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 죠 신타(Shinta Cho)
그림 : 죠 신타(Shinta Cho)
번역 : 정근
출판사 : 보림
2007.07 초판 2쇄
가격 : 6,800

코끼리가 그려내는 그림들을 보고 동물들이 보이는 반응을 그려내고 있는 동화책...

아이가 조금 더 크면 크레용으로 동화책 속의 코끼리 처럼 별의 별 그림들을 다 그리겠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동화책을 한번 읽어 줄때보다 부번째 읽어 줄때가 더 이해력이 빠르나는 건 역시 당연한 것이지만 조금은 놀라움을 느낀다. 그림이나 내용이 그다지 새롭고나 신기한 것은 없지만..그런대로 이야기 할 거리들은 가지고 있는 그림책..

자기가 알고 있는 동화책 속의 동물들 이름 대기에 바빴지만..그것 역시 동화책을 함께 읽는 재미가 아닐까... 오래간만에 들른 아름다운 가게 광화문 헌책방에서 건진 나름 양호한 동화책 중 한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8. 5. 25. 18:30
반응형
나야 먹지 않았지만..어른들은 울산에 오면 먹어봐야 한다고 해서 급하게 퀵으로 장생포로부터 배달받은 고래고기 모듬..한 마리의 고기 안에 12가지의 맛을 느낄 수 있다는 고래고리를 구경한 것만으로도 독특한 경험이 되었던 것 같다. 실제로 불법으로 많이 포획되고 있으리라는 생각이 스치는 지점엔 이건 아니지 싶다가도..참 인간의 식문화란 기이하다라는 생각을 갖게도 하는 음식이었다.

육회부터..다양한 고기들의 향연이 정말 한 마리에서 나온 것인가..다양하다라는 생각이 든다. 주로 회가 많았고..일부 기름이 많은 부위는 다시 구워서도 드시던데..제대로 된 음식 기행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8. 5. 18. 03:12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일본, 111분

감 독 : 니나가와 미카(蜷川実花)
각 본 : 타카다 유키(タナダユキ)
원 작 : 안노 모요코(安野モヨコ)
 
 
출 연 : 츠치야 안나(土屋アンナ)
           시이나 킷페이(椎名桔平)
           나리미야 히로키(成宮寛貴)
           키무라 요시노(木村佳乃)
           칸노 미호(菅野美穂)
           이치카와 사단지(市川左團次)
           이시바시 렌지(石橋蓮司)
           나츠키 마리(夏木マリ)  
           안도 마사노부(安藤政信)
           나가세 마사토시(永瀬正敏)
           미나미(美波)    
           야마모토 히로시(山本浩司)
           코이케 아야메(小池彩夢)
           엔도 켄이치(遠藤憲一)   
           안노 히데아키(庵野秀明)

음 악 : 시이나 링고(椎名林檎)



일본의 화류계에 등장하는 새로운 신예 사쿠란...
시기도 부정확하고 장소 역시도 확실한 것이 없은 어느 공간과 시간...작은 기방에 모인 여인네들의  화려하지만 쓸쓸한 일상을 아주 화려한 색채감으로 담아낸 독특한 영화. 고아와도 다름이 없는 가난한 시대의 어린 여자아이들은 이미 기생이 되어 있는 기녀들의 수발을 들면서 자신들도 기방 안의 화려한 여인네가 되기 위한 수련을 받으면서 기녀로서의 꿈을 키워 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최고로 잘나가는 기녀 쇼히의 수발을 들게 된 키요하는 낯선 남자들에게서 몸을 파는 쇼히의 모습에서 자신의 미래에 대한 우울한 직감을 갖게 된다. 빠져 나가고 싶지만 딱히 방법이 없는 키요하는 기방의 뜰 안에 놓인 벚꽃을 보면서 언젠가 거 벚꽃나무에 벚꽃이 열리면 이 곳을 떠날것이라는 기대만을 품고 세월을 이겨낸다.

자신이 모시던 쇼히가 높은 가문의 첩으로 시집을 가게 되는 날, 쇼히로 부터 언젠가 첫날밤을 치르고 나게 되면 써도 좋다면서 노리게 하나를 주고 가는데..그 순간 키요하도 자신 역시 쇼히처럼 될 것이라는 운명을 직감한다. 시간은 흐르고 운명대로 키요하는 쇼히 때무터 어항 안에 갖혀 있는 금붕어 처럼 자신 역시 작은 기방에 갖힌 빨간 꽃이 되어 가고 있음을 알게 된다.

같은 운명을 한 기녀들 사이의 질투와 암투를 뒤로 하고라도..무엇 하나 미래를 감내할 길이 없는 이 여자들의 하루 하루는 영화의 화면을 가득 채운 기모노의 색깔과 화려하다 못해 눈이 부신 영화 속의 그림들로 인해서 아믈한 기녀들의 운명을 뒤로 하고 시각에 빠져들게 한다.

주인공들의 화려한 매일 매일처럼..영화는 색채감 100% 만족을 위해 하이 스피드로 달려가는 독특함을 표현해 준다. 일본색이 강하다 못해 쓰러질 듯 터져 나오는 기모노의 무늬와 색깔을 뒤로 하고서도 색의 대비를 강조한 세트와 풍경들은 일본의 극단적인 전통의 색깔 안으로 빠져 들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음을하면서 독특한 목소리를 지닌 츠치야 안나를 필두로 역시 독틈함이라면 빠지지 않은 음색의 소유자 칸노 미호까지 화려한 기녀들은 시대와 세월을 초월해서 영화를 보는 이들의 눈을 즐겁게 한다.

자신이 속한 세계를 경멸하면서도 그 안에서 최고의 위치로 적응해 가는 키요하는 자신이 인생을 헤쳐가기 보다 적당이 거부하고 즐기면서 운명에 맞겨 버림으로서 자신도 모를 자유를 찾는다. 영화는 궁극에 이르러 키요하의 기방 탈출로 마무리 하면서 풍족함으로 쌓인 화려함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찾지 못하는 이들에 대한 오래된 역사를 반하는 영화적인 캐릭터를 구현한다. 워낙 사실적인 내용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 모두가 세트화 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하는 영화는 화려한 화면만큼이나 독특한 시이나 링고의 음악 덕분에 더더욱 시간을 초월한 특이한 공간 안에 관객들을 위치 시킨다.

영화의 줄거리는 파격적인 내용보다는 일반적인 플롯 안에 놓여 있지만 그 지루할수도 있는 내용을 배우들의 의상에서 보여주는 색채감과 음악을 통해서 충분히 상쇄 시키고 독특한 영화로서 자리 매김한다. 키요하 역을 맡은 츠치야 안나의 연기는 영화 속의 주인공와 딱 맞아 떨어지는 듯 독특한 매력을 발산한다. 그녀의 음악에서 보여지는 독특함이 영화 안에 고스란이 묻어나는 듯 하다.
일본에 관한 일본색에 관한 탐구가 필요한 이들이라면 필히 봐야 할 신세대적인 일본영화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드는 작품이다. 일본의 기방이 가지고 있는 고즈넉하고 꽉 짜여진 범절이나 규칙과는 거리가 먼 날것들이 살아서 숨쉬는 것 같은 활기를 시대를 초워해서 보여주는 독특한 영화다. 영화 속의 빠른 속도감은 그런 뉘앙스를 더욱 더 강하게 풍겨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8. 5. 18. 03:09
반응형
비트볼 사무실에 간 날..점심으로 먹은 쌈밥...
평범한 쌈밥이었지만..오래간만에 먹은 많은 야채와 고기..맛있게 먹었다.
무엇보다도 이런 한국식 야채요리가 얼마나 좋은지 모르겠다. 몸에도 좋고...너무나 넘치는 포만감에 기분이 좋아서 흘흘 더운 봄날씨를 헤쳐 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8. 4. 28. 16:4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일본, Tokyo TV                                                         국내 출간 : 비채
방영일 : 2006.11.23                                                              발간일 : 2007.12
                                                                                       
감 독 :                                                                               글 : 다케우치 마코토(竹內眞)
각 본 :                                                                               번역 : 권용주        
                                                    
출 연 : 야스다 쇼타(安田章大)                                                  
          마루야마 류헤이(丸山隆平) 
          시부야 아스카(渋谷飛鳥) 
          후쿠다 사키(福田沙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연히 보게 된 드라마...그리고 그래서 책을 주문할 떄 사서 읽어버리게 된 원작 소설..알게 모르게 일본의 소설들이 꽤 많이 국내에 번역되어 있구나 라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하게 한 작품이다.

소설, 드라마 공히 자전거를 통해서 우정을 나누고 성장해 가는 두 친구에 관한 주변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은 비슷한데 조금씩은 차이가 있다
.
먼저 소설을 보면, 자전거를 타면서 청소년기를 보내 성장한 두 청년이 중년이 되어가는 과정을 굉장히 담담하게 일기처럼 펼쳐진다. 고등하고 동창생과 결혼해서 가정을 꾸려가는 과정까지 보여주는 것도 좋았지만, 자신의 성장에 있어서 큰 에너지원이자 동력이 되었던 자전거를 자신의 아이에게 가르치면서 느끼는 감정들은 꽤 인상적이었다. 평범한 화자에 비해서 비범해 보이는 끈기의 달인 친구를 통해서 자신의 성장 동력으로 활용했던 부분도 소설에서는 비교적 자연스럽게 과장됨 없이 그려져 있다. 그러면서 각자 결혼을 하고 중년이 되어가는 동안에도 추억처럼 다시 자전거 레이스를 만들어가는 모습 역시도 무척 좋았으며 일본에서 느껴지는 취미의 일상화 내지는 오따쿠들의 정신적으로 풍만한 삶에 대한 느낌을 받을 수 있어서 좋았다.

이에 비해 드라마는 이들 두 소년이  청년이 되어가는 과정 정도만 보여 주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는데, 시간상 문제였거니 생각이 든다. 여자친구와 헤어지고, 다리 인대가 끊어져서 다시 자전거 선수생활을 하지 못하는 좌절을 극대화 해서 보여주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희망적인 결론까지 다 보여주는 소설이 더 좋게 다가 왔다. 드라마나 소설이나..삶에서 중요한 포인트를 잡아가는 생활의 면모는 느끼기에는 충분한 작품이다

- 책 속의 좋은 말 -

"괴로울 때는 있는 힘껏 괴로워해도 된다. 시간이 프르면 언젠가 괴로웠던 추억초자 보물이 되는 법이야."

"아무리 나이를 먹어도 친구가 재미있어 보이는 놀이를 시작하면 신경이 쓰이는 법이다."

"어떤 시점을 경계로 세계가 달라져 보이는 경험은 인생에 몇 번쯤 있을까. 나도 지금까지 그런 순간을 경험한 적이 몇 번 있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자전거를 탔을 때에는 갑자기 세계가 넓어진 것 같았고 새벽 바다에서 벌거숭이가 돼서 헤엄치던 때에는 파도와 바람과 하나가 된 느낌을 맛볼 수 있었다. 그 순간에 내 안의 뭔가가 달라지고 세계의 뭔가가 달라졌다. 자전거라는 탈것에는 일상적으로 그런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이 분명 있다. 새로운 길을 발견하고 모르는 동네까지 갈 수 있게 된다든지, 새로운 머신을 탔더니 타는 느낌이 전혀 다르다든지, 그런 사소한 일로도 세계는 달라진다. 다양한 길을 달리고 다양한 머신을 타는 게 즐겁게 느껴지는 것은 그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반응형
by kinolife 2008. 4. 28. 15:38
반응형
산부인과 진료와 검사를 마치고 혼자서 먹는 점심..계속에서 시원하게 매운 낙지비빔밥을 먹고 싶은데..이집 역시도 낙지가 약간 들어간 그냥 비빔밥이었다.
언제 한번 청계천으로 나가서 15,000원 이상하는 낙지볶음을 먹고 싶다. 시원한 조개탕과 함께...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8. 4. 28. 11:06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 : ANB
방영일 : 2007.01.05

연 출 : 후지타 메이지(藤田明二)
각 본 : 카마다 토시오(鎌田敏夫)
원 작 :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출 연 : 타무라 마사카즈(田村正和)
          쿠로키 히토미(黒木瞳)
          이시하라 사토미(石原さとみ)
          마츠다 쇼타(松田翔太)
          아소 유미(麻生祐未)

해 설 : 노기와 요코(野際陽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라마 속에 이토 히로부미가 서양의 열강들 사이에서 일본을 위해서 활약하는 시대라고 하니...우리 나라 입장에서는 일제시대가 배경이 될만 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드라마다. 서강 열강들이 자신들의 문화를 즐기지 않으면(?) 모르면이라는 표현이 더 맞겠찌만, 상대해주지 않는다는 미명아래 일본의 고위관직자들이 서양의 문화를 즐기는 곳..로쿠메이칸..이공간이 실제적으로 이 드라마의 주인공이다.

일본의 고위관직 인사와 그의 부인과 얽힌 일본의 그 시대상은 주인공들의 역사를 당시의 실제 역사와 묶이면서 시대적인 분위기를 잘 표현해 준다. 예를 들면, 일본의 가장 잘나가는 기생인 부인이 로쿠메이칸에서의 서양문화 즐기기를 거부하는 모습이나 혼란스러운 시대에 일본을 위한다는 미명 하에 자신의 욕망을 숨기지 않는 주인공..환란기에 나라를 위한다는 생각 속에서 시대에 휩쓸리는 청년들..모두 전쟁과 가난..더욱 더 강한 열대 강국 사이에서 휘둘리던 시대의 사람들에 관한 분위기가 가득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시대적 배경 아래에서 주인공의 부인과 얽힌 과거를 통해서 다시 한변 이야기를 엮어가는데, 기생 어머니와 당시의 시대를 변혁할려는 정치인 아버지 사이에서 갈등하는 아들..그에 그런 아들을 두게 한 남자에 대한 질투를 가지고 있는 정치인 등으로 꽤 흥미로운 소재나 인물 구성도를 가지고 있지만, 드라마는 상투적이고 지루하다.

극저인 전개 자체가 특별한 에피소드 없이 괸하 무게만 잡는 거 같은 느낌이 강하고 인물들의 캐릭터도 설득력이 부족하다. 자신의 아들을 죽인 남자와 헤로하는 엄마나, 그런 여자를 그저 옆에 두는 것만으로 의미를 두는 정치인..그런 정치인의 정적이지만, 마치 태어나면서 부터 철학자 인듯 모습을 보이는 혁명가..모두들 다변화 되어 있는 캐릭터가 그다지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아서 드라마에서는 크게 재미를 느끼지 못하게 한다. 로쿠메이칸은 화려했지만, 그 안의 이야기는 찐맛이 없는 드라마.
반응형
by kinolife 2008. 4. 28. 10:54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총권: 단권
글: 박형동
출판사: 애니북스
2008.03 초판 1쇄
가격: 각권 8.900원

파스텔 같은 담화를 담아놓은 단편을 묶어놓은 만화책으로 마치 짧은 여행을 떠나듯 누구에기나 겪거나 나에게는 지나올 수 있는 시간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담백한 만화와 욕심없는 스토리는 조금은 상투적이라고 느껴질 수도 있게 하지만..별일 없는 것 같은 인생 그대로를 보여주는 점이 이 만화의 가장 큰 장점이다.

근래에 나온 다른 여느 만화같은 풍이긴 하지만 그 안에서 스쳐 지나가는 이야기들이..그런거지..라는 느낌을 느끼게 한다.

잘나가는 일본 소설의 표지 일러스트를 그렸다는 작가의 담백한 그림은 짧은 만화 안에도 가득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8. 4. 26. 22:07
반응형
작은 아버님이 부르셔서 온 가족이 오래간만에 외식을 했다.

사당동에 있는 등갈비 집에서..개인적으로 먹기도 힘들고 질긴 근육들이 있어서 안 좋아하는 관계로 나는 옆에서 꼽싸리 끼어서 갈비살을 먹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8. 4. 26. 18:32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 : NHK
방영 타이틀 : NHK 스페셜 드라마
방영일 : 2005.10.02 - 2005.10.06

연 출 : 사토 미네요(佐藤峰世)
각 본 : 하시다 스가코(橋田壽賀子)
 
출 연 : 요네쿠라 료코(米倉涼子)
          나카마 유키에(仲間由紀恵)
          사이토 나나(斉藤奈々)
          시다 미라이(志田未来)
          모리 미츠코(森光子)
          노기와 요코(野際陽子) 
          이마이 츠바사(今井翼)
          무라타 타케히로([村田雄浩)
          스가타 하루카(姿晴香)

6.25를 기점으로 가난의 정점에 다달았던 한국처럼 비슷한 시기에 역시 가난한 생활을 이어가던 일본을 무대로 그려낸 역사를 배경으로 한 가족 드라마. 총 5회의 특별방송으로 총 방송 시간이 6시간 정도가 되는 단막극 중엔 장편이다.

시대 배경이 가장 큰 줄거리의 무대가 되는데 밥을 굶던 일본인들이 브라질의 커피 농장에서 일을 하기 위해 아무 가진 것도 없이 가족 단위로 노역을 가던 이야기에 한 가족 그리고 그 가족 안에서 함게 할 수 없었던 자매에 대한 이야기가 주된 줄거리 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브라질로 떠나기 위해 항구에 모인 가족 중에서 결막염에 걸려서 브라질로의 입국이 불가능했던 막내딸과 가난한 일본에서도 우애를 나누던 큰딸은 함께 할 수 없는 현실에 좌절한다. 큰 언니는 브라질에서 강한 노역에 시달리고, 작은 딸은 큰어머님 댁에 버려지다 시피해서 고생을 하는 힘든 시간들이 이어진다. 3년 동안의 브라질에서의 노역을 끝내고 일본으로 다시 돌아오겠다는 약속만을 서로 믿고 살아가는 자매..가난은 이들의 만남을 70년이 넘도록 허락하지 않는다.

서로에게 보낸 편지도 편지 안에 든 돈 때문에 동생에게 전달되지 못하고..각각 혼자된 마음으로 고생스러운 나날을 보낸다. 혼자 두고 와서 내내 아린 동생에게 연락이 없어서 괴로워 하는 브라질의 언니와 자신을 버린 가족에 대한 원망으로 그저 성공만을 위해서 달려가는 여동생..80 가까이 지난 나이가 되어서 다시 만난 이들에겐 지나온 세월만큼이나 긴 시간의 오해가 그들의 만남을 방해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언니는 동생에 대한 미안함을 잊지 않고 동생은 그런 언니와 가족에 대한 원망을 뒤로 한채 살아온 오랜 시간이 흐른 이후 잊고 살았던 과거가 오랜 기다림 이후의 만남을 통해서 되살아 난다. 같이 고생했던 먼 시간에 대해서 교류를 하게 된 자매는 70년 전에 함께 할 수 없었던 브라질에서의 생활을 여든이 다 되어서 시작할 결심을 새긴다. 자식과 고향보다 더 강렬한 이 자매애는 역사 안에서 희생하고 몸과 마음의 고생 모두를 감내해야 했기에 더 깊게 다가오도록 그려지는 것인지도 모른다.

현대사에서 전 세계적으로 겪은 전쟁을 바라보는 하루의 아버지 처럼 이성을 잃어버린 외국에서의 경도된 애국자를 어떤 시선으로 보고 이해해 주어야 하나 하는 곤란함도 있기는 했지만, 지나온 역사 속에서 밥을 먹기 위해서 고생 할 수 밖에 없었던 나약하고 가난한 사람에 대한 회한이 드라마 안에는 많이 깔려 있다. 엇나간 외국심에라도 미칠 수 밖에 없었던 그 시절을 비난할 것인가...거슬리는 장면을 뒤로 하고 별 재미 없는 특별 드라마였지만, 이렇게라도 자신의 역사를 다시 되집어 보는 일본 드라마의 현재를 다시 한번 본 것 같다.


반응형
by kinolife 2008. 4. 26. 1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