 몇 안 되는 맛집 항정살과 된장찌게가 아주 맛있다.
맛있는거 먹느라 잘 익은 것도 된장찌게는 사진을 찍지도 못했다..다음에 꼭 다시 가서 사진을 찍어야 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4. 5. 14:4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TBS
방 영 : 2006.02.25 - 2006.02.25
각 본 : 후쿠다 야스시(福田靖)
감 독 : 카와케(河毛俊作)

출 연 : 아마미 유키(天海祐希)
          마츠자카 케이코(松坂慶子)
          사사키 쿠라노스케(佐々木蔵之介)
          아카기 하루에 (赤木春恵)
          후쿠치 아사미(福地亜沙美)
          타케다 신지(武田真治)
          카츠무라 마사노부(勝村政信)
          오오츠카 네네(大塚寧々)
          모로오카 모로(モロ師岡)
          니시다 나오미(西田尚美)
          사토 지로(佐藤二郎)
          나카마루 신쇼(中丸新将)
          쿠보타 마키(久保田磨希)
          니시무타 메구미(西牟田恵)
          시시도 미와코(宍戸美和公)
          반 미나코 (伴美奈子)
          스나가 케이(須永慶)
          오카다 토시히로(岡田俊博) 
          이노마타 타이치(猪又太一)

유창한 이탈리아 어에 잘나가는 엄마...집에서 아무 하는 일 없어 보이지만, 가정주부로서 노력하는 소박한 아빠를 둔 아이 마요는 우연한 교통사고로 아빠를 잃게 된다. 아빠가 떠난 이후에도 아빠가 해 주던 따뜻한 가정식과 정이 넘치는 일상이 그리운 마요는 엄마가 자신이 어떤 부분을 원하는지 피력한다. 성공한 엄마보다 다정한 엄마가 그리운 평범한 아이 마요..사고로 자신을 떠난 아빠가 점점 더 그리워 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탈리아의 유명한 가정조리 도구를 일본에 런칭하기 위해 노력한 마코토(엄마)가 귀국 이후에 돌아와 접한 현실은 자신이 수입하는 화려한 이탈리안 조리도구가 아니라 남편이 떠났다는 사실과 그가 남기고 간 손 떼 묻은 조리 도구 밖에 없었다. 화려한 와인잔과 비싼 이탈리안 스타일의 요리만 먹고 접해 온 마코토는 아빠와 오랜동안 생활해 온 딸과의 음식 취향을 맞추지 못하고 음식만큼이나 사이가 벌어져 있었다는 걸 알게 된다. 그러다 요리학원에서 요리를 배우기 위해 노력하던 마코토는 자신의 남편이 회사를 그만두고 아이를 위한 밥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 아주 힘들게 요리 공부를 하고 오랜동안 연습해서 익힌 결과 아이의 입맛에도 맞고 건강에도 좋은 요리를 해주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거기서 부터 시작된 엄마의 생활 되집어 보기는 화려한 생활만큼이나 소박한 일상이 주는 소중한이 아이에게는 어떤 것이었는지를 조금씩 느끼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 아이의 마음을 알게 되고 죽은 코사카(남편)에 대한 고마움을 되새기게 되고 진정한 엄마가 되어 간다. 아이의 소풍에 맞춰 아이가 좋아하는 달걀말이를 만들면서 자신의 부족했던 엄마로서의 시간은 조금씩 상쇄된다. 엄마 역을 맡은 아마미 유키가 보여주는 유창한 이탈리아 어 처럼 그녀는 이런 역에 아주 잘 어울린다. 마치 이제까지 본 일본 드라마 속의 똑똑하고 지성적이며 잘나가는 일본의 대표적인 여성을 연기하는 것 처럼 아주 잘 매칭이 된다. 이국적인 외모는 물론이거니와 유려한 외국어는 그런 그녀의 연기력을 뒷받침하는 부분이다.

아이의 소풍 도시락을 들고 뛰어가는 철부지 엄마의 마음에는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좋은 엄마가 되고 싶다는 의지가 그리고 딸에게 부족하지만 자신의 마음을 전하고 싶은 마음이 고스란히 전달이 된다. 일본의 가정식 요리 VS 이탈리안 전통요리라는 의미의 드마라 제목(키친워즈)은 당연하게 일본식 요리의 승리로 향하지만 그 안에는 가정에 있어서 일상식의 소중함과 엄마 아빠의 역할에 대한 은유적인 가치를 전해준다. 아주 짧은 시간 속에 빠른 전개를 통해 곳곳에서 이야기를 이끌어 주어서 군더더기 없이 한꺼번에 보게 만든다. 소박하면서도 일면 빤해 보여도 아주 재미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4. 5. 06:2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A Bad Case Of Strips
글 : 데이빗 새논(David Shannon)
그림 : 데이빗 새논(David Shannon)
옮긴이 : 조세현
출판사 : 비룡소
2007년 01월 초판 3쇄
가격 : 8,500

아욱콩을 좋아하는 카밀라는 자신의 좋은 습관이면서 취향이기도 한 아욱콩에 대한 애정을 친구들이 싫어한다는 이유로 숨기고 먹지 않는다. 친구들에게 이뻐 보이기 위해서 아침에 40번이 넘게 옷을 입어보던 카밀라는 어느덧 자신의 몸에 줄무늬가 생기고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대로 얼굴과 몸이 변형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많은 의사와 박사들이 카밀라의 병에 관심을 가지고 고쳐보려고 하지만 더더욱 몸의 형태까지 변화하는 등의 심한 변화를 겪는다.

실망에 빠져 있는 카밀라에게 어느날 할머니는 카밀라의 병이 자신이 먹고 싶어 하는 아욱콩을 자신있게 먹으면서 낳게 된다는 사실을 가르켜 주면서 남의 이야기를 주의해서 듣는 것 만큼이나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키는 게 중요하다는 밸런스에 관한 교훈을 너즈시 던진다. 타인들이 말하는 대로 자신이 이상하게 바뀐다는 설정이 타인과 자신과 흔히 겪는 사람들의 세계에 대한 은유로 비쳐져서 나이에 상관없이 읽어볼 만한 책인 것 같다. 누구나가 다 타인의 영향권 아래에서 살아가면서 자신의 고유성과 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엄청난 삶의 진실을 알려주는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컬러풀한 색감은 아이들의 눈을 끌기에도 충분 할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4. 3. 05:49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01.23. 울림 엔터테인먼트, CJ 뮤직

원래 1집 부터의 에픽하이는 잘 모른다. 하지만 그들의 음악이 젊은이들이 좋아하고 매출이 꽤 나오는 메가톤급 신보라는 거 정도만 알고 있었다. 특히 이번 4집의 음반 이전에 대한 음악을 제대로 들어본 적이 없으니 일단 그 전의 음악에 대해선 Pass, 이번 신보에 관해서만 짧게 적자면..방송활동(각종 쇼프로 줄연 포함)을 통해 연예인 활동에 열심이지만, 이들이 가지고 있는 음악에 대한 욕심과 고뇌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음반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많은 작업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듯한 2장의 Full 팩키지 구성에(한장은 자신들의 음악적 실험을, 또 다른 한장은 팬들을 위해...즉, 한 장은 하고 싶은 대로..또 다른 한장은 들리기 혹은 팔리기 쉽도록) 양적으로 풍성한 음악들을 담았다. 근래에 싱글(때론 디지털로) 그저 먹겠다는 심산으로 덤벼드는 싸구려 발라드에 비하면 이들의 행보는 지극히 자신만만..독야 청청으로까지 보이기도 한다.

Jacket은 검은색 바탕에 고급스러운 문양을 두고 자신들의 팀 이름을 붙이는 심플한 디자인을 보인다. 안을 열면, 수작업으로 만들어진 시디 케이스 위에 형이상학적인 문양을 각각 다르게 프린트 해서 담고 있다. 역시 세련된 느낌이 강하다. 앨범의 타이틀 처럼..사람의 감정을 다시 정비한다는 의미의 글자가 꼿꼿한 형태로 담겨 있다. 역시 고루한 듯 하지만 깔끔한 이미지를 전해 준다.

감각적인 사운드..귀에 감귀는 음률이 담긴 가사는 이 음반 곳곳에 담긴 곡들에 고스란이 묻어나는데..이른바 일상적인 RAP, 한국식 흥얼거림의 결정판처럼 들렸다. 10대 취향의 가사들이 자극적으로 묻어 있지만 30대인 나아겐 작은기억들을 되살려 주기도 했다. 그건 그들의 가사가 꽤나 흥미 이었기 때문인데..가장 인기를 끌었던 "Love Love Love"의 가사에 담긴 사랑에 관한 갖가지 속성...사랑에 빠져서 고통스럽던 좋아 죽겠던..감정들 항상 그 감정은 사랑에 빠진 사람의 전유물이며, 타인의 눈을 의식할 의지조차(때론 필요가 있는지..하는 생각도 들지만..) 무색해지는 것이고...노래 속에 사랑에 빠진 사람에 대한 행동들이나 상황 역시도 굉장히 사실적이다. 그 이면에는 현재 한국의 사회상과도 잘 맞물려 있기 때문인데, 그래서 든는 이들에게는 무척 현실감 있게 다가온다.

아무런 의식 없이 듣다가 문득..나에게 사랑이 저만큼 오버랩 되었던 적이 있었나 하는 생각에 다다르자..나도 모르게 흥얼거리는 행위 이면에는 일종의 추억 흝기 같은 생경한 반사적 행동이 따라오고 있었다. 진정한 유행가의 면모가 이런 점이라고 생각 되는데..참으로 오래간만에 느껴본 거여서 개인적으로는 신기하기 까지 했다. 대한민국의 많은 사랑에 빠진 자, 사랑을 잃은자.. 시랑을 쉬고 있는 자 모두가 자신의 개인적은 역사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면서 흥얼거릴 것이다. 흥얼거림보다 시처럼 다시 자세히 읽어본다. 러브러브럽.....

- Love Love Love -

밤 열두시 술 취해 지친 목소리
새벽 두시 차갑게 꺼진 전화기

아무도 내 맘을 모르죠 I can`t stop love love love
아파도 계속 반복하죠 I can`t stop love love love

있나요 사랑해본 적 영화처럼 첫 눈에 반해본 적
전화기를 붙들고 밤새본 적 세상에 자랑해본 적
쏟아지는 비 속에서 기다려본 적
그를 향해 미친듯이 달려본 적 몰래 지켜본 적
미쳐본 적 다 보면서도 못본 척

있겠죠 사랑해본 적 기념일때문에 가난해본 적
잘하고도 미안해 말해본 적 연애편지로 날 새본적
가족과의 약속을 미뤄본적 아프지말라 신께빌어본 적
친굴 피해본 적 잃어본 적 가는 뒷모습 지켜본 적

미친 듯 사랑했는데 왜 정말 난 잘해줬는데 왜
모든 걸 다 줬었는데 you got me going crazy
죽도록 사랑했는데 왜 내 몸과 맘을 다 줬는데
모든 걸 잃어버렸는데 어떻게

아무도 내 맘을 모르죠 (nobody know)
I can`t stop (don`t stop) love love love
아파도 계속 반복하죠 (oh here we go)
I can`t stop (don`t stop) love love love

있나요 이별해본 적 빗물에 화장을 지워내본 적
긴 생머릴 잘라내본 적 끊은 담배를 쥐어본 적
혹시라도 마주칠까 자릴 피해본 적
보내지도 못할 편지 적어본 적
술에 만취되서 전화 걸어본적 여보세요 입이얼어본적

있겠죠 이별해본 적 사랑했던 만큼 미워해본 적
읽지도 못한 편지 찢어본 적
잊지도 못할 전화번호 지워본 적
기념일을 혼자 챙겨본 적 사진들을 다 불태워본 적이
세상의 모든 이별 노래가 당신 얘길꺼라 생각해본 적

미친 듯 사랑했는데 왜 정말 난 잘해줬는데 왜
모든 걸 다 줬었는데 you got me going crazy
죽도록 사랑했는데 왜 내 몸과 맘을 다 줬는데
모든 걸 잃어버렸는데 어떻게

아무도 내 맘을 모르죠 (nobody know)
I can`t stop (don`t stop) love love love
아파도 계속 반복하죠 (oh here we go)
I can`t stop (don`t stop) love love love

I LOVE YOU

바보처럼 울고 또 술에 취하고 친구를 붙잡고
그 사람을 욕하고 시간이 지나고 또 술에 취하고
전화기를 붙잡고 say love

아무도 내 맘을 모르죠 (nobody know)
I can`t stop (don`t stop) love love love
아파도 계속 반복하죠 (oh here we go)
I can`t stop (don`t stop) love love love

아무도 내 맘을 모르죠 사실은 당신만 모르죠
아파도 계속 반복하죠 이러다 언젠가 다시 마주치겠죠
by kinolife 2007. 4. 2. 06:25
이래저래 모으고 받고했던 시디들..각 유통사 기획사별로 가득하다.
음반장사는 안된다는데..참 많은 시디가 나온다 싶고..예전엔 몰라서 못 사고 넘어간 시디들이 정말 많겠구나 그런 생각만 든다. 이번달에든 다와 뮤직에서 품절된 시디들도 좀 사고 했으니..앞으로 더더욱 CD장이 문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 : 이래저래 받은 소소한 시디들, 오른쪽 : 다와 뮤직 구입시디(이효리는 빼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니버셜, 소니뮤직 등등 몇몇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 : 병옥씨가 가져다 준 CD 외 기타 오른쪽 : 만두가 챙겨준 시디 외 기타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트볼이 전해준 CD들 가요는 전부고..POP이 많다 하지만 초 양호 시디들...

'All That My Life > My Shopping & Collec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4월의 CD들  (0) 2007.04.22
[TOY]태양의 서커스 Quidam의 피큐어  (0) 2007.04.22
[Book]3월의 헌책들  (0) 2007.03.12
[Book]3월의 책  (0) 2007.03.12
[CD]3월의 CD들  (0) 2007.03.12
by kinolife 2007. 3. 31. 06:29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미국, 116분
감독: 라이언 머피(Ryan Murphy)
출연: 아네트 베닝 (Annette Bening)
        브라이언 콕스 (Brian Cox)
        조셉 파인즈 (Joseph Fiennes)
        에반 레이첼 우드 (Evan Rachel Wood)
        알렉 볼드윈 (Alec Baldwin)
        조셉 크로스 (Joseph Cross)
        질 클레이버그 (Jill Clayburgh)
        기네스 팰트로우 (Gwyneth Paltrow)
음악 : 제임스 레빈(James S. Levine)

"새로운 시도를 겁 내는구나 어거스틴!!" 개 사료를 간식으로 먹는 가정부(알고 보면 가정부도 아니다.)의 어스스한 분위기와 함께 " 가족을 갖는 것이 꿈이었지"라는.... 쓸쓸한 대사를 날리는 늙은 아주머니(동일인물)의 독백처럼 스산한 기운이 가득한 영화 [가위 들고 뛰기]는 코미디 영화라고 하기에는 씁쓸한 웃음 하나 없이 그저 무척이나 애처로운 느낌만이 가득한 영화다.

아주 오래전부터 아주 다양한 병이 인간들과 함께 했고..앞으로도 함께 할..그리고 그 병은 잠재되어 있기도 했고..잠복기만으로 끝나기도 했던... 그러한 역사깊은 병들에 잠식된 인간에 대한 한편의 우울한 이야기. 이 영화 속에 등장하는 많은 주인공들은 그런 인간의 긴 역사화 함께 한 설명할 수 없는 병들의 잠복기에 머물러 갖혀버린 사람들이 보여주는 종합선물과 같은 영화다.

아네트 베닝, 기네스 펠트로우 짐짓...화려하다면 화려한 캐스팅 속에는 스타들이 전해주는 화려한 이미지는 어느 한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으며, 마음에 상처를 입고 병 들어 주눅들고 배회하며, 언제나 주변에서 맴돌아도 긴 시선 하나 받아내지 못하는 서글픈 인생들만이 빚에 묶인 우울하고 꿀꿀한 캐릭터들만이 영화 속의 더러운 집에 갖혀있다. 스타는 없고 캐릭터는 살아 숨쉬니 그만큼 배우들의 연기는 좋다는 이야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우들의 살아 숨쉬는 연기 이면에서는 특이한 캐릭터들이 모여있기 때문인데, 정신학 박사를 가장한 사기꾼 핀치박사(혹은 부도덕한 의사라고 해야 마땅한)과 그녀에게 치료를 받으면서 창작과 정신병 사이를 오가면서 약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드는 디어드리(아네트 베닝 분)를 축응로 형성된다. 자신의 창작욕구를 정신병으로 모는 남편을 피해 핀치 박사를 찾은 디어드리와 그런 그녀를 어머니로서 어릴 때 부터 보아온  아들 어거스틴(조셉 크로스 분), 치료를 목적으로 핀치박사의 집으로 들어온 디어드리에 의해 자신의 가정에서 느낀 남편의 부재를 더욱 실감하는 미즈 핀치부인(질 클레이버그 분), 그리고 그 비정상적인 가정 안에서 사랑과 관심없이 기괴하게 성장하는 딸 나탈리(에반 레이첼 우드 분), 아들 닐(조셉 파인즈 분)까지 어느 하나 성한 인간 찾아 볼 수 없는 다양한 정신병적인 세계의 캐릭터들이 영화 속에서 살아 숨쉰다. 지극히 연극적이기도 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과장된 이들 캐릭터들은 이 영화의 시작이자 전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정한 B Movie의 다양성과 독특함을 가지고 있는 이 영화의 가장 큰 매력은 이 캐릭터들이 어떻게 진화하는지 혹은 자신의 병을 인정하고 이겨내는지 아무런 목적없이 따라가 보는 것이다. 영화는 이 정신병자들 처럼 보이는 평범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시기, 질투, 사랑과 무관심..착취와 무시, 과욕과 무지, 등이 골고루 믹스되어 있어서 이런 감정들의 과잉이 어떻게 타인들에게 전달 될 수 있는지..평범한 사람들이 어떤 순서로 미쳐가게 되는지 어렴풋이 짐작하게 한다. 영화의 중간에 삽입된 동성애 코드는 전형적인  B Movie의 취향이며..디어드리의 편집증적인 창작에 대한 욕구...그런 엄마를 싫어하면서도 글을 쓰면서 창작에 빠져드는 어거스틴의 이율배반적인 성장은 이 영화의 가장 큰 플롯인 셈이다. 캐릭터만큼이나 영화를 아주 아주 돋보이게 하는색깔있는 음악은 영화의 아주 큰 보너스다. 어찌보면 아주 지루할 수도 있고..내용도 없어보이는 이 복잡다난한 캐릭터의 종합선물, 과장된 인물의 풀 팩키지를 있는 그대로 보다보면..누구나가 다 조금은 미쳐 있고, 그 병적 증상을 은폐하는 기술을 익혀가는 것 뿐이라는 자조와도 만나게 된다. 그 기술의 차이가 인간의 급을 나누는 척도가 되는건 아닌지 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로 인간의 뇌와 정신...그리고 그것의 표현과 표출에 대한 상관관게에 철학적으로 빠져든다. 영화의 재미와는 아무 상관없는 이 공상이 마치 영화속의 혼잡스러움 처럼 나의 뇌를 자극하고 헤집어 놓는다. 살면서 문득문득 느끼는 이런 미친...이라는 찰나에 대한 숨겨진 일기와 같은 영화가 바로 이 영화다. 
by kinolife 2007. 3. 30. 07:29

하겐다즈의 퐁듀 아이스크림...
아이스크림 세트란다..2만원 정도 한단다...아이스크림도 고급화란다..돈이 좋단다.. 맛보다는 그림이 좋은 음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3. 30. 06:20
워너뮤직과의 저녁식사 !!
이른바, 그여자 그남자 대작파티에 초대되어 가서 먹었다.
청담동..이탈리안 식당..머 이런 기회가 아니라면 와서 먹기도 힘든 음식 이었지만, 자주 왕래가 없던 사람들과의 식사라 조금 더 불편했던 것 같다. 음식은 맛이 있었으나,,개인적으로 터무니 없는 가격이라는 생각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닭고기 리조또..올리브 가든 보다 맛없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른바 No.752번 스파게티..가리비가 먹고 싶어서 시켰는데..살짝 짭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본으로 나온느 다양한 빵..이게 아주 좋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샐러드..상큼함..특별한 건 없고..감이 들어간게 이색적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양배추, 오이, 고추 피클..상큼함..이런건 집에서 담글 수 있으면 좋겠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후식으로 나온 아이스크림..밑 받침이 과자로 마들어져 나온게 이색적이다. 그릇까지 먹을 수 있는 아이스크림...


'All That My Life > My 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한마리 칼국수  (0) 2007.04.05
[고릴라] 맛있는 항정살  (0) 2007.04.05
[늘봄]아이디어 한정식...  (0) 2007.03.28
[킹크랩]꿈의 음식  (2) 2007.03.26
[화롯가 이야기]거만한 갈비  (1) 2007.03.26
by kinolife 2007. 3. 29. 06:1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형태 : 중편 영화
2004년, 일본, 52분
감독: 미즈누마 마수미
나레이션 : 데이비드 어텐보로 경(Sir David Attenborough)
촬영 : 야스오 카스가이
         히로시 에비사와
음악 : 타케푸미 하케타

일본은 동경, 오사카 두 군데를 가 봤지만 역시 또 가 보고 싶은데...특히 우리나라와 흡사한 여러 자연환경을 다르게 해석해서 살아가는 그들의 고집스러움이 느껴질 때마다 그 동경은 더 깊어진다. 2005년도에 EBS의 다큐멘터리 영화제를 통해서 소개된 일본의 작은 다큐멘터리 [사토야마 물의 정원]에 나오는 동네의 삶은 그런 열망을 더욱 더 부추킨다. 강을 근저에 두고 자연과 함께 호흡하면서 살아가는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는 자연에 순응하며 감사하고 자연과 함께 교감한다는 삶임 어떤 것인지 보여준다. 마을의 할아버지 상고로를 주인공으로 해서 강과 인간, 강과 물고기, 강과 새..그외 모든 자연을 무대로 호흡하는 생물들의 일상을 아주 잔잔하게 보여준다.

특별히 주제의식을 심어주려는 무게감이나 중압감 없이 쿄토의 어느 마을 사토야마가 물을 무대로 어떻게 적응해서 살아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근 9개월이 넘게 걸려서 만들어지는 후나스시(붕어초밥) 만드는 과정이나..낚시를 통해서 자신을 배를 채우고 새의 먹이도 주며, 다시 강으로 클 때까지 돌려보내고..같은 물고기로 신에게 감사까지 ...일본에서 가까운 사람의 존재를 물과 고기처럼 가깝다는 속담이 너무나 잘 어울리는 작품이다. 짧은 시간에 자연과 인간의 삶에 대한 짧은 생각의 계기를 만들어 주는 작품이다.

다큐멘터리에서 나레이션을 해 주는 사람이 영국의 나지막한 영어러 더욱 더 화면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다큐멘터리는 역시 나레이션이 중요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3. 28. 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