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어제목 :
Kamome Diner
2006년, 102M, Color

감독 : 오기가미 나오코(
荻上直子)
각본 :
오기가미 나오코(荻上直子)
음악 : 콘도 타츠오(近藤達郎) 
출연: 코바야시 사토미(
小林聡美)
        카타기리 하이리(
片桐はいり)
        모타이 마사코(
もたいまさこ)

원작 : 로키 루오카라(群 ようこ )의 [かもめ食堂]


일본 여자가 운영하는 핀란드의 조그만 식당..카모메..
그 식당을 지나가는 사람들에 대한 순박한 영화 [카모메 식당]은 손님이 없어서 한적한 이 작은 식당에 하나 둘씩 모여들기 시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는 욕심없는 영화다.

핀란드에서 일본의 전통 요리인 오니기리와 돈까스를 파는 식당의 주인 사치에는 당장 손님이 없어도 긍정적으로 식당을 운영한다. 식당 문을 열고 처음 온 손님 토미는 어설픈 일본어 속에 일본에 대한 동경을 담고 있고, 그가 원한 일본 애니메이션 갓챠맨의 노래 가사를 찾아 들른 서점에서 우연히 필란드에서 방황하는 미도리를 만나게 된다. 일본을 무작정 떠나고 싶어 지도를 편 후, 손가락으로 집어서 오게 된 필란드에서 방황하던 미도리는 갓챠맨의 노래 가사를 가르쳐 준 인연으로 사치에의 식장에서 일을 돕고 함께 살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간이 흐를수록 갈메기 식당에는 하나 둘씩 손님들이 모이기 시작하고 ,사람들의 발길도 이어진다. 손님들에게 선보이는 정성어린 커피와 따뜻한 식사는 일본에서 멀리 떨어진 필란드의 사람에게도 편안함을 전해주고, 휴식의 시간을 제공한다. 손님을 많이 받아서 돈을 벌기보다, 일본이 아닌 곳 어디에서든 사람들이 들러 음식을 먹고 마음이 편해지기 바라는 식당의 주인 사치에의 마음은 식당 곳곳에 음식과 함께 담겨 있다. 여행 중에 짐을 잃어버린 마사코 역시도 식당의 보조로 받아들여 함께 생활하게 된다. 우연히 아버지의 병간호 중에 보게 된 TV 속의 필란드 - 사우나에서 오래 견디 게임, 기타 흉내내기 경기 등을 진지하게 하는 폴란드 인의 모습-에 호기심을 품은 마사코는 마치 영화 속의 카모메 식당을 위한 준비된 손님 같이 영화 안으로 들어 온다. 각자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 하면서도 서로의 생활을 인정해 주고, 우연히 만난 사람들끼리 함께 나들이까지 가기도 하는 사치에의 삶이란 나이 들어가는 여자들이 흔히 생각해 볼 수 있는 동화같은 그림 같아서 쳐다 보고 있어도 여유롭게 느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제 만나기는 어려운 장소에서의 사람들이 주는 별것 없는 이야기..삶이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자신의 고집과 주변의 상황에 의해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것임을... 자신 인생의 필자는 자신이며, 자신의 제품을 책임지는 공장장도 자신임을 다시 한 번 더 느끼게 하는 이 평범하면서도 편이한 드라마가 주는 감동은 매번 스스륵 흘러가는 시간에 대해서 스스로가 어떤 가치를 매겨 줄것인가 하는 질문을 계속 받게 한다. 누가 먹을지..어떤 사람이 먹을지는 모르지만...만드는 것 그 자체..그것을 먹는 사람을 생각하는 사치에의 마음은 자신이 예전에 먹었던 아버지가 만들어 준 투박한 오니기리처럼..추억과 함께 카모메 식당에 들른 사람들에게 전해진다. 별것 아닌 식사 한끼, 짧은 시간에서도 각자의 기억에 남아서 따뜻한 마음을 전해주는 자기만의 소울푸드(Soul Food)가 있지 않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금 더 시간을 내어 보아서 생각해 볼까 싶다. 날 편안하게 하고 변화시키는 음식 나만의 소울 푸드....
그 소울푸드에 대한 동경을 아주 담담하게 그려내는 카모메 식당의 매력은 삶의 의미를 어떻게 나누어 두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아!  Tip으로 이 영화 속에 나오는 갈메기 식당의 인테리어는 너무 멋지다..오픈형 주방에 대한 욕망이 무릇무릇 피어 오르게 하는 구조와 너무 이쁜 식기와 조명들..영화 속의 깔끔한 음식 만큼이나 보는 이를 자극한다. 오랜만에 기분좋게 본 영화다.

- 영화 속의 대사 -

"원하는 일을 한다는 것이 무척 부럽군요
아뇨, 그저 싫어하는 일을 하지 않는 것 뿐이죠"

"수줍기도 하지만 항상 친절하고
언제나 여유롭게만 보이던 것이 제가 알고 있던 핀란드인의 이미지였어요
하지만 슬픈 사람은 어느 나라에서도 존재하는군요

물론이죠
세상 어딜가도 슬픈 것은 슬픈 것이고
외로운 사람은 외로운 법이잖아요"

"세상엔 우리가 모르는 것이 너무 많아요"

'모든 창조물들은 살아갈려면 뭔가를 필요로 할 따름이죠."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12. 03:34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Königin Gisela
글 : 니콜라우스 하이델바흐            
      (Nikolaus Heidelbach)
그림 : 니콜라우스 하이델바흐
         (Nikolaus Heidelbach)
옮긴이 : 김경연
출판사 : 풀빛
2007년 3월 초판 1쇄
가격 : 9,500

아빠와 함께 떠난 여행에서 듣게된 이기적인 여왕 기젤라에 대한 이야기...
아빠가 들려준 이야기가 전혀 새로운 이야기 이기는 하지만 그렇게 많이 신선하지는 않았다. 그림은 눈에 들어올 정도로 신선하지만 네러티브는 조금 약하다..아빠와 딸이 함께 긴 여행을 떠난다는 감수성은 좋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11. 05:53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제 안에는 빛이 있는 것만큼 무척 깊은 어둠도 있다고 생각해요. 양극이 공존하는 거죠. 제 내면에는 남들 앞에서 아직 풀어놓지 않은 다른 면이 많이 있답니다." - 2007.04 [In Style]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10. 18:25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내가 하지 못했던 것, 몰랐던 건, 익숙하지 않은 것을 내 것으로 만들 때의 유쾌함, 노력하는 나는 참 '괜찮은 놈'이다."

"마음은 바쁘고, 시간은 더디고, 욕심은 넘친다."

2007.04 [ELLE girl]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10. 17:55
반응형
여름이라 먹은 냉면...
하지만...설렁탕집에서 파는 걸로 진건씨 말로는 봉지에 든 국물로 면만 삶아서 주는 거라 했다.쉐에뜨...
어설픈 장사속에 더운 여름에 화딱질만 더할지도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10. 17:19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TBS
방 영 : 2005.00.00 - 0000.00.00
각 본 : 츠츠미 유키히코(堤幸彦)-4번째 에피소드 [부인의 본심편]
감 독 : 츠츠미 유키히코(堤幸彦)-4번째 에피소드 [부인의 본심편] 
     
출 연 : 이마다 코지(今田耕司)
          아소 유미(麻生祐未)
          안즈 사유리(杏さゆり)
          오오스기 렌(大杉漣)
          히라야마 아야(平山あや)           
          카토 나츠키(加藤夏希)
          유스케 산타마리아(ユースケ・サンタマリア)
          아오이 유우(蒼井優)
          마츠오 스즈키(松尾スズキ)
          노기와 요코(野際陽子)
          키타무라 소이치로(北村総一朗)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에게 청혼한 사실을 잃어버린 호텔 여급이 자신의 전 애인의 기억을 되살린다는 내용을 담은 555호의 [로스트맨]이야기, 아빠의 기억을 되살리기 위한 엄마의 노력도 노력이지만, 미래의 딸이 찾아와서 자신들의 섹스를 응원한다는 사실이 유머러스하다. 자신이 좋아했던 아티스트가 머물렀던 방을 찾아나선 매니아팬의 역시 그방에서 그 스타를 응원하다 불의의 사고를 당해서 죽은 귀신과의 만남을 다룬 666호(드라마 속의 그 아티스트의 노래제목도 666이었다.)에 관한 두번쨰 에피소드..세 번째 777호 이야기는 창작에 대한 스트레스로 괴로워하는 영화감독과 그의 영화를 추앙했던 후배 감독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일본의 키취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작품.. 네번째 888호에 관한 [부인의 본심]이라는 제목의 드라마...자신들의 신혼여행지에 다시 찾아온 날 이혼을 요구하는 아내...해가 뜰 때까지 잃어버렸던 결혼 반지를 찾는 게임..황혼 이혼을 피하고자 하는 남편의 노력이 무효로 돌아가고 남편이 이혼서류에 도장을 찍는 순간, 당신이 내가 원하는 소원을 들어준 게 이게 처음이군요라는 대목은 무의미한 결혼생활에 대한 긴 여운을 남긴다. 마치 파랑새를 찾듯 잃어버린 반지, 아니 반지의 의미를 다시 찾은 남편은 이혼장을 내민 아내에게 다시 청혼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호텔에 관한..호텔, 여관에 관한 이야기는 대부분 그 일정한 공간을 지나가는 많은 타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꾸미기 가장 좋은 극적 장치인 것 같다. 드라마 속, 영화감독의 이야기에 나온 쿠엔틴 타란티노가 호텔에 관한 영화를 찍었던 기억이 난다. 호텔은 그대로 지만, 그 곳을 지나가는 다양한 사람들에 대한 단편에 담긴 에피소드들이 일본식 단편영화처럼 임팩트 있게 그려진다. 큰 재미는 없지만..이런 단편제작 자체는 흥미롭다는 생각을 해 본다.

- 드라마 속의 명대사 -

같은 스위트룸에서 본 4개의 일출
같은날 같은방에서 본 일출인데 어떤가요?
모두 다르게 보이셨죠
그렇습니다
일출은 보는 사람의 인생을 비추는 거울
보는 사람의 인생에 따라 다른것으로 비춰집니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9. 18:04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는 배우의 자의식이라든가 배우연기하는 거라든가 그런게 정말 없다. 그냥 연기는 직업이자 생활일 뿐이다. 이렇게 인터뷰를 한다거나 쇼 오락프로그램을 나가거나 내 이름을 내세워 알려야겠다거나 그런 생각이 들지 않는다. 후배들이나 사람들이 내 이름을 모를까 그런 생각을 해 본 적이 거의 없다."- 2004.11.[GQ]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9. 12:57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 행복합니다. 정말이예요. 성취감을 느끼고, 자극을 받고, 즐겁게 살고 있어요. 예전만큼 잠을 잘 수는 없지만, 그건 상관없어요. 제가 알아서 할 수 있으니까요." 2004.11.[GQ]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9. 12:48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Love You Forever
글 : 로버트 먼치(Robert Munsch)
그림 : 안토니 루이스(Anthony Lewis)
옮긴이 : 김숙
출판사 : 비비아이들
2007년 3월 초판 54쇄
가격 : 7,500


엄마는 아들을 낳았고, 아들은 아빠가 되고..아빠가 된 아들은 늙은 엄마를 다시 보게 되는 인간사에 관한 감동적인 이야기가 담긴 동화책..
단순히 동화책이라고 하기에는 어른들에게 특히, 아버지이기도 하면서 아들이기도 한 모든 이들에게, 어머니이고 하면서 딸인 모든 이들에게 읽히고 싶은 책이 아닐까 싶다.
자식에 대한 끔찍한 사랑과 부모에 대한 한없는 감사가 되풀이 되는 한 인간의 인생에 대해 이만한 감상적인 찬사가 있을까 싶다.

계속해서 반복되어 보여지는 동화속 노래가사를 보자면,
"너를 사랑해
 너를 사랑해 어떤 일이 닥쳐도
 내가 살아 있는 한
 너는 늘 나의 귀여운 아기"

"사랑해요 어머니 언제까지나
 사랑해요 어머니 어떤 일이 닥쳐도
 내가 살아 있는 한
 당신은 늘 나의 어머니."      엄마 이기도 하면서 딸인 나는 이 두 노래가 가슴에서 울리는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9. 12:33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The Tree
글 : 기지마 하지메(木島始)
그림 : 사토 추료(佐藤忠良)
옮긴이 : 위귀정
출판사 : 베틀북
2007년 4월
가격 : 8,500

굉장히 간략한 그림에 따뜻한 감성을 담고 있는 책..나무에 대한 짧은 감상을 너무나도 간결한 그림에 담았다.

간단한 필치로만 이루어진 사토 추료의 그림은 나무에 대한 무한한 경이감을...별로 크게 의미를 담지 않은 편안한 기지마 하지메의 글들은 나무 그대로의 감상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어린이 보다는 어른들에게 감성을 전해 줄 만한 책이다.

웰빙 시대에 맞는 세대를 넘어서는 잔잔하고 고요한 외침이 있는 그림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5. 9. 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