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매운 낙지 볶음 먹고 싶다. 하지만 언제나 이건 혼자만의 소망이라 혼자서 먹어야 한다. 진건씨가 낙지를 못 먹기 때문에 먹고 싶으면 혼자서 대충 먹어야 한다. 이대 쪽으로 시사회가 이어서 가는 길에 발견해서 먹게 된 낙지 덮밥..조금 많이 단 오징어 대신한 낙지 덮밥이었다.

메인 밥이 나오기 전에 나온 무우 김치가 무척 달기에 아 낙지는 맵겠다 기대를 했는데..웬걸 맵기 전에 너무 달아서 놀랬다. 기런 맛이 요즘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맛인가 보다 라는 생각만 하고 왔다. 먼가 부족한 듯한 6천원을 써 버린 어제의 점심식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 17. 08:46

나의 영화 DB 프리랜서 계약을 축하하기 위한 턱..삼각지 역의 쯔구시에서 시원하게(25만원 술값을 뒤로 하고 ...-_-;;) 한방 쏘고...조금 이른 시간이라 근처 삼각지 역까지 걸어서 찾아간 와플집 빈스빈스...

꽤 유명한 곳인가 본데...역시 손이 아니면 전혀 모르고 산다는 것...아케리카노 커피가 3800원 역시 쎄고...기본 와플이 9.000여원...그 위에 머 더 들어간 것은 얼마인지 모르겠는데..몸에 좋은 한식 정식만큼이나 비싼 후식이다.
아직까지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물씬 나는 가게 안은 조금 좁아도 아득한 분위기가 좋게 다가왔다. 높은 천장도 멋지고..좁지만 비싸겠구나..머 그런 생각 하면서..이래 저래 마무리를 위한 커피 타임을 가진다.

커피는 못 먹었지만, 와플에 함께 나온 아이스크림...토핑으로 나온 과일들을 너무 행복하게 먹어주시는 우리 딸내미...1차 쯔구시에서도 시샤모 구이를 거의 3마리 드신...왕성한 식욕(근래에는 맛있는거에만 그런 반응을 보일 정도로 많이 컸다.)을 보여주시고..분위기 있는 곳까지 들려서 즐겁게 지냈다. 말 그대로 근래 와플 가게..브런치가 유행이라는데 와플 전문점도 처음 가보는 것이다. 끌끌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베이직이라고 해도 좋을 벨기에 와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지같은 아담한 커피잔이 좋아....커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의 하이라이트 아이스크림 와플...

by kinolife 2008. 1. 13. 20:58

Happy New Year 신년 케익..

입덧이 정언이 때 보다는 조금 심한 편인데..그래서 그런가 진건씨가 몇몇가지 먹을 걸 아주 쬐금 사다주기 시작한 이후..사다 준 치즈 케익..이른바 신년 축하 케익이기도 하다...별뜻 없이 지나면 매일이 아무것도 아니고 의미를 두자면 매일 매일이 의미 있는 나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다시 해본다. 작년엔 우여곡절도 많았는데...올해는 또 어떤 일들이 있을지 궁금하기도 하다. 말 그대로 해피 뉴 이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1. 2. 21:0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일본, TBS                                                                제 작 : 한국
방영타이틀 : TBS 금요 드라마                                               상영 시간 : 115분
방 영 : 2007년                                                                     제작 년도 : 2005년
감 독 : 요시다 켄 (吉田健)                                                     감 독 : 정윤철
각 본 : 테라다 토시오(寺田敏雄)                                             각 본 : 윤진호, 송예진, 정윤철
원 작 : [달려라! 형진아]                                                        원 작 : [달려라! 형진아]

출 연 : 니노미야 카즈나리(二宮和也)                                       출 연 : 조승우
          타나카 미사코(田中美佐子)                                                     김미숙
          나이토 타카시(内藤剛志)                                                        이기영
          우와모리 히로유키(上森寛元)                                                  백성현
          사쿠라이 사치코(桜井幸子)                                                     안내상
          마츠오카 마사히로(松岡昌宏) 

음 악 : 카사마츠 야스히로(笠松泰洋)                                        음 악 : 김준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눈에 띄는 흥행작..말아톤..역시 실제 인물 배형진 군의 실화를 모티브로 해서 영화화 한 작품이다. 이 본 작품을 2년 이후 일본에서는 특별 드라마로 제작해서 방영했다. 자폐증이라고 하는 특수한 증상을 가진 아이에게 그리고 그런 아이와 함께 평생을 순탄지 않은 일생을 살아야 하는 엄마에게 마라톤이란 어떤 의미가 될까..우리 영화를 본 사람들 혹은 드물게 일본의 드라마를 본 사람 모두에게 절대적인 절망은 인생에 해답이 되지 못한다는 일반론에 다다를 수 있다.


국내에서 제작된 영화의 경우엔 주인공인 형진 못지 않게 그의 어머니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그런 병을 가진 아이 못지 않게 그런 아이를 돌보아야 하는 엄마의 입장이 아주 잘 반영되어 있다. 때론 심한 다그침으로 또 때론 자신을 학대하면서 지내온 시간..단 하나 해주고 싶은 것이 있었다면,본인이 즐거워 하는 일을 하게 해 주고 싶었다는 것을 통해서 어른도 성장해 간다는 것을 보여줘서 현실성이 높게느껴졌다. 한국에서 형진의 경우는 아프티카 추원의 다양한 동물들의 생활에 대해서 죄다 꾀고 있지만 일본 드라마에서는 전철의 생리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그래서 코치들도 그런 아이의 특성을 훈련에 반영하는데 한국의 영화에서의 비유가 보다 더 매끄럽게 처리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코치도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하는데, 운수 없게 장애아 코치로 왔다고 생각하던 한국 영화에서의 코치가 조금씩 아이의 진정성과 열의에 다가가는 모습, 엄마와 티격태격 하면서 신뢰를 쌓아가는 모습 등이 보다 극적 긴장감도 높히고 현실석인 표현으로 다가온다. 전체적으로 작품을 더 긴박하고 현실감 있게 그린 건 한국의 영화 쪽이 더 우수한 듯 보이고, 배우들의 연기 역시도 더 사실적으로 다가온다. 일본 배우들의 연기는 상당히 기존에 보아 오던 것과 같이 도식적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어서 영화에서 느꼈전 뭉클함을 느끼는건 어려웠다.

충분히 영화화할 수 있는 소재를 두 작품 모두..각각의 색깔로 녹여냈지만 전체적인 승리는 한국의 영화...왜 그해 최고 흥행을 기록했는지..조금은 알 수 있다.
by kinolife 2008. 1. 2. 16:58

입으로 먹는다기 보다는 눈으로 즐긴다는 표현이 더 어울릴 듯한 화과자...
경미씨가 두번 째로 집에 들리면서 사 들고 왔다. 아직도 우리 집에 오는 것이 불편한 것인지....그냥 크리스피 노넛 더즌이나 빠리 바게트에서 일용할 빵들 한 만원치 담아 오는 것이 더욱 더 생활에는 유용할 듯 한데...어른들할 때 인사 드리러(특히 장모님, 시어머님 등을 처음 뵐 때) 갈 때 많이 사 간다고 하는 화과자를 사 가지고 왔다.

덕분에 내 돈 주고 사먹지 못할 이쁜 찹쌀 떡 몇일 동안 아침 식사 대용으로 먹었다. 먹이에 아깝다고 생각됐는데...손을 대기 시작하니 얼릉 먹고 치워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엔 보다 유용한 양식을 사오던지 그냥 오던지....OK?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28. 04:4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한국                                                                        제 작 : 일본
상영 시간 : 115분                                                                 상영 시간 : 103분
제작 년도 : 1998년                                                                제작 년도 : 2005년
감 독 : 허진호                                                                     감 독 : 나가사키 슌이치(長崎俊一)
각 본 : 오승욱, 신동환, 허진호                                               각 본 : 나가사키 슌이치(長崎俊一)

출 연 : 한석규                                                                     출 연 : 야마자키 마사요시(山崎まさよし)
          심은하                                                                               세키 메구미(関めぐみ)
          신구                                                                                  이가와 히사시(井川比佐志)
          오지혜                                                                               니시다 나오미(西田尚美)
          이한위                                                                               오오쿠라 코지(大倉孝二)
          전미선                                                                               토다 나호(戸田菜穂)
                                                                                                  오오타카라 토모코(大寶智子)
                                                                                                  쿠사무라 레이코(草村礼子) 
                                                                                                  노구치 마사히로(野口雅弘)
                                                                                                  스와 타로(諏訪太朗)

촬 영 : 유영길                                                                     촬 영 : 나가타 유이치(長田勇市)
음 악 : 조성우                                                                     음 악 : 야마자키 마사요시(山崎まさよし)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이야 한국영화를 잘 만든다..볼 만하다는 이야기가 나오지만, 10년 전만 해도 한국영화를 영화로도 취급하지 않던 시절.. 혜성처럼 등장한 허진호의 <8월의 크리스마스>는 정말 가지고 싶은 한국영화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가슴을 팍 떄리는 영화였다. 당시엔 스타였지만, 연기는 말하기 힘들었던 심은하의 연기에 뻑 가고..한석규의 낙랑한 목소리에 기분 훈훈해 지기도 했던 영화..그 영화를 2005년 일본에서 같은 제목으로 리메이크 한 게 있어서 찾아서 보게 되었다. 거의 동일한 내용에 설정...분위기까지 흡사하고 ..그저 일본이라는 배경과 여자 주인공의 직업이 주차 단속 요원에서 초등학교 임시교사 정도로 변환 되는 것으로 해서 영화의 주요한 장면들을 그대로 오마쥬 해서 보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 초입, 병원 앞에서 장난을 치는 정원의 모습, 친구랑 술을 더 먹기 위해서 자신의 죽음을 알리는 정원의 모습, 자신의 영정 사진을 더 이쁘게 찍고 싶어서 다시 사진관을 찾을 어느 할머니의 모습들..더운 여름날 지쳐서 사진관을 찾아온 다림에게 선풍기를 틀어주는 모습(일본 영화에서는 에어콘을 세게 틀고 이불을 덮어준다...), 함께 하드(아이스크림)을 먹는 모습, 정원이 아버지에게 VTR(일본 영화에서는 DVD) 작동법을 가르켜 드리는 모습, 정원이 다림의 모습을 그저 몰래 바라보는 모습, 자신의 죽음을 맞기 위해서 조금씩 삶을 정리 해나가는 모습 일면 일면이 실로 오마쥬로 불러도 좋을 만큼 카피 되어 있다. 영화에서 보여준 정서 역시 한국영화와 비견해서 크게 달라 진 것이 없어서 죽음을 앞둔 젊은 남자의 숨길 수 없는 사랑의 열정과 숨죽인 고통을 담아내는 건 두 영화 모두 비슷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느새 10년이 지나버린 한국 영화의 스틸컷을 찾다가 발견한 스틸 속의 심은하의 모습. 입을 삐죽거리고, 야리고, 째려보고 하는 자연스러운 표정이 무척 그립다는 생각까지 들었다. 맞아 그때 그 영화는 정말 영화 같지 않았지 라는 생각이 저절로 드는 것이 이 영화를 보았던 그 즈음의 분위기가 슬 살아나는 것 같아서 색다른 추억에 참기기도 한다. 두 영화 모두 잔잔함..인간적임..따스한 스산함과 아련함...이 베어 있어서 아리고 아프지만 피할 수 없는 매력이 있는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 영화 모두 어느 것 하나가 더 잘 만들었다고 말하기 그렇겠지만, 일본 영화 속에 담긴 세련된 풍경보다 오래된 사진 같은 우리 영화 속의 많은 장면들이 영화의 색깔과 더 닮아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건 역시 팔이 안쪽으로 굽기 때문일까...두 편 다 그림같은 풍경에 사람내 물씬하는 내용들이 추억을 그리고 거기에 대한 또 다른 영화인의 오마쥬가 신선함으로 다가와 즐거움을 선사한다. 당시 OST와 소설의 인기까지 해서 잔잔한 퍼짐이 곳곳에 울렸던 기억이 영화의 마지막 스크롤과 함께 퍼져 오는 것 같다. 일본 영화에서는 정원의 역할을 맡아준 배우가 음악까지 담당해 영화의 시나리오과 감독을 맡은 감독과 함께 이 두 인물이 이 영화를 많이 좋아했구나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게 한다. 죽음이 있음에도 사랑이 있고 그 안에 인간의 내음이 물씬 나는 두 영화 모두 착한 영화라는 생각에 그저 마음이 푸근해 지는 것 같다.


by kinolife 2007. 12. 25. 05:25
어제는 진건씨네 회사 아해들..오늘은 나의 전 회사의 아해들이 놀러오기로 해서 급조한 메뉴들....값도 싸고 만들기도 편한 것들로 모아 보았다...손이 많이 가는건 힘들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홍 합 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감 자 피 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 끼 우 동

by kinolife 2007. 12. 21. 16:31
순두부  전골이 주 메뉴겠지만, 돼지갈비나 소등심 같은 고기 굽기에도 편한 가정집 개조 고기집..
집 아래 생겼는데, 진건씨가 이 골목에 까지 이 식당이 장사가 되겠어?,,고기가 엄청 오래됐을 거야 안 팔려서..이래서 맨날 왔다 갔다 보기만 했던 집이었는데...선거 마치고 점심 식사를 했다.
생각보다 깔끔한 데다 손님도 많고 회전도 좀 되는 것 같았다. 진건씨의 예상 완전히 빗나감...그전에 어머님 오셨을 때 이상한 돼지 갈비 먹은걸 생각하면 억울해......그 지보다 더 깔끔하고 가격도 싸구만.....
전골을 먹을가 하다가 역시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돼지갈비를 먹었다...고기도 실하고 좋아요......비지 찌개도 서비스로 주고....웬지 종종 이용할 거 같은 느낌....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19. 16:40
회사 들렀다가 분기별로 있는 시사회를 재끼고 삼청동에서 와인 한잔....
특이한 이름에 편안한 실내 의자가 일품인 곳이었다. 고즈넉하고 한적하게 사람들이 시간을 내어서 쉬었다 가는 곳...이런곳..사는 게 즐겁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안주로 시킨 시금치 치즈 피자..가볍게 먹기에 좋고 맛있는 있었는데 가격이 16,000원 조금 쎈 편...


by kinolife 2007. 12. 17. 00:46
연말정산 자료를 뽑기 위해서 들른 미즈메디 병원이 있는 우장산 역을 거쳐 오다 지하철 길로 오는 중간에 있는 송화 시장 구경을 했다. 혼자서 서서히 걸어갔지만 생각보다 큰 시장의 규모에 화들짝 놀래본다.

100개에 3,000원하는 작은 귤에...저렇게 푸짐하게 한접시에 3천원하는 전까지 들고 기분 좋게 집으로 돌아온다. 낯선 시장을 둘러보면서 바로 맞은 편에 새로 입주하는 듯 보이는 현대 아이파크는 좋겠다는 생각을 슬 해보면서 지나간다...상권이 훨씬 더 발달해 있는 것이 사실인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16. 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