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TBS
방영 타이틀 : 스페셜 드라마
방 영 : 2006.01.02 - 2007.01.03
각 본 : 오오모리 미카(大森美香)
원 작 : 타키자와 반킨(曲沢馬琴)
감 독 : 도이 노부히로(土井裕泰)
 
출 연 : 타키자와 히데아키(滝沢秀明)
          사토 류타([佐藤隆太)
          오자와 유키요시(小澤征悦)
          오시오 마나부(押尾学)
          쇼에이(照英)
          야마다 유(山田優)
          카츠지 료(勝地涼)
          야마시타 쇼온(山下翔央)
          나카마 유키에(仲間由紀恵)
          와타베 아츠로(渡部篤郎)
          아야세 하루카(綾瀬はるか)
          나가츠카 쿄조(長塚京三)
          야마시타 신지(山下真司)
          오쿠무라 코엔(奥村公延)
          칸노 미호(菅野美穂)  
          오오스기 렌(大杉漣)
          타케다 테츠야(武田鉄矢)
          쿄모토 마사키(京本政樹)
          진나이 타카노리(陣内孝則)   
          사노 시로(佐野史郎)  
          사사키 쿠라노스케(佐々木蔵之介)
                                                                                               토모사카 리에(ともさかりえ)
                                                                                               카네다 아키오(金田明夫)  
                                                                                               사카구치 타쿠(坂口拓)
                                                                                               야마구치 마키야(山口馬木也)
                                                                                               이시구로 히데오(石黒英雄)
                                                                                              코히나타 후미요(小日向文世)
                                                                                               이즈미 핀코(泉ピン子)
                                                                                               타나베 세이이치(田辺誠一)
                                                                                               와타나베 잇케이(渡辺いっけい)
                                                                                               스기모토 텟타(杉本哲太)
                                                                                               미우라 리에코(三浦理恵子)
                                                                                               쿠로카와 토모카(黒川智花)
                                                                                               사카모토 후유미(坂本冬美)
                                                                                               오오쿠라 코지(大倉孝二)   
                                                                                               니탄다 마사즈미(二反田雅澄)
                                                                                               히다 야스히토(緋田康人)  
                                                                                               한카이 카즈아키(半海一晃)
                                                                                               사토 마사히로(佐藤正宏)
                                                                                               미나카와 사루토키(皆川猿時)  
                                                                                               코무로 유타(小室優太)

주제곡 : "Brave Soul" by S.E.N.S.

역시나 화려한 캐스팅이 평이한 내용의 늪에서 헤어져 나오지 못한 평이한 드라마. 시대 판타지 극이이지만 보는 동안 지루함 덕분에 많이 힘들었다. 화려한 캐스팅 만큼이나 시대극으로 변한 배우들의 연기는 무척 인상적이어으나(특히 칸노 미호) 드라마 자체의 매력은 애써 찾아봐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작 소설이 있는 것을 보아, 일본 내에서는 꽤나 인지도가 있는 작품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기대를 가지기도 했으나, 악과 선의 대결..그리고 전설과의 혼합구조가 그다지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았다. 사실 이런 류의 이야기라면 연작 시리즈물로 그려저서 좀 더 디테일한 재미를 주어야 할 것 같은데, 예를 들어서 사토미의 8개의 구슬을 찾는 과정이 무척이나 우연적이며 일사천리로 이루어져 극적 긴장감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더군다나 적의 술수 역시도 무척이나 단순하고 일회적인 것이 많아 전체적으로 극의 단조로움을 방조한다. 좀 더 치밀한 복수극과 잔꾀들..그리고 그걸 헤쳐가는 의로운 집단들의 의지와 노력들이 좀 더 치밀하게 그려졌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아주 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라마에서는 보기 힘든 특수효과들 역시도 이런 한계점 덕분에 빛을 바란다. 현재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요 조연급 배우들과 신예 스타들의 얼굴을 골고루 볼 수 있다는 정도로 만족해야 할 드라마...상당히 긴 스토리를 2부작 총 4시간여에 모으는 바람에 잔재미들이 많이 준것 같은 인상이 강한 시대극...근본적으로 일본의 시대극이 조금 재미 없게 느껴 지기도 한다.


by kinolife 2007. 5. 26. 07:3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Julieta su Caja de Colores
글 :
카를로스 펠리세르 로페스
      (Carlos Pellicer Lopez)
그 림 :
카를로스 펠리세르 로페스
         (Carlos Pellicer Lopez)

옮긴이 : 김상희
출판사 : 미래 M & B
2007.04 초판 2쇄
가격 : 9,000


그림을 통해서 머리 속에 있는 생각을 그려낸다. 공간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꿈의 세계를 2차원의 세게로 그려내는 즐거움은 아주 크다. 그런 그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담고 있는 동화책으로..그림을 그리는 자의 즐거움에 대해서 순수하게 그렸다. 내용은 간단한 것이나, 그 내용을 뒷받침하는 그림들은 아주 수준이 높은 것으로 동화책에 담긴 내용 이상으로 눈이 아주 즐거워지는 동화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5. 24. 17:31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좋은 소설이란 머리로부터가 아니라 마음으로부터 나오는 것입니다. 기술적으로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백입니다. 영화는 모든 것을 보여줘도 됩니다. 하지만 소설은 안 됩니가. 글은 가능하면 짧게 써야 합니다. 독자들은 작가들의 생각보다 훨씬 똑똑합니다. 독자들은 훨씬 똑똑합니다. 독자들은 함축적인 문장에 담긴 여백을 읽을 줄 압니다. 최종적으로 한 문장으로 소설을 쓰는 것. 그게 나의 목표입니다." [2008.09 VOGUE]
by kinolife 2007. 5. 21. 23:26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정신
출판사: 영진닷컴
2004.01 초판 1쇄
가격: 8.800원


사람은 돈을 모으는 재미에 살까..혹은 쓰는 재미에 살까..어찌 보면 그 둘의 재미 모두를 버릴 수 없는 사람들에게 이 쌔끈한 카피라이터의 글은 돈 쓰는 재미에 의미까지 담아보면 어떠할지 은근한 주문을 걸어오는 것 같다. 가계부를 쓰긴 하지만 별로 정리를 하고 있지 않으니..그 다음달에 반영이 안되고 변화가 없으니 매번 같은 달을 살고 있는 것 같은 느낌만이 든다. 나의 영주승은 어떤 역사를 써 가고 있을까 작은 상념들만이 스쳐 지나간다.. 정신집중 1시간이면 후다닥 읽을 수 있는 지출에 대한 개인적인 감각의 세계를 느낄 수 있다.






"생각은
 춥고 조용한 데서 잠을 자면서
 시간이 흘러가는 것을 기다릴 것이다
 세상이 달라지지 않는다면 절대 깨어나지 않겠지

나는
 저쪽 흡연석의 사람들이 피우는 담배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과 음식보다 먼저 나온 물잔 속의 물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보며 시간이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하고...
 따뜻한 숲과 빵, 그리고 고기를 먹는다."

"혼자 살 때 보다
 지아랑 살면서 좋은 점은
 밥을 먹을 때
 젓가락으로
 두 장 깊게 된 깻잎의

아랫잎을 붙잡아 준다는 것이다.

나를 붙잡아 주는 지아와 함께"



by kinolife 2007. 5. 21. 21:03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는 항상 일찍이 무성 영화에서 배운 영화문법을 사용한다. 오히려 요즘 영화가 그때 영화에 비해 세련되지 못 할 때가 많다."

"이론이란 실제 작업과 연관되었을 때만 진짜 흥미로울 수 있다."

"나는 영화가 사람들이 꾸는 꿈과 연결 될 때 영화의 힘이 발휘된다고 생각한다." - [거장의 노트를 훔치다 : Moviemakers' Master Class] 중에서
by kinolife 2007. 5. 21. 05:53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ANB
방영 타이틀 : 토요 와이드 극장
방 영 : 2007.01.06 - 2007.01.06
각 본 : 우치다테 마키코(内館牧子)
감 독 : 하시모토 하지메(橋本一)
 
출 연 : 야마시타 토모히사(山下智久) 
          타나카 코키(田中聖) 
          후지가야 타이스케(藤ヶ谷太輔) 
          야쿠시마루 히로코(薬師丸ひろ子) 
          노기와 요코(野際陽子) 
          타카시마 마사노부(高嶋政伸) 
          이토 시로(伊東四朗) 
          와쿠이 에미(和久井映見) 
          카타오카 츠루타로(片岡鶴太郎) 
          와타나베 잇케이(渡辺いっけい) 
          마토바 코지(的場浩司) 
          사이토 쇼타(斉藤祥太) 
          츠지모토 유키(辻本祐樹) 
          사키모토 히로미(崎本大海) 
          하시즈메 료(橋爪遼) 
          토미타 쇼(冨田翔) 
          쿠지라이 코스케(鯨井康介) 
          쿠로키 메이사(黒木メイサ) 
          나카고시 노리코(中越典子) 
          와카무라 마유미(若村麻由美) 
          마스 타케시(升毅) 
          마츠시게 유타카(松重豊) 
          아사노 유코(浅野ゆう子) 
          코바야시 넨지(小林稔侍) 
          히가시야마 노리유키(東山紀之)

음악 : 오오시마 미치루(大島ミチル)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의 시대극이지만..일본의 역사적인 국민성향을 엿볼 수 있는 시대극..개인적으로 일본 역사를 세세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시대극은 그 닥 와닿지 않는 것 같다. 자위대와 전혀 다를바 없는 백호대라는 이름으로 15~18세의 소년이 성주를 위해서 목숨을 버리는 훈련과 정신무장을 하고 목슴 버리는 내용을 담은 이 시대극은 규모는 꽤 크지만 재미가 있거나..흥미롭지는 않았다.

국적 불면의 영움심과 그걸 뒷받침하는 결의는 생명경시와 그다지 다르지 않게 느껴졌고, 그들의 이런 훈련된 정신무장의 역사가 조금은 섬뜩하기도 했다. 물론 시대가 바뀌어서 일본의 정신도 많이 바뀌고 역사성도 변했으며, 현대 시대에 그 어떤 나라보다 적극적으로 적응해오고 변화시켜 온 일본의 현대사를 생각한다면 일면, 현대 일본의 청년들에게 정신무장을 위한 요소를 전해주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제작 의도는 물론 역사에 대한 마음가짐도 충분히 히해가 되지만, 드라마 속의 이야기나 인물들에게 쏙 빠져들지 못하는 건 과다한 정신무장과 잔인함... 전장의 장면들이 주는 불편함이 전반적으로 극의 주된 요소로 이어지기 때문인지 모르겠다. 공중파로 방영되는 드라마 치고는 잔인하다는 생각도 함께 들었다. 극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에 대한 시각은 신선했는데..촛점이 거기에 맞춰졌었다면 좀 더 새롭고 신선한 신식 고전드라마가 될 수 있었을 까 생각 해 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5. 20. 06:3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설                                                                        영화
글:에쿠니 카오리                                                     감독:모리타 요시미츠(森田芳光)
    (江國香織)                                                          각본:모리타 요시미츠(森田芳光)
번역: 신유희                                                            출연:사사키 쿠라노스케 (佐々木蔵之介)
국내 출판:소담출판사                                                       츠카지 무가(塚地武雅)
출판년도:2007.02(한국)                                                     토키와 타카코(常盤貴子)
                                                                                    사와지리 에리카(沢尻エリカ)
                                                                            제작년도:2006년


2000년대 국내에서 일본 소설의 트렌드를 만들어 가고 있는(하루끼, 바나나의 자리를 꿰찬 듯 보이는) 에쿠니 카오리의 신작 소설 [마미야 형제]가 작년 일본에서 영화화 되었다. 아찔한 로맨스도 화끈한 액션도..그렇다고 넘쳐나는 웃음도 없는 그저 그런 일상에 관한 애환과 예찬을 담고 있는 카오리의 따뜻한 시선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전작에 비해 잠깐 쉬어가는 페이지처럼 담백한 소설..그리고 그런 소설을 토대로 영화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본작의 내용은 언제나 지금처럼 평이하게 늙고 싶은...그러나 욕망에는 수줍게 솔직한 두 형제의 일상에 대한 담화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소설은 두 형제의 기본적인 성격과 취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개인적이며 소심하고 솔직한 두 주인공들의 주변과의 일상사를 마치 이들의 일기를 누군가가 읽어주는 듯이 표현하고 있다. 올해 2월 국내에 번역 출간되어 현재까지 꽤 많이 팔리고 있는 베스트셀러인가 보다.

책을 읽으면서 책 속에 나오는 이들의 취미를 어떤 집에 어떻게 녹여 놓았을까 하는 게(영화에서늬 세트) 꽤 궁금했는데 이상적으로 잘 그려진 것 같다. 특히 책이며 컬렉션이 많은 집안을 사설 도서관처럼 색다르게 꾸미는 것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에 대한 호기심도 어느 정도 채워졌다. 원작이 특별히 어려운 어떠한 해석을 담고 있는 작품이 아니라 영화 역시도 특별한 재구성이나 새로운 해석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잘 구현해 내는데 목적을 둔 것처럼 보여진다. 기존에 조금 다양한 자기 색깔을 내던 모리타 요시미츠의 세련됨은 이들의 투박함에 많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감성에는 변화가 없지만 소설의 재현 이상의 가치를 발견할 수 없다는 점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다. 근래 일본의 드라마와 영화에서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는 오오시마 미치루의 음악만이 이 영화 전반에 깔리면서 이들 색깔을 더욱 더 두드러지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설도 마치 누군가의 입을 통해서 그런 사람이 있다네..로 시작되는 이야기처럼 평이한 이야기들을 듣는 것처럼 아주 쉽게 읽히고 빨리 읽힌다. 어찌 보면 이렇게 별 것 없는 개인의 취향을 중심으로 두 사람만 묶어도 소설이 되고 이야기가 되네...라는 생각이 읽는 동안 내내 들면서 소설의 마지막 장까지 넘기게 된다. 영화 역시도 마찬가지다 잔잔함 그 자체에 빠져서 별 부담없이 보게 되는데 보다보면 아 그런 형제도 있겠군이라는 생각으로 정말 변화없는 매일의 일상처럼 영화의 끝을 만나게 된다.

잔잔한 혹은 지루하기까지 한 별 내용을 담지 않은 영화 마미야 형제와 소설 마미야 형제는 소설과 영화 동시에 등장하는 대사 " 아무 일 없이 지금처럼 조용히 살자"에 다다라서야 맞아!! 조용히 별일 없이 평온하게 사는 것, 살아 가는 것. 살아 남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하는 생각을 하게 되면 이 소설과 영화를 본 평이했던 시간이 그저 아깝게 보낸 킬링 타임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큰 주제로 평생에 한번 올까 말까한 감동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삶을 만나서 지금이 삶에 숨어 있는 행복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일본의 잔잔함을 담은 영화 중에서도 가장 담백하면서도 어떤이에게는 지루할지도 모를 마미야 형제처럼...변함없이 조용히 살아 남아 변함없이 누군가와 함게 늙어가는 삶에 대한 애찬을 다시 한번 더 대뇌이고 외치지 않을 수 없다. 그 반복되고 별것없는 삶이 그게 바로 우리들 대부분의 인생이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책 속의 글 -

"아무것도 모르면서 좋아하는 게 아니라,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좋아하게 되는 건 아닐까, 아무것도 모르는데 마음이 끌리기 때문에, 좀 더 알고 싶어져서 다가가려는 게 아닐까"

- 영화 속의 글 -

믿기지 않아 우리 집에 여자가 오다니...엄마가 두명 있다고 생각하면 되는거야
by kinolife 2007. 5. 19. 15:2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Flotsam
그림 : 데이비드 위즈너
         (David wiesner)
출판사 : 베틀북
2007년 4월 초판 1쇄
가격 : 9,000

세상의 모든 눈으로 불릴 수 있는 것들에게 영광을...

소년의 눈을 타고 카메라의 구멍을 통해..물고기의 눈을 통해..책 속의 보는자의 시점이 바뀌고 보이는 것의 객체도 바뀌는..거기다 시간 개념까지 계속해서 바뀌어 지는 이 놀라운 그림책의 상상력은 우리가 의식없이 인식하고 있는 시간과 공간 내에서 '보이는 것'에 대한 고정관념에 강인한 돌을 던진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생각해봐 !! 그래도 특별히 손해보는 것은 없을거야..발전하지 않은 사고를 지닌 뇌는 이미 죽은 채로 네 목 위에 달려 있는거야! 라고 외치는 것 같다. 데이비드 위즈너의 또 다른 상상력을 느낄 수 있는 동화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5. 19. 14:26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른 제목 : 신 호스테스의 꽃길
제 작 : 후지 TV
방 영 : 2001.04.10 - 2001.06.26
각 본 : 우메다 미카([梅田みか)
원 작 : 키도구치 시즈(城戸口静)
          리카(理花)
감 독 : 히라노 신(平野眞)
          히지카타 마사토(土方政人)

출 연 : 자이젠 나오미(財前直見)
          나가시마 카즈시게(長嶋一茂)
          하라 사치에(原沙知絵)
          마나카 히토미(真中瞳)
          이토 미사키(伊東美咲)
          쿠로사카 마미(黒坂真美)
          토다 케이코(戸田恵子)
          사토 B사쿠(佐藤B作)
          카미카와 타카야(上川隆也)
          야자와 신(矢沢心)
          이토 토시히토(伊藤俊人)
          츠노다 토모미(角田ともみ)  
          타카이 아키코(高以亜希子)  
          오오츠카 안리(大塚安里)  
          타카가키 레이코(高垣麗子)  
          카가 켄지(加賀健治)  
          나가야마 타카시(永山毅)  
          야스이 켄이치로(安居剣一郎)  
          모리카와 레이(森川玲)  
          코바야시 레이코(小林玲子)  
          오오츠카 마에(大塚麻恵)  
          시부야 마리코(渋谷真理子)  
          니시카와 리나(西川りな)  
          히라이즈미 세이(平泉成)  
          오기 시게미츠(小木茂光)  
          니헤이 코이치(二瓶鮫一)  
          타케자와 카즈마(竹沢一馬)  
          키시 히로유키(岸博之)  
          후쿠모토 신이치(福本伸一)  
          키무라 타에(木村多江)  
          타무라 타가메(田村たがめ)  
          나가노 사토미(長野里美)

음 악 : 오오시마 미치루(大島ミチル)

일본 드라마에 당당하게 등장하는 호스테스라는 직군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주기 위해 제작된 듯한 이 드라마는 퇴물 취급을 받는 한물 간 호스테스의 직업 정신을 바탕으로 이 직업군 여성들에 대한 애환을 드라마틱하게 그려내는 국내에선 찾아보기 힘든 소재의 드라마이다. 호스테스도 당당한 서비스 업으로써 손님을 대하는 자세부터...상급자에 대한 대우, 동기간의 화합 등을 드라마 곳곳에 녹이고 있으며 룸쌀롱(국내식 표현이겠다.) 운영을 위한 도덕적인 자세까지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코미디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로 한 마디로 멀쩡한 설정들이 종종 등장한다. 몇몇 드라마 속의 에피소드들은 인간사에 대한 기본 법칙에 가까운 계몽적인 내용까지도 포함하고 있어 이른바, 호스테스 드라마가 아주 성행이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하는 작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된지는 좀 되었지만, 내가 본 것이 속편이니..나름 인기가 있어서 2탄까지 제작되었으니..나름 소비군이 있는 소재라는 생각도 든다. 기술이 부족한 호스테스가 위로 올라과는 과정을 그리는 부분은 여느 소재의 드라마와 차이가 없으며, 더 치밀한 구성을 보이는 곳도 있다. 어느 사회에나 있을 수 있는 경쟁 구도 속의 인간이 자신의 직업군 내에서 자기 자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은 신선할 것이 없겠으나 그들의 무대가 호스테스 사회이기에 재미있는 소재가 되는 것 같다. 왜 드라마의 제목이 물의 꽃길일까..꽃은 호스테스를 의미하는 건 알겠는데..그것과 물길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건지 아직도 의문인데..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많은 주연이자 조연인 호스테스들이 지금은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주연급이라...현재 활동중인 여배우들의 과거 단편적인 모습을 훑어보는 재미는 이  드라마를 보는 Tip 중 하나다.
by kinolife 2007. 5. 15. 04:38
5월..유난히 신보가 많이 출시되는 것 같은 달이다..미쳐 받지 못했던 상반기 CD들이 끼어 있긴 하지만...앞으로 남은 5월동안 어떤 시디들이 또 올까..궁금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날에서 보내준, 김동률, SG 워너비...현근씨의 로보트 태권 브이...그리고 알레스의 양호한 시디들과 소니 비엠지의 음반들..소소한 양호시디들이 1차로 도착했다. 타운홀의 오릇한 CD들은 진건씨 페이브리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래간만에 다와 뮤직에서 구입한 국내 시디들과 영화음악들이 왼쪽에 오른쪽 시디들은 SONY/BMG, Universal에서보내준 양호한 작품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연히 알게 된 쌈넷의 청연이 건네 준 시디와 킹핀..SONY/BMG 워너뮤직, 비트볼 레코드 등등의 업체에서 나온 신보들..모두 모두에게 떙큐 감사를....


'All That My Life > My Shopping & Collec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의 책들  (0) 2007.06.13
6월의 CD들  (0) 2007.06.13
[잡화용품]제대로 망했다..  (0) 2007.05.07
[옷,신발]서문시장 땡땡이 형제  (0) 2007.05.03
[CD]4월의 CD들  (0) 2007.04.22
by kinolife 2007. 5. 14. 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