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에 갔다가 사촌 아가씨들 덕분에 맛 보게 된 엽기 치즈 떡볶이와 숯불 돼지고기 볶음..

매콤한 맛에 딱 술안주다 싶은데 이상하게 자꾸 손이 가는 터라 술도 못 먹으면서 다시 한번 시켜 먹어 본다. 아버님은 그저 맵기만 하다신데..이상한게 매운게 많이 당기고..먹어도 자꾸 먹고 싶고 그랬다. 대구갈 때 마다 먹게 되는게 아닌지 모르겠는데...처음 먹었을 때 보다는 맛이 못한것 같았지만..맛있게 먹었다. 사진을 찍지 못했지만, 돼짖고기 볶음, 떡볶이 모두 각각 만원이라고 메뉴판에는 씌어 있었는데 돈은 21,500원을 주었다. 머가 얼마나 더 비싼건지...쩝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3. 9. 03:1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NTV
방영타이틀 : NTV 수요드라마
방 영 : 2007.10.10 - 2007.12.19

연 출 : 나구모 세이이치(南雲聖一)
각 본 : 요시다 토모코(吉田智子)
원 작 : 안노 모요코(安野モヨコ)

출 연 : 칸노 미호(菅野美穂)
          하야미 모코미치(速水もこみち)
          히라야마 아야(平山あや) 
          아라카와 요시요시(荒川良々) 
          요시자와 히사시(吉沢悠)  
         
음 악 : 모리 히데하루(森英治)
          시다 히로히데(志田博英)

주제곡 : '浮世CROSSING' by 우버월드

진정, 일을 프로로 하는 여성직업군에 대한 미화극이라고 봐도 좋을..여성노동력 예찬 드라마...
주인공 마츠카타는 주간지 편집기자로 일하고 있는 전문여성. 입사 7년차에 편집 기자 중에서는 최고라고 할만한 감각과 프로 정신을 가지고 있는 회사의 기대주 중 한 명이다. 사건이 발생하면 여느 남자 기자들 못지 않게 열심히 뛰는 모습은 물론이거니와 기사를 만들어내는 포인트 역시 감각적이다. 주요한 헤드라인 기사는 언제나 그녀의 손을 거쳐서 탄생하는 것 처엄 무척이나 비현실적으로 미화 되어 있다. 새벽부타 밤 늦게까지 낫토 김말이를 먹으면서 일에 매진하는 그녀의 드라마 속 모습은 많은 워킹 우먼들이 부러워 할만한 전문성과 패기를 지니고 있어 선망의 대상이 되기에 무방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나 문제는 언제나 사랑하는 애인보다 일에 더 매진하는 관계로 서로 사랑하면서도 연애에 실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아니 그럴 수 밖에 없도록 설정 되어 있다는 것. 물론 이 부분에서 워킹 우먼을 바라보는 일본의 남성들이 지닌 보수적인 성향을 엿 볼 수 있는데...왜 여자는 결혼을 해도 일을 하면 안되는지 혹은 불확실한 시간에 쫒기면서 빡빡한 회사 생활을 우선으로 생각할 수 없는지..사랑한다고 하는 남자에게서도 그런 이해를 구하는 건 그리 쉬워 보이지 않는다. 자신의 능력보다 상대방의 능력에 자격지심과 질투를 느끼는 남성들의 마음은 이해가 가지만, 함께 살면서 서로 희생하겠다는 의지 자체가 없어 보이는 것에는 적잖이 실망감을 가질 수 밖에 없는 부분이었다. 일면 우리 나라보다 더 심한건가 라는 의심이 살짝이 들기도 한 부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라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을 선택해서 지금의 자신을 더 사랑하고자 하는 여자 주인공의 자립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한다. 괴롭지만 더욱 더 열심히 일하고 힘들지만 더욱 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참는 워킹우먼.."왜 이런 상황에서도 글이 써지는가 말이다"라는 대사는 연애보다 더 일을 마쳤을 떄의 기쁨이 크다는 지금의 현재 상태를 그대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다이나믹하고 활기찬 작업현장과 스피디하면서 긴장감을 주는 일..그리고 그 일을 함께 하는 동료들과 믿고 의지 해주는 상사들..자신이 지닌 가치와 일의 재미를 충분히 누리고 있기에..남자 하나가 그 전부와 바꾸기엔 역부족인 셈이다. 보다 전문직으로 넘어 갈 수록 이런 현상은 더욱 더 커지는 듯 한데, 자신의 미래를 한 남자에게 맡긴다는 발생 자체가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자리 잡은 여성에게는 진부한 이야기 인지도 모르겠다. 드라마는 열심히 일하는 여성을 심하게 과장해서 일하는 여성에 대한 현실적임 문제들을 피해간다는 아쉬움도 크고 나이가 들면서 생길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을 노출하는 부분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일 안에만 주인공을 가두어 둔 드라마라는 생각을 많이 갖게 한다. 일과 사랑..일과 가족, 일과 미래 등, 일하는 여성들이 흔히 느낄 수 있는 많은 문제들을 보다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면 어땠을까?조금 산만했을까 하는 생각을 스치면서 해 본다. 각 에피소드마다 잡지 한권이 만들어지기 위한 노력들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은 무척이나 드라마를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개인적으로 그런 세계에 대한 동경이 있어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3. 9. 02:58
갈게요 갈게요가 숙제처럼 되어 버린 이후..에잇 이래선 안되지..해서 가게 된 홍대에 위치한 파스텔 사무실..
조금 가정적인 분위기면 사무실의 회의실에서 족발이나 시켜 놓고 쇠주나 한잔 할가 했는데..그런 분위기는 아니었고, 영승씨가 이끌어준 홍대의 밥집에서 정말이지 푸짐한 저녁상을 받아먹었다. 가격이 조금 비싸서 상당히 망설여 졌지만...정말이지 몸에 좋을 것만 같은 소울푸드들이 즐비했다. 금방 내 놓은 특별할 것 없는 가정식 전에서 부터 먹기 좋은 나물 반찬들..에 메인이라고 할 수 있는 고등어 구이까지..돌솥밥에 함께 나온 한상 밥은 돌솥에 부어 놓은 물이 시간을 먹어서 만들어진 누룽지에서 완성이 되었다. 배가 부른데..더 먹고 싶은게..이런 밥집이 아닐까..아니..자주 먹고 싶은 밥이겠지만 이런 기회가 왔을 때 실컷 먹어둔다. 제일 저렴한 소박한 밥상이 1인분 14,000원...만원이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슬 해 보면서....

그날의 진수 성찬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게 주인님의 예술 감각을 엿 볼 수 있는 물고기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식전에 입가심..모듬전..정말 집에서 금방 엄마가 해준 듯한..특별할 것 없는 따듯한 맛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치찌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된장찌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본 반찬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더덕구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3. 3. 22:17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송사 : EBS
방송명 : EBS 특별기획
방송 일시 : 2003년 00월

태어나자 마자 자기 나름의 성장을 시작하는 아이에 대한 다각화된 조사 보고서...
짧은 시간이지만 <세상을 향한 첫걸음><아기는 과학자로 태어난다><애착, 행복한 아기의 조건><언어습득의 비밀><육아의 키워드, 기질>이라는 다섯가지 소재로 나뉘어서 잘 그려낸 흥미로운 시리즈 기획이었다.
꽤 과학적인 예시를 통해서 아기들의 생태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데..가장 눈에 띈 것은 언어 습득..그리고 아이에게 접촉과 관심..사랑이라는 단어라 얼마나 정서적으로 두뇌발달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려주는 부분..그냥 어렴풋이 알고 있는 내용들을 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엄마로서 조금 부족한 부분이 있지 않았나 하는 반성이 끊임없이 이어지게 하는 저작물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인적으로 가장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 부분은 아이마다 타고난 기질이 다르므로 일관된 교육방법이나 육아법은 오히려 역효과를 줄 수도 있다는 것.즉 아이를 이해해 나가는 것 만이 좋은 교육을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자세라는 점이었다. 얼마만큼 나의 아이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는가..혹은 이해할 수 있을까..스스로에게 의문이 들기도 하는 부분이면서 부담이 되는 부분이기도 했다.

알아가는 건 역시 기쁨이지만, 부모로써 아이를  보고 이해하는 것이기에 적잖이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 많다고 생각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아주 작은 부분이지만, 아이도 모르고 아이였던 나도 몰랐고 이미 어른이 된 이후에도 몰랐던 어린 아이의 세계 신기하면서도 더 많은 ㄴ숙제를 더 안은 듯한 느낌이 들게 하는 작품이다.

by kinolife 2008. 3. 3. 10:05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출간일 : 2005.04                                                                 제작 년도, 제작국 : 2006년, 한국
                                                                 
지은이 : 공지영                                                                         감 독 : 송해성
출판사 : 푸른숲                                                                         각 본 : 장민석, 박은영       
                                                    
                                                                                              출 연 : 강동원, 이나영, 윤여정, 강신일
                                                                                                        정영숙, 김지영, 장현성, 김부선  
                                                                                              촬 영 : 강승기
                                                                                              음 악 : 이재진

2006년 가장 많이 팔린 책이라고 소문이 많이 났던 공지영의 히트작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은 역시 대중소설의 여왕의 작품 답게 아주 짧은 시간에 수루룩 읽어버렸던 기억이 아스라히 난다. 책을 읽은지 1년이나 훌쩍 지나서 찾아보게 된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은 소설 보다는 쉽게 봐내기는 어려웠는데, 삶의 무게를 견디지 못한 나약한 두 인간에 대한 만남을 아무렇지 않게 봐 주기엔 역시 영화를 통해서 눈으로 재현되어 보이는 현실이 무척 가혹하게 다가와서 몸시도 불편했었다는 것이 그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설이 무척이나 감동을 받은 이들은 강동원의 서툰 사투리 연기를 물고 늘어졌던 개봉 당시의 가쉽이 생각이 나지만...그건 별 이야기 거리가 못 되는 것 같아서 각설하고, 부유한 집안에서 교수로 살아도 삶이 버겁기는 마찬가지인 여자와 가난 때문에 동생을 잃고 전전하면서 살아와 악의 구렁텅이 안에서만 생명을 이어갈 수 있었던 남자와의 벼랑 끝 만남은 삶이 무거워서 내 던지고 싶지만 그 역시 쉽지가 않은 인간들에 대한 질문 던지기를 통해서 죽는것과 살아가는 것에 대해 동시에 생각하게 하는 교모한 내용의 작품이다.

죽는 것 역시 살아 남아 생존하는 것만큼이나 힘겨움을..그 삶과 죽은 경계에서 지표를 꼽지 못하고 헤매이는 극한의 인간들에 대한 좋은 소설적, 영화적인 표본이 되는 것은 틀림이 없어 보인다. 이른바, 휘황찬란해 보여도 괴로워서 스스로 죽고 싶은 여자와 살아 있는 것이 너무 괴로워 빨리 죽고 싶어 죄를 뒤집어 썼지만 서서히 살고 싶은 남자...잦은 자살 시도자와 사형수와의 만남에서 소설과 영화를 보는 이들은 삶과 죽음을 모두 오가지만, 두 작품의 말미에는 삶에 가까이 다가가 있음을 너무 쉽게 깨닫게 된다. 살아가는 이들에게 있어 죽음이란 두려움을 동반한 먼 이야기이므로 해피엔딩을 궂이 바란다고 하지 않더라도 웬지 작품 속의 사람들이 살아남기를 그리고 행복하기를 바라는 건 당연한 결과값 인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라는 제목 역시도..이들을 보는 타인의 시선과 그것이 주는 의미와는 전혀 상관없는 이들만의 시간에 관한 의미 매기기라는 데서 행복이라는 것과 그것을 구가하는 시간에 대한 한시적인 의미 역시 한 번 되집어 볼만한 소재다. 아주 작은 것에 사랑을 그리고 그리움을 느끼고 그 바탕에는 나와 같은 인간이라는 동질감이 있으며..그 누구가 더 안타까울 것도 없이 안타까움이 스르르 느껴지는 나 아닌 나 같은 타인과의 만남...진정 행복이다. 작품은 그 행복의 시간을 한정 지움으로 해서 그 행복의 깊이를 더욱 더 짙게 베게 하는데..작품을 접하는 사람들이 더더욱 그들의 시간에 동요되고 빠져들 수 있는 것은 이들의 관계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시간의 한계 때문일 것이다. 언제가 생이 끝이 날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시간을 함부로 쓰는 사람들보다 더욱 더 한정적인 시간을 부여받은 이들에게 그 행복이라는 달콤한 시간은 물리적인 유한의 양과 상관없이 그저 짧고 시간의 흐름이라는 것 자체에 더 안타까움을 느끼는 것이다.

소설은 공지영의 쉽고 수려한 문체로 인해서 빠져들듯이 읽게 되고, 영화는 소설 속에서 그려지는 ? 표시의 인간이 이나영과 강동원이라는 인물로 극화되면서 그 무한한 상상의 가능성이 이들 두 배우 안에 한정적으로 그려지면서 흡인력은 보다 다른 색깔로 쉽게 튀어 버린다. 소설을 너무나 정직하게 화면 안으로 옯겨 두었기에 무어라고 달리 표현할 만한 요소는 없지만...무언가 20% 이상 부족해 보이는 배우들의 연기는 이들의 연기력이 아니라 고정된 어떤 인물로 그려내질 수 밖에 없는 영화의 한계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소설 속의 인물은 일단 존재 자체와 처해진 인물상을 하념없이 그려나갈 수 있지만 영화는 이들 두 배우의 얼굴과 그에 따르는 기존의 이미지에 갖혀서 움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 한계란 무척이나 뚜렷하게 다가와 버린다. 충분히 안타깝고 또 충분히 잘 고증이 되어 있지만, 너무나 정직한 영화 표현화는 소설이 훨씬 울림이 큰 매체인가 라는 질문을 스스로 다시 하게 한 작품이다. 본 작품은 기존의 내용을 다시 변용하기에도 애로사항이 있는 작품이고(예를 들여 강동원을 다시 살린다거나 하는 순간 신파가 되므로....) 있는 그대로를 표현할 수 밖에 없고 잘 표현했음에도 아쉬움이 있는건 매체간 받아들이는 차이에서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영화가 잘 못 만든 것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는 소설이 영화보다 더 다가왔다는 게 피할 수 없는 결론인 작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2. 25. 00:20
\"사용자
원 제 : Kinder Krach Und Grosse Ohren
글 : 엘리자베트 슈티메르트(Elisabeth Stiemert)
그림 :카롤리네 케느(Karolin Ohren)
번역 : 유혜자
출판사 : 비룡사
출판일 : 1997년 09  초판 32쇄
가격 : 7,500,

새로운 2층 집으로 이사간 가족은 즐거운 새집에서의 생활을 기대했지만, 아랫층에 홀로 사시는 할머니의 시끄럽다는 잔소리 때문에 원활한 생활을 이어가지 못한다.

할머니의 잔소리에 주눅이 든 아이와 윗층 사람들은 조심 조심 가능하면 소리가 나지 않도록 생쥐와 같은 생활을 시작하고...덕분에 아래층에 소리가 전달되지는 않았지만 그럴수록 할머니의 호기심은 커져만 간다. 소리가 시끄럽다고 짜증을 내던 할머니의 관심이 호기심으로 커지면서 할머니는 윗층에서 나는 소리를 듣기 위해서 귀를 쫑긋하다보니..바닥에 귀가 닿을 정도로 커져 버린다.  의사의 진단에 의하면 듣고 싶은 소리를 듣지 못해서 생긴 병이니..소리가 나도록 하면 되겠군요...동화같은 진단은 할머니의 귀도 정상으로 만들고 윗집은 자유롭게 생활 할 수 있는 환경을 얻게 되면서 할머니와 윗집 사람들은 진정한 이웃이 된다는 이야기... 현대의 우리 생활과 비견해 본다면, 아파트에서 층간 소음에서 나오는 문제들을 이 동화에 비한다면 더 큰 싸움이 되겠군..하는 쓴 웃음이 들게 하는 동화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2. 21. 11:2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ANB
방영타이틀 : 드라마 스페셜
방 영 : 1995.09.18

연 출 :

각 본 : 나카시마 카즈키(中島かずき)
출 연 : 키무라 타쿠야(木村拓哉)
          모치다 마키(持田真樹)
          이하라 츠요시(伊原剛志)
          하카마다 요시히코(袴田吉彦)
          노기와 요코(野際陽子)
          반도 에이지(坂東英二)
          야마시타 요리에(山下容莉枝)
          와타나베 잇케이(渡辺いっけい)
          이시이 타츠야(石井竜也)

사용자 삽입 이미지
13년이나 전에 제작된 드라마라 그런지...역시 촌스러운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낡은 화면 안에서도 오똑한 코에 부리부리한 키무라의 젊은 모습만이 드라마 안에서 눈에 띈다. 무사 시대의 무사가 싸움 도중에 현대의 일본으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된 이후의 황당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이 드라마 내용의 전부이다. 디스코 클럽의 촌스러운 춤이나 New World의 신기기들에 당황해 하고 놀라는 카무라의 모습은 이런 류의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표현들..조금 흥미로운 것은 같이 싸우던 키무라가 교통사고 스럽게 의사의 집에서 생활하게 된 거와는 달리 상대편 적은 현대에 오자마자 도둑질에 악행을 저지르면서 시작되는 모습이 무척 흥미롭다. 악당의 첫 현대의 등장이 마치 터미네이터의 악당 같다는 것 ...장면이 나올 때 피식 자연스럽게 웃음이 흘러나온다.

현대의 세계로 함께 넘어온 적은 오로지 키무라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만이 생의 목표라 끝까지 키무라를 따라와서 그에게 승부를 요청하고 있지만, 그에게는 시간의 흔적이 넘어온 것 처럼 검이 없어지고 난 다음이다. 역사 속의 인물이 현실 세계에서 어떻게 기존의 역사를 바꾸어 낼 수 있을까..청바지를 입은 무사는 어떻게 이 위기를 극복하나... 소재는 드라마 적인데 그 진행 방식이 무척이나 촌스럽다. 실제 일본의 주요 역사의 큰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사전 지식이 별로 없어서 뭔 소린가...(드라마를 보면 그가 시대를 타고 넘어온 시대의 역사가 무척이나 주요한 역사인 것 같은데...)강인한 무사는 아무런 연유 없이 병원의 간호사와 눈이 맞지?..급박한 전개가 드라마 안의 설득력을 많이 잃고 있다. 드라마의 제작 시기가 오래 되서 낡은 느낌이 드는 것이 아니라 ..그 진행 방식에 신선한 점이 없기 때문에 무척이나 낡은 드라마로 보인다. 그런 연유로 재미도 그저 그런 드라마.

 
by kinolife 2008. 2. 21. 10:11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0년, 독일, 미국, 98분

감 독 : 라자 고스넬(Raja Gosnell)
각 본 : 대릴 퀄즈(Darryl Quarles)
          돈 라이머(Don Rhymer)
촬 영 : 마이클 D. 오쉐아(Michael D. O'Shea)

출 연 : 마틴 로렌스(Martin Lawrence)
          니아 롱(Nia Long)
          폴 지아마티(Paul Giamatti)
          테렌스 하워드(Terrence Howard)
          안소니 앤더슨(Anthony Anderson)
          엘라 미첼(Ella Mitchell)
          자스카 워싱톤(Jascha Washington)
          칼 라이트(Carl Wright)
          필리스 애플게이트(Phyllis Applegate)
          스탈레타 뒤푸아(Starletta DuPois)
          옥타비아 스펜서(Octavia Spencer)
          티치나 아놀드(Tichina Arnold)
          스프링 아스퍼스(Spring Aspers)
          필립 탠(Philip Tan)
          필 혼(Phil Hawn)

음 악 : 리차드 깁스(Richard Gibb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느 FBI의 연기력 높은 요원을 주인공으로 해서  사건을 수사 한다는 소재를 다루고 있는 코미디 영화로 주인공인 마틴 로렌스의 연기에 거의 8할 넘게 기대고 있는 영화다. 자신의 장기인 변장술을 통해서 잠복근무를 하면서 증거를 구하고 범인을 잡기 위해 노력하는 특수적인 재능을 가진 형사..일반인의 생활 안에서 함께 생활하면서 수사하는 많은 영화들이 갖고 있는 코믹한 요소를 이 영화 역시 주된 흥행 포인트로 활용하고 있는 영화다.

능글능글한 연기를 보여주는 마틴 로렌스의 수다스러움은 이 영화에서도 그대로 그려지는데, 영화 속의 캐릭터가 개인기를 이용해서 사건을 해결하듯 이 영화 역시도 마틴 로렌스의 개인기를 십분 발휘하는 것으로 그 힘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인공 말콤이 새롭게 맡게 된 사건은 은행 강도의 공범자인자 애인인 세리에게 접근해 검거에 필요한 증거들을 찾아서 검거하는 일... 용의자인 세리가 자신의 은처로 생각하는 빅마마의 집을 잠복근무의 근거처로 생각한 말콤은 엉겹결에 자리를 비운 빅마마가 되어서 증인 확보 및 용의가 검거에 돌입한다. 빅마마의 집에서 150Kg에 육박하는 거인으로서 생활을 시작한 말콤은 처음부터 근처에 사는 산모의 아이를 받는 산파로서 활동, 경호를 위한 학원에서 강사를 때려눕혀 동네 아줌마 인기 받기 등 빅마마보다 더 빅마마 같은 생활을 이어간다. 이런 작은 에피소드가 코미디적 요소로 작용하는데 제작년도가 좀 지나서 그런가 조금 식상한 인상이 강하다.

빅마마로서의 생활이 무르 익어갈 때 즈음 자신이 용의자로 지목하고 주시했던 세리가 범인에 의해 이용당하고 쫒기도 있다는 걸 알게 되면서 자신도 모르게 서서히 세리에게 마음을 빼앗기고 있었던 터에 말 못할 쾌재를 부르게 된다. 돈을 쫒아 세리를 찾아온 용의자와의 결투 속에서 용의자는 검거하지만, 자신이 빅 마마가 아니었으며 세리가 이제까지 믿고 의지했던 사람이 자신을 쫒기 위해서 속여왔다는 사실에 분괴하면서 말콤은 좌절하게 된다. 사건 종료 이후 시간이 흐르고..,, 둘이 함께 고백의 시간을 나뒀던 교회에서 사랑을 고백하는 말콤은 세리의 누그러진 마음으로 인해 사랑의 결실을 이루게 된다. 라고 하는 아주 루틴한 내용의 미국식 흑인 코미디 영화. 주 출연진이 흑인에다가 쫒고 쫒기고 또 치고 박고 우왕좌왕하는 슬랩스틱 형식의 코미디의 정석을 보여준다는 데 있어 특이할 만큼 눈에 띄는 이슈는 없는 영화다. 마틴 로렌스의 원맨쇼라고 생각하고 정말 시간이 많이 남아 돌 때 보면 되는 영화. 일면 킬링 타임용으로도 조금 아쉬움이 큰 영화다. 2편까지 만들것 까진 없었을 거 같은데..미국에선 어느 정도 흥행에 성공했나 라는 생각만 슥 지나치면서 해 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2. 20. 17:2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 제 : John Patric Norman McHennessy
            -The Boy Who Was Always Late
글 : 존 버닝햄(John Burningham)
그림 :존 버닝햄(John Burningham)
번역 : 박상희
출판사 : 비룡소
출판일 : 1999년 04  재판 41쇄
가격 : 7,500

등교길에 기이한 일을 당한 존...계속되는 황당한 사건들은 존을 지각대장으로 만들어 버린다. 자세한 상황을 설명해도 언제나 존이 말하는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해버리는 선생님...존은 억울하지만 머 어떻게 할 수도 없다. 그러던 어느날 자기가 당한 것과 같은 황당한 일을 당한 선생님....그 황당한 일을 존에게 말하는 선생님께 들려온 대다븐 " 선생님이 당하신 것과 같은 그런 일은 우리 동네에서는 일어나지 않아요..."..그대로 받은대로 한방 돌려주는 존이다.

존 버닝햄의 동화로 어린아이의 진실과 어른의 의심에 관한 내용을 담은 독특한 동화책이다. 아이의 특이한 생각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작은 메세지를 전해주는 것 같다. 유머러스하고 통괘한 맛이 있는 동화책,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2. 20. 13:5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ANB
방 영 : 2007.03.23

연 출 : 키우치 마유미(木内麻由美)         
각 본 : 아사쿠라 히로시(朝倉寛)

출 연 : 쿠로카와 토모카(黒川智花) 
           키타자와 마리카(北澤鞠佳) 
           미즈시마 히로(水島ヒロ) 
           마츠카와 신노스케(松川真之介)
           하마다 가쿠(濱田岳)
           에자와 리나(江澤璃菜)
           오카미 토키히데(岡見時秀)
           스즈키 케이타(鈴木啓太)
           타니무라 미츠키(谷村美月)
           마츠오 토시노부(松尾敏伸)
           미츠이시 켄(光石研)
주제곡 : "アメノチハレ" by 나나무지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화지 같은 청춘의 시절에 대한 짧은 이야기를 다룬 단편 드라마

아주 어릴적 부터..시작된 공주님과 하인 놀이를 하기로 약속한 꼬마숙녀와 꼬마는 청소년이 되어서도 그 놀이를 이어간다. 이 둘의 비밀스러운 사이를 알게 되는 사람이 3명이 되기 전까지는 그 약속어린 게임을 계속하기로 하는데, 근 10년이 넘도록 계속된 이 게임에 위기가 찾아온다. 꼬마 숙녀에게 대학생 남자친구가 생기고, 이들이 함께 만나는 장면을 보는 사람들이 하나 둘씩 생기나면서 이들의 게임의 법칙이 깨어지기 시작한다. 아울러 이 게임의 종말을 알리는 이 둘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늘면서 이들의 우정은 위기를 맞이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학 입시라는 무거은 현실 앞에서 서로 위로가 되는 듯 보이지만 부담도 되는 이 둘의 관계는 결국 다른 도시의 대학을 서로가 진학하게 되면서 서서히 사이가 멀어진다. 다시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오해가 쌓인 소년과 소녀는 각자의 길을 향해 가게 되고..진정으로 공주님은 그 하인에게 의지하면서 연모하고 있었음을 알게 되고...소년도 도망치듯 그 게임에서 벗어났었음을 뒤늦게 알게 된다. 우정은 오해에 의해서 무너졌지만, 그 오해가 오해인 걸 알게 된 서로는 다시 우정을 이어가게 된다. 이젠 하녀와 주군이라는 새로운 게임을 시작하는 것으로 새로운 주종 관계를 나누고 누리면서...

청춘시대....소년과 소녀의 우정에 관한 짧은 이 드라마는 아슬아슬 우정 안에서 극을 이어간다. 충분히 연모라는 감정으로 확대화 할 수 있지만, 아슬아슬하게 그리움과 연정을 혼동하진 않는다. 함께 있어서 편안하고 즐겁고 서로 위로가 되는 소년과 소녀는 보통의 남녀가 느낄 수 없는 사랑 이상의 우정을 만끽한다. 여기서 나이가 더 들어서 각자 다른 사람과 사랑을 하더라도 이 사랑어린 우정을 이어 갈 수 있겠지..라는 므흣한 미소가 퍼지는 건 궂이 이 둘의 관계를 지정하지 않은 연출자의 열린 의도를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의 관계보다는 이들이 지금 처한 그 시간에 대한 찬가 쯤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담백한 청춘 드라마.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2. 19. 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