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후지 TV
방 영 : 2006.01.10 - 2006.03.21
각 본 : 사토 시마코(佐藤嗣麻子)
감 독 : 코바야시 요시노리(小林義則)
          타카하시 노부유키(高橋伸之)
          우에다 야스시(植田泰史)

음악 : 스미토모 노리히토(住友紀人)
주제곡 :  "Faith" by 이토 유나(伊藤由奈)
삽입곡 :  "サヴァイヴァー(Survivor)" By Destiny's Child                                                                 

출 연 : 시노하라 료코(篠原涼子)
          에이타(瑛太)
          니시지마 히데토시(西島秀俊)
          아베 사다오(阿部サダヲ)
          테라지마 스스무(寺島進)
          키무라 타에(木村多江)
          하마다 마리(濱田マリ)
          카가와 테루유키(香川照之)
          카토 마사야(加藤雅也)
          무카이치 미온(向井地美音)
          시가 코타로(志賀廣太郎)
          이토 요자부로(伊藤洋三郎)
          오오코우치 히로시(大河内浩)
          사카키 히데오(榊英雄)
          코바야시 마오(小林麻央)
          아리사카 쿠루메(有坂来瞳)
          마시마 히데카즈(眞島秀和)
          이노우에 준(井上順)
          마츠나가 쿄코(松永京子)
          이리에 마사토(入江雅人)
          오오타카 히로오(大高洋夫)
          야마구치 히로시(山口浩)
          마츠시마 하츠네(松嶋初音)
          미우라 하루마([三浦春馬)

국내에서는 잘 찾아보기 힘든 범죄 추리극이라 무척 신선하게 봤는데 이러한 류의 드라마에 관한 몇몇의 유명한 제목의 작품들이 떠오르는 걸 보면 일본에서는 꽤 시청층이 있어서 자주 제작이 되는 장르인가 하는 생각을 한다.
어찌보면 원작이나 혹은 시나리오의 기초작업에서 가장 창의력이 요구되는 장르가 바로 이 장르라는 생각이 드는데, 본 드라마 방영 이후 영화로도 제작이 된 듯 하니 꽤 인기 있었던 드라마였구나 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된다. 인기의 비결은 역시 예측을 뒤집는 상큼한 반전과 말이 조금은 되는 이야기 전개..그리고 배우들의 일관된 연기 패턴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시청 내에 최고 검거율을 자랑하는 형사 유키하라는 자신을 타켓으로 하는 연쇄살인범을 촞기 위해 여념이 없다. 계속에서 불공평한 자는 누구인가라는 메세지와 함께 던져지는 살인은 결국의 자신의 딸이 납치되면서 더욱 더 긴장감을 더한다. 유키하라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잃는 기분이 어떤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해 시작된 이 살인극은 전혀 예상치 못했던 인물이 범인으로 밝혀지면서 상당히 재미를 주는데 이 의외의 인물에 대한 감정이 어쩌면..혹은 불쌍하다는 것에 다다라 있어 무척 흥미롭다. 극의 긴장감을 위해 배치된 여러 주변의 인물들도 굉장히 설득력 있게 짜여져 있어서 완성도를 유지 시킨다. 드라마를 본지 1년 가까이 다 되어 가는데도 몇몇 장면들은 어렴풋이 떠 오르는 걸 보니 상당히 잘 만들어진 드라마라는 생각이 지금도 든다. 연쇄살인범의 심리나 주변의 정확이 이슈화 되고 살인현장, 시체 등의 비주얼이 그다지 선정적이지 안아 보기에 더 좋았던 것 같다. 눈보다 머리를 쓰면서 보도록 하는 지능적인 드라마이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4. 24. 06:24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4월의 CD들..왼쪽은 서울음반, 파스텔의 신보들..그리도 소소한 것들. 아운데는 진건씨한테 웬일로 보내준 워너의 시디들과 이엠아이의 신보 ...오른쪽 왕대박은 현재 음악시음을 준비중인 비트볼의 알짜 음반들이다. 개인적으로 너무 좋아하는 우드스탁 볼륨 2가 품절이라 빠졌지만 어쩌겠다. 업체에서 CD가 재고가 없어서 못 드려요..이런 먈은 내 일도 아닌데 기분이 좋다. 이렇게 저렇게 4월도 다 간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4. 22. 14:57
반응형
유니버셜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퀴담을 보고 왔다.
공연날이 일요일이었는데...정언이를 재우고 나간다는 계획이 실패로 돌아가 도련님이 덕분에 고생을 많이 하셨다. 공연은 유투브에서 예습으로 보고 간 것에 비하면 많이 간략한 것이었으나 색다른 비주얼에 음악이 너무 좋아서 실망스럽지는 않았다. 우리는 돈 내고 본 게 아니긴 했지만, 좀 더 많은 관객이 저렴한 가격으로 볼 수 있었음 좋겠다. 우리나라 공연비는 너무 비싸다. 공연비가 안 들었으니..기념으로 해서 삐에로 코모양(그냥 빨간 스폰지에 메이드 인 차이나 인데 4,000원이었다 오호 !!) 그리고 공 굴리는 서커스 모양의 피규어와 자료집을 함께 샀다. 중간에 간식 먹은 것 까지 하면...표 값을 제외하고 딱 10만원 정도 쓴거 같다. 오래난의 관람이긴 했지만, 정언이 땜에 마음이 많이 불편했다. 둘째 혹은 세째까지 생각한다면 이런 공연은 호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료집...6,000원이다




반응형

'All That My Life > My Shopping & Collec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옷,신발]서문시장 땡땡이 형제  (0) 2007.05.03
[CD]4월의 CD들  (0) 2007.04.22
[CD]3월의 CD들  (0) 2007.03.31
[Book]3월의 헌책들  (0) 2007.03.12
[Book]3월의 책  (0) 2007.03.12
by kinolife 2007. 4. 22. 14:5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후지 TV

방 영 : 2004.11.27 - 2004.11.27
감 독 : 스기타 시게미치(杉田成道)
원작 : 바다를 건너는 바이얼린[海峽を渡るバイオリン]-진창현(陳昌鉉) 이야기

출 연 : 쿠사나기 츠요시(草なぎ剛)
          칸노 미호(菅野美穂)
          오다기리 죠(小田切 譲)
          타나카 쿠니에(田中邦衛)
          타나카 유코(田中裕子)
          이시자카 코지(石坂浩二)
          정동환
음악 : 이와시로 타로(岩代太郎)

한국인으로 태어나 아주 어렸을 때에 혼자의 몸으로 일본으로 건나간 일본의 바이얼린 제작가 진창현씨에 관한 넌픽션 드라마. 특집극 형태로 제작되어 국내의 배우들 얼굴도 꽤 찾아볼 수 있다. 정동환에서부터 얼굴이 많이 알려진 아역배우 까지 꽤 폭넓게 합작된 듯 보이는 드라마로 국내에서도 진창현씨에 대한 이야기들이 책으로도 출간되고 나름 이슈가 되고 있지만, 이 드라마가 국내에 방영되었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서양문물이라는 것이 생소할 구한말 우연히 지나가던 악객으로 부터 듣게 된 바이얼린 소리에 온 몸을 빼앗겨 버린 어린 창현은 집안의 몰락을 뒤로 하고 홀홀단신 일본으로 떠난다. 새롭게 교사가 되기 위해 열심히 살아가지만 한국생인 자신이 일본에서 교편을 잡는 것은 불가능..우연히 특강형태로 소개된 바이얼린 제작에 관란 다큐멘터리가 포함된 강의를 듣고 바이얼린에 대한 열망이 다시 불타오른다. 혼자의 몸이기에 더더욱 자신의 몸과 일생에 대해서 자유로운 만큼 책임감이 높아질 수 밖에 없는 그는 자신의 일생을 바이얼린 제작에 맡기기로 한다. 어려움 속에서 일본인 여성과 결혼을 해 가정을 꾸리지만, 누구하나 가르켜 주지 않는 바이얼린 제작엔 생활의 고충과 창작 기능인으로서의 어려움이 고스란히 묻어난나. 장인은 태어난다기 보다 만들어진다면 그의 일생은 그러한 장인의 탄생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는 좋은 참고서와도 같이 느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혹독한 생활과 서서히 자라나는 기술 그리고 그 기술 못지 않게 가치 있는 인생에 대한 일본인의 재조명은 실로 놀랍다. 분명 일본과 우리의 역사 속에서는 한 인물의 위대함이 역사 속에 묻히는 경우가 많을 텐데 진창현씨의 이야기는 세계적인 이슈화가 되면서 더 쉽게 수면위로 부각되는 것 같다. 한국 배우들의 어색한 일본어, 일본 배우들의 더 어색한 한국어 들이 합작드라만의 이면을 보여주고, 칸노 미호와 쿠사나기 츠요시의 연기는 헌신적인 느낌이 든다. 창현의 어린시절 한국에서 만난 일본인 선생 역을 맡은 오다기리 조가 보여주는 일본의 얌전한 샌님 모습도 귀엽다. 재미보다는 이 실제 인물의 인생이 보여주는 사실적인 정보가 더더욱 드라마적인데 그의 인생을 통해 현재의 풍요로운 삶에 대해서 되돌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4. 21. 14:47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마쓰오 바쇼 외
그림 : 가츠시카 오쿠사이 외
번역: 김향
출판사: 다빈치
2006.03 초판
가격: 18.000원

일본의 아주 짧은 시조 하이쿠와 에도시대의 그림을 믹스해서 그림과 시를 함께 보여주는 독특한 컨셉의 책.
유럽인들이 열망했다는 에도 시대의 그림도 감상 할 수 있고 짧운 시도 그 여운을 더 도드라지게 한다.
주로 아이쿠가 계절감각에 맞게 운을 띄우는 장점을 살려서 책도 계절로 그림을 분류해서 하이쿠와 함께 소개하는데 대부분의 에도 시절의 그림이 극화 같아서 이 그림들을 보고 있으면(실사화가 별로 없다.) 일본이 왜 재페니메이션이라고 불릴만큼 만화가 강세인지 역사적으로 조금 이해가 되기도 한다. 그런 그들만의 색깔이 강한 그림은 남기기힘들고 마음에 와 닿는 몇몇 시를 적어본다. 우리나라에도 시조가 있고 한국화가 있지만 이 둘을 접목시킨 걸 본 적이 없어서 그런지 좀 신선한 감이 드는 책이다. 이 이국적인 그림을 보고 유럽인들이 반하지 않았다면 그게 더 이상한거 같다는 생각도 든다. 개성 넘치는 니뽄필을 문화적으로 예술적으로 문학적으로 느낄 수 있는 책이다.

行く我にとどまる汝に秋二 つ
떠나는 내게 머무는 그대에게, 가을이 두 개 - 시키

二人見し雪は今年も降りけるか
둘이서 보았던 눈, 올해도 그렇게 내리었을까 - 바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4. 21. 08:05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후지 TV
방 영 : 2006.03.10 - 2006.03.10
각 본 : 테라다 토시오(寺田敏雄)
감 독 : 호시다 요시코(星田良子)
원작 : [指先で紡ぐ愛―グチもケンカもトキメキも]-光成 沢美

출 연 : 타나카 미나코(田中美奈子)
          나카무라 바이쟈쿠(中村梅雀)
          사노 시로(佐野史郎)
          노기와 요코(野際陽子)


실화를 바탕으로 두고 있는 단편 드라마. 역시 본 이야기에 관한 원작이 출판이 되어 있으니, 책이 아마도 크게 이슈가 되고 책 속에 등장한 주인공들의 만남과 사랑이 일본에서는 꽤 많이 회자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전맹...아무것도 들리지 않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이중의 장애에 대해서도 처음 알게 되었고, 이들에게도 이 두가지를 제외하곤 우리와 똑같이 살아가고 느낀다는 걸 보여주는 짧지만 감동적인 이야기 이다. 정상으로 태어났으나 병으로 청력과 시력을 잃어버린 주인공은 그런 자신의 체험을 강연회와 책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자신과 비슷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 삶의 지혜들을 전수하는 대학의 강사다.

그 어떤 장애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은 사람보다 더 열심히 자신의 인생을 꾸려가고 있는 모습이 무척 아름답게 보인다. 드라마 속의 주인공 연기를 해 주는 나카뮤라 바이자쿠의 독특한 음색과 연기는 이 사랑이 보여주는 경이로움 만큼이나 무척 인상적이다. 장애가 있기 때문에 대단한 것이 아니고 그 장애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 대단한다는 걸 궂이 강조할 필요 없는 뻔하지만 뻔하지 않은 드라마가 이런 드라마이다. 보는 동안 지루하지 않았고..일면 안쓰럽거나 싸구려 동정심이 전혀 들지 않게 하는 점이 이 드라마가 가진 완성도 같다. 평범한 일상에 이런 투철한 타인의 삶만큼 교훈이 되는 것이 어디 있으랴...분명 어려운 길임을 알면서도 생활 속에서 사랑을 만들어가는 것보다 더 아름다운 사랑이 어디 있으랴 하는 생각을 다시 하지 않을 수 없다. 촉각적인 흥미가 아니라 잔잔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서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4. 21. 05:27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어제목 : The Taste Of Tea
2003년, 143M, Color

감독 : 이시이 카츠히토(石井克人)
각본 : 이시이 카츠히토(石井克人)
음악 : 미도리카와 토오루(緑川徹)
         리틀 템포(Little Tempo) 

출연: 사토 타카히로(佐藤貴広)
        반노 마야(坂野真弥)
        아사노 타다노부(佐藤忠信)
        테즈카 사토미(手塚理美)
        가슈인 타츠야(我修院達也)
        미우라 토모카즈(三浦友和)
        츠치야 안나(土屋アンナ)
        나카지마 토모코(中嶋朋子)
        미우라 토모카즈(三浦友和)
        키키 키린(樹木希林)
        모리야마 카이지([森山開次)
        토도로키 잇키(轟木一騎)
        카세 료(加瀬亮)
       
미즈하시 켄지水橋研二)
       
오카다 요시노리([岡田義徳)
        타케다 신지(武田真治)
        와쿠이 에미(和久井映見)

       
아이부 사키(相武紗季)                                                                                                                        호리베 케이스케(堀部圭亮)
        노무라 유카(野村佑香)
        타나카 요지(田中要次)
        시가 코타로(志賀廣太郎)
        타카하시 잇세이(高橋一生)
        모리시타 요시유키(森下能幸)
        마츠야마 켄이치(松山ケンイチ)
        무라타 아츠키([村田貴輝)
        오노 마치코(尾野真千子)
        타나카 세이지(田中星児)
        사쿠라이 에이코(櫻井映子)
        미키 슌이치로(三木俊一郎)
        키쿠치 린코(菊地凛子)

까메오 : 안노 히데아키(庵野秀明)
            쿠사나기 츠요시(草彅剛)
            테라지마 스스무(寺島進)
            쿠도 칸쿠로(宮藤俊一郎)

여기 일본의 아주 작은 마을에 아주 특이한 가족이 있다. 할아버지와 어머니 아버지 삼촌까지....모두들 개인적인 습관과 특이향 취향 독특한 직업들을 가지고 있는데..나름의 향기를 가지고 함께 살아간다. 여느 가족들과 다를바 없지만, 여느 가족들과는 조금 특별한 점들을 가지고 있다.

마치 영화의 제목 [녹차의 맛]처럼 언제 뽑는지에 따라.. 어떤 녹차를 우리는지에 따라.. 물의 온도에 따라.. 우리는 시간에 따라..따르는 기구에 따라 씁슬하기도 담백하기도, 때론 구수하면서 달기까지 한 다양한 녹차의 맛처럼 이들 가족은 각자의 맛을 지니고 있는 따로 똑같이의 전형적인 모습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부분의 집단이 그러한 모습이겠지만, 이 영화속의 백미는 그런 개성만점의 가족들의 삶이 영화를 보는 이들에게 따뜻한 마음을 선사하는데 각양각색의 캐릭터 만큼이나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이 매일 다른 소소한 사건들로 엮여 있는 우리들의 일상 같아서 풋풋한 맛이 영화 전체를 감싼다.

어머니는 애니메이션 삽화가. 일본은 애니메이션이 많이 발달해서 그런지...영화 속에서도 단순한 삽화가에서부터 액션만을 강조하는 그림을 그리는 어머니까지 해서 좀 세분화 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데...그림을 그리는 어머니 옆에는 전직 애니메이터인 할아버지가 함께 동작을 상상하고 논의하고 스승이자 조력자로서의 모습이 잘 보여주어서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 현장에 대해서 살짝 느낄 수 있다. 아버지는 정신과(레드썬이라고 불리는 최면 전공인 듯 보이는) 의사이며, 삼촌은 믹싱 엔지니어이다. 이 집에 사는 두 아이 하지메와 사치코 역시도 어른들과 다르지 않은 고민들을 안고 살아간다.

영화의 시작, 하지메는 좋아하는 아이에게 자신의 마음을 표현 못 해 본 수줍은 중학생으로..사춘기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해 주는 영화의 주요인물. 좋아하던 친구에게 말도 못한 상태에서 전학을 가버린 이후 새로운 사랑을 느끼게 해준 친구가 전학을 온다. 그 나이 때의 설레임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수줍은 하지메의 모습이 귀엽다는 생각이 절로 드는데..그 친구가 자신이 즐겨 아버지와 두는 바둑을 좋아한다는 소문에 혼자 좋아하는 장면이라든가, 바둑책을 잔뜩 빌려 바둑부 선배들의 추천으로 (타의인걸 강조하기 위해) 바둑부에 들어서 여자 친구와 가깝게 지낸다거나 하는 모습이 10대의 순수한 감수성을 그대로 전해 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득 문득 자신의 얼굴이 크게 자신 앞에 나타나서 고민하는 사치코...그런 사치코에게 자신의 쫒아다니던 피 흘린 야쿠자의 환상에 대한 이야기(우연히 숲 속에서 똥을 눈 사건-계속 나타난다는 그 야쿠자의 시체위에다 싼-..그 이후 물구나무서기를 하면서 없어졌다는-그때 야쿠자의 시체 위에서 삼촌의 응가를 치웠다는 이야기)를 해주는 삼촌은...엉뚱하지만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이 나이 때 이런 황당한 꼬마의 이야기에 말도 안돼 그만 해! 라고만 해 주지 않아도 얼마나 고마운 거인지...다시 생각하게 된다. 이런 가족들의 일상에서 엄마와 할아버지..그리고 애니메이터와 함께 노래를 만들면서 에피소드를 만들고...가족이 모여서 함께 최면에 걸렸다 빠져 나오면서 시간을 보내며 마루가 넓게 보이는 좁은 마루에서 바둑을 두고 차를 마시고 함께 달을 보면서 같은 시간을 향유하는 이들은 정말 가족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의 백미는 영화의 후반부, 할아버지의 장례식 이후..할아버지의 방을 정리하면서 발견한 할아버지의 작품을 볼 때다. 영화 속의 4명의 가족들..캐릭터 혹은 배우들은 물론이고 영화를 보는 이들에게 있어서도 정말 부러움이 느껴지는 가족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드는 장면. 아버지와 어머니.그리고 하지메와 사치코의 일상을 매일 지켜본 할아버지의 일기이기도 하면서 이들 가족에게 보내는 편지이기도 한 이 작품들은 각각의 가족들에 대한 사랑과 애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각자의 이름이 씌어 있는 이 짧은 애니메이션 삽화책은 우산을 타고 걸어오는 엄마의 모습..그 모습을 바라보고 있었을 할아버지의 모습을 쉽게 상상할 수 있으며..아버지의 어릴 때 달리기를 하다가 넘어지는 모습 역시 아들을 키우면서 커 가는 아버지의 마음이 담겨 있다. 하지메의 그림장에서는 영화 초반에 나오는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담고 있는데, 손자를 어떤 마음으로 바라 보셨을지 짐작이 가는 장면이다. 사치코의 그림장에서는 영화에서도 나오는 자신의 큰 얼굴을 내보내기 위해 철봉에서 꺼꾸로 오르는 연습을 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영화의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손녀의 모습을 먼 발치에서 쳐다 보시면서 어떤 생각을 하셨을까 하는 데 생각이 미치면 그 밀려드는 므흣한 감정과 따스한 느낌을 주체할 수가 없을 정도로 정점에 다다른다.

해당 삽화를 그리고 만들기까지 스탭의 노고를 둘째 치고라도..젊은 감독의 머리 속에 담겨 있는 따뜻한 가족애는 영화를 보는 모든 이들의 머리 속에서 계산 없이 상대방을 바라보고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며 미래를 함께 내다본다는 가족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 확인 할 수 있게 해 준다. 진정한 가족영화..일본의 마이너 영화의 힘을 느낄 수 있는 이 영화에서는 영화의 감동 만큼이나 잔잔한 재미를 찾을 수 있는데, 애니메이션 작가 안노 히데아키(어머니의 동료 애니메이션 작가), 쿠사나기 츠요시(어머니의 작품을 시연할 때 등장하는 스탭 중 한명), 테라지마 스스무(삼촌의 환상에 등장하는 시체에 똥을 얻고 있는 피흘리는 야쿠자), 각본가이자 연기자인 쿠도 칸쿠로(바둑부에서 하지메에게 지는 선배) 등의 얼굴을 어어 하면서 찾아서 보는 재미도 만만치 않다.

작지만 깔끔한...욕심없어 보이지만 상당히 욕심을 낸 이 작품을 통해서 진실된 인간의 마음을 담는 작은 영화에 대한 경배를 다시 드리지 않을 수 없다. 특이해 보이지만 전혀 특이할 바 없는 이 가족의 가족애를 통해 각각 다른 맛들이 모여서 한 색깔을 내는 담백하면서도 깔끔한 차맛을 기꺼이 느껴 볼 것을 누구에게든 권하고 싶다. 세상의 어떤 사람이든 사회와 집단의 일부이며 많은 사람들이 가족의 한 구성원이지만..그런 가족으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바라보며 가족의 일원이 될지..어떻게 늙어가며 성장할지에 대한 작은 질문들이 깔끔한 차맛 이상의 영양을 전해 줄 것 같다. 머리는 정리되고..마음이 아주 따뜻해 지는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4. 19. 06:06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제 : 화가 풀리면 인생도 풀린다
글: 틱낫한(Thay)
번역: 최수민
출판사: 명진출판
2003.04 초판 100쇄
가격: 8.900원


이 책을 읽는 이유는 화를 죽이고 잘 다루는 법에 대해서 혹은 화를 스스로 삭힐 수 있는 지혜나 해법들을 엿보기 위해서 일테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없던 화까지 돋구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지루하고 평범하게 읽었다. 일단 80년대 낡은 윤리 선생님 같은 답습위주의 논제도 논제지만, 각각을 설명하기 위한 에피소드가 너무 루즈해서 짜증이 계속 나는 것이다. 왜 이런 책이 100쇄까지 인쇄가 되는지 알 수가 없지만, 개인적인 화는 스스로 다스리는 법도 중요하지만 그 화가 생기지 않도록 (이런 책은 처음부터 읽지 않는다 던가하는...) 잘 선택해서 사는 것도 중요한것 같다. 그나마 화에 대한 항목 정리는 좋은 것 같아서 적어본다.




- 책 속의 글 -

우리의 마음은 밭이다.
그 안에는 기쁨, 사랑, 즐거움, 희망과 같은 긍정의 씨앗이 있는가 하면 미움, 절망, 좌절, 시기 두려움 등과 같은 부정의 씨앗이 있다. 어떤 씨앗에 물을 주어 꽃을 피울지는 자신의 의지에 달렸다.

화에 대한 메뉴들

01. 눈 돌리면 화나는 것 투성이다.
02. 많이 먹어도 화는 풀리지 않는다.
03. 화가 날수록 말을 삼가라
04. 성난 얼굴을 거울에 비춰보라
05. 감정을 추스리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06. 화는 보살핌을 간절히 바라는 아기다
07. 화가 났을 떄 남의 탓을 하지 마라
08. 화내는 것도 습관이다. 그 연결고리를 끊어라
09. 무의식중에 입은 상처가 화를 일으킨다.
10. 혼자서 화를 풀기가 어렵다면 친구에게 도움을 청하라
11. 나를 화나게 한 사람에게 앙갚음하지 마라
12. 화를 참으면 병이 된다. 애써 태연한 척하지 마라
13. 남을 미워하면 나도 미움받는다.
14. 화가 났을 떄 섣불리 말하거나 행동하지 마라
15. 상대방이 가진 나쁜 씨앗보다는 쫗은 씨앗을 보라
16. 내 판단이 옳다고 100% 장담하지 마라
17. 속이 시원하려면 반드시 화해해야 한다
18. 화난 상황을 즐기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19. 상대방의 화가 당장 풀어지기를 기대하지 마라
20. 남을 용서하는 것도 화풀이의 한 방법이다
21. 내게 화내는 사람의 말을 경청하라
22. 각자의 모자람을 스스로 인정하라
23. 화는 신체장기와 같아 함부로 떼어버릴 수 없다
24. 행복이 눈앞에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마라
25. '고맙다'는 말을 아껴라
26. 화를 선물로 돌려줘라
27. 화를 내뱉는 것은 에너지 낭비다
28. 화해는 곧 자신과의 조우다
29. 나를 사랑하지 못하면 남을 사랑할 수 없다
30. 이해와 연민은 나약하고 비겁한 감정이 아니다
31. 우리는 모두 가해자이자 피해자이다
32. 화해를 위해서는 지혜가 필요하다
33. 한 사람씩 화를 참으면 전쟁을 막을 수 있다
34.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을 항상 의식하라
35. 타인을 위로하면 내가 위로받는다
36. 화의 씨앗을 자극하지 마라
37. 마음을 돌보기 위해서는 먼저 몸을 돌봐야 한다
38. 마음 속의 감정들을 파악하고 감싸안아라
39. 인생에서 '관계'보다 중요한 건 없다
40. 편지는 끊어진 관계를 이어준다
41. 처음 만났을 때의 다짐을 잊지 마라


반응형
by kinolife 2007. 4. 18. 12:41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제 : A Brief History of Flattery
글: 리처드 스텐걸(Richard Stengel)
번역: 임정근
출판사: 참솔
2006.12 초판 1쇄
가격: 19.700원

사회생활이라..인간이 태어나면서 거의 시작되는 이 사회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성격? 능력? 외모? 머 사실 무엇 하나 중요하지 않은 건 없을 것 같다. 대학을 나와 회사생활..을 하면서..개인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건 능력..그리고 그 개인의 능력만큼이나 아부가 아닐까 하는 생각에서 일게 된 이 책은 생각보다 재미있는 입담이 넘쳐나는 책이었다.
머 주된 내용을 요약하자면..이래도 아부 안 할래? 정확히 말하자면 많은 아부에 대한 잇점들을 역사적으로 나열해..인간은 칭찬과 아부에 아주 약한 존재이니 잘 활용해보라는 것 정도..실제 어느 정도 생활에 활용 될 수 있을 지는 모르겠지만..상대방을 즐겁게 할 수 있는 (특히 상사들) 아주 좋은 방법이 아부라고 하니..실생활에 응용이 중요할 거 같다. 나 같은 경우엔 머 좀 아니다 싶은 일에 즉각 반응을 중지만 해도 좋겠지만..쩌업...



- 책 속의 글 -

"결점이라고는 도무지 보이지 않는 수준 높은 독자들에게! 책을 고르는 당신의 안목이 뛰어나다는 찬사로 이 책의 서두를 시작할 생각은 눈곱만큼도 없다. 세상의 부러움을 살 정도로 인생에 성공한 당신은 이미 이런 아부에 익숙해져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당신은 한눈에 알아챌 수 있는 과장된 표현을 예리하게 꿰뚫어보고, 바로 그것을 거부하리라. 누구보다도 자신감이 충만하고 통찰력이 뛰어난 당신이기에, 사탕발림이나 아부가 아닌 허심탄회하고 분명한 진실을 원하리라. 아하. 사랑하는 독자들이여. 솔직히 개인적인 감정은 전혀 없다. 하지만 당신이 진심으로 아부를 싫어하는지에 대해서는 자꾸만 의심이 간다."

"요즘 들어 한눈에 알 수 있는 노골적이니 아부는 몰라보게 줄어들었다. 이제 곧바로 스트라이크존을 지나치는 강속구 같은 아부는 보기 어려워졌지만, 코너를 파고들며 스트라이크 존을 슬쩍 지나는 슬라이더 같은 아부는 오히려 많아졌다. 누구나 아부에는 대단히 조심스럽게 행동한다. 아부를 바라보는 구경꾼 또한 보다 시니컬 해 졌고, 따라서 아부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지 않는 것이 관건이 되었다."

"현실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은 더욱 미묘해졌는데, 그것이 그렇게 나쁜 것만은 아니다. 오늘날 정직한 사람들은 되도록 진실에 가깝게 살려고 노력한다. 이와 달리 정직하지 못한 사람들은 그가 실질적일수록 진신에서 더 멀리 떨어져 살면서 정신적 방황을 한다."

"자신을 냉철하게 비판하는 능력이 결여된 사람은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되고, 실수에 대해 어떤 책임도 지지 않으려 한다. 이것은 자기인식이 결여되어 있으면서 중뿔나게 권리의식에만 사로잡혀 - 썩 아름답지 못한 두 개의 태도가 겹쳐 있다 - 무슨 일에 대해서든 결코 책임지지 않으려는 현대의 나르시스트들을 제대로 묘사하는 문장이 아닌가!"

"사람들은 아부를 옹호하면서도 아부를 비난했다. 권모술수에 능한 리더들이 암암리에 마키아벨리의 전략을 사용하면서도 공공연하게 마키아벨리를 비난했듯이, 아부를 최고로 멋지게 사용하는 방법은 아부하면서조차 아부를 비난하는 것이다."

"베이컨은 아부의 다양한 효능을 날카롭게 꿰뚫고 있는데, 아부꾼을 통상적인 아부꾼, 지능적인 아부꾼, 물정 모르는 아부꾼, 무림 고수급 아부꾼으로 크게 나누었다."

 통상적인 아부꾼 : 상황이 바뀌어도 언제나 똑같은 방식으로 아부한다. 베이컨은 "그들은 모든 사람에게 통할 수 있는 두루뭉실한 아부를 한다"라고 말한다. 통상적인 아첨꾼은 모든 이들에게 녹음기를 틀듯이 심드렁한 칭찬의 말을 건넨다. 여성에게 "정말 아름답습니다!!"라고 칭찬하며, 남자들에게는 "정말 대단하십니다."라고 아부한다, 그는 특정 사안에 대해 칭찬하는 법이 없다.

지능적인 아부꾼 : 상대방의 장점을 최대한 칭찬한다. 베이컨은 "자신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떠받들 듯이 감탄하는 아부꾼이 있게 마련"이라고 말한다. 그들은 다른 사람의 성격을 칼같이 알아내는 능력을 자랑하고픈 사람에게 "어쩜 그렇게 귀신처럼 맞출 수 있는지"정말 현명하십니다!"라고 칭찬하느라 입에 침이 마른다.

물정 모르는 아부꾼 : 지능적인 아부꾼과 정 반대이다. 그는 상대방의 최대 약점을 하늘 높이 띄워준다. 그는 상대방이 단점이라고 여기며 당황스럽게 생각하는 점을 자세히 살핀 후, 그것을 집중적으로 칭찬한다. 이 아부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기 쉽다.

무림 고수급 아부꾼 : 베이컨이 위에서 소개한 모든 형태의 아부꾼이 자아로 체현된 고수이다. 아부는 허영심에서 비롯된다.

"당신에게 한번이라도 친절을 베푼 사람이 당신의 친절을 받은 사람보다도 친절을 베풀 가능성이 더 높다."

"에머슨은 타인의 칭찬에 만족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비판을 당연히 문제 삼듯이 칭찬도 문제 삼아라. 당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의견과 칭찬은 전혀 다른 경우가 많고, 모든 것은 상대적일 뿐이다. 그는 "사람들은 멋쟁이의 멋진 행동을 칭찬하겠지만, 천사를 칭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

"아부하고 싶은 욕망은 나쁘지 않다. 그래 봐야 얼마나 나쁘겠는가?"

"`격변하는 시대일 수록 인간은 불안해지고, 힘에 매달리고, 안정을 추구하기 때문에 아부가 극에 달한다."

"체스필드가 말했듯이, 현실보다 자신의 삶이 행복하고, 스스로 매력적이라 여긴다고 해서 해로울 것이  뭐가 있겠는가? 이익이 비용보다 훨씬 더 큰 남는 장사인 것이다. 누군가에게 그가 느끼는 것보다 훨씬 더 밝거나 매력적이라는 칭찬을 해주게 되면, 실제로 그 사람은 더욱 밝아지고 매력적인 인물로 변화해 가리라. 아부로 인해 사회가 나아지고, 우리가 아주 조금이라도 더 즐겁게 된다면, 그것 자체로 매우 좋은 일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4. 16. 09:29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후지 TV
방 영 : 2006.03.03 - 2006.03.03
각 본 : 타츠이 유카리(龍居由佳里)
감 독 : 타지마 다이스케(田島大輔)
원 작 : 노구치 미카([野口美香)

주제곡 : "誕生" by 나카지마 미유키(中島みゆき)

출 연 : 히로스에 료코(広末涼子)
          마츠시다 유키(松下由樹)
          후쿠다 사키(福田沙紀)
          쇼후쿠테이 츠루베(笑福亭鶴瓶)
          나리미야 히로키(成宮寛貴)
          니시오 마리(西尾まり)
          야시마 노리토(八嶋智人)

후지 TV의 금요드라마...각종 장르의 드라마를 선보이는 이 단편 시간대에서 방영된 이 드라마는 실화를 바탕으로 둔 이야기..같은 제목으로 책도 나온 걸 보니..상당히 일본에서 이슈화가 된 이야기 인 듯 싶다. 고아원에서 데려가 카운 딸에 데해 지극정성인 엄마와 그런 엄마를 부담스러워 하던 딸이 서로를 이해하고 진짜 엄마와 딸의 관계가 되어과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데. 엄마 역을 맡은 마츠시다 유키의 연기가 아주 돋보이는데, 극성스러운 엄마의 연기로 딱이다.

드라마가 실제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있다보니, 실제의 이야기가 아주 중요할 텐데..드라마에 나오는 엄마처럼 집요하게 생긴 엄마와 순진한 딸 그리고 조용한 아빠의 이야기가 드라마의 중간에 사진으로 보여져서 이 이야기의 진실성이 더 두드러져 보인다. 드라마 속에서의 엄마가 보여주는 지극한 사랑도..사실 타인인 딸이 보여주는 차가운 응대에 대한 상처 모두도 실제 낳아준 엄마 못지 않는 강도를 보여준다. 보톧의 평범한 엄마들이 보여주는 관심과 사랑보다도 더 지극정성이며..유별나다. 마키가 처음 집으로 왔을 때 해바라기가 피어 있어서 좋다는 말에..항상 집 주변에 해배라기를 가꾸고..해바리가 피지 않는 날엔 각종 해바라기 그림을 집 밖에 걸어두고(해바라기가 그려진 이불을 베란데에 걸어둔다. ^^) 해서 항상 해배라기가 피어 있는 집이라는 아이와의 약속을 지키려는 엄마...이런 부분은 친엄마가 아니라서 가능한 건지도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럼 마키가 엄마의 지극한 사랑이 귀찮을 정도의 집착이 아니라 자신도 모르게 길들여지고 기라뎌진 엄마의 사랑이라는걸 크면서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이런 면에서 사랑은 주는 사람은 몰라도 받는 사람이 크게 느낄 때 그 크기가 더 커지는 것 같다. 어찌보면 쉽게 짜증낼 수 있고 또 쉽게 잊을 수 있는게 실제 엄마라는 존재가 아닐까..항상 옆에 있어서 있는 동안은 소중한 것을 모르다가 떨여지거나 부재시 더더욱 도드라지는 사랑. 인생에 있어서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최고의 선물이 바로 그 엄마일거라는 생각을 가져 본다. 드라마는 성인이 되어 집을 나와 살던 마키가 엄마의 사랑에 눈 뜨고..엄마의 임종을 지켜보면서(자신의 유산을 고아 딸에게 남겨준 엄마는 가장 소박하고 고집스러운 부분이 있는 진짜 엄마인지도 모르겠다.) 다시 엄마가 있던 집으로 돌아와 의붓 아빠랑 같이 사는 모습을 보여주며 끝을 맺는다. 짧은 드라마 속에 마츠시다 유키의 카리스마와 히로스예 료꼬의 잔잔함이 깃든 드라마..그래서 재미보단 작은 감동이 있는 드라마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4. 16. 0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