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일본, NHK 총 4부작

감 독 : 카사우라 토모치카(笠浦友愛), 오오하시 마모루(大橋守)
각 본 : 아라이 슈코(荒井修子),카토 료코(加藤綾子)
 
출 연 

타나카 레나( 田中麗奈), 마이코(マイコ)  
          타케다 신지(武田真治), 키무라 타에( 木村多江)

세토 코지( 瀬戸康史), 사이토 타쿠미(斎藤工)

노나미 마호( 野波麻帆), 이시하라 요시즈미(石原良純)


연애에 기술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연애감정을 체크하고 실제 연애코치를 하는 연애의 신 연애사마 이야기.

각 회당 단편으로 4명의 주인공이 4 커플이 되어가는 과정을 다룬 연작이다. 1회 시작 지점에서 연애하지 않는 일본인들에 대한 한탄을 하기 시작하는 연애사마....한 때 식물남이나 히키코모리 같은 것들이 사회 이슈와 되는 일본의 신문 기사를 읽은 적이 있는데..연애를 하지 않는 일본이라는 이미지와 이 단어들이 자연스럽게 떠오른 것은 무엇일까? 추측을 통한 지례짐작으로 이 드라마를 보기 시작했다.


자신이 있기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진짜 사랑엔 무지하고 단 한번도 재대로 이성에게 어필하지 못한 커리어 우먼, 아니요, 안돼 라는 말이 상대방에게 상처가 될거야 라며 자신을 계속 희생해버리는 착한 기점을 넘어버린 젊은 언니, 난 사랑 따위는 하지 않아! 괜찮아!! 라고 말하지만, 소극적이고 우유부단, 고지식한 전문 지식인, 10년 전 그 사람을 기억하는 한 새로운 사랑을 할 수 없다며 자신의 미래에 종지부를 찍어버린 매력녀..이 4명의 주인공이 각각 사랑에 대하 어떤 오해를 안고 살아가고 있었음을 깨닫고 그 과정에서 눈 앞에 있는 인연을 받아들인다는 이야기.. 물론 드라마이다보니, 실패도 있고 연애를 시작하는 커플도 있지만, 이 드라마의 가장 큰 이슈는 연애를 할 수 있지 않나, 아직도 연애하는 것이 두려운가?라는 사회에 대한 질문같이 느껴진다.


지난날을 도리켜 보면, 연애를 열심히 하지도 않았지만, 안 하지도 않았고, 사랑이라고 믿었지만, 그랬을까? 싶은 만남도 있었고, 혹은 놓쳐버린 떨림이 사랑이었을까? 대뇌이며 의심하며 아쉬움을 담은 기억도 흩어진다. 그러나 그 모든 기억들도 연애는 시작이 되면 언젠가는 어떤 식으로든 끝이 난다는 걸 복기하자면, 역시 연애는 개인의 선택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연애감정, 혹은 사랑에 대한 바램들은 본능에 기초한 것이 분명하지만, 사회가 복잡해 질 수록 그 욕망을 분쇄시키는 것도 사실 인 것 같다. 시대적으로 연애의 패턴도 많이 바뀌었고 연애를 욕망하는 강도도 많이 바뀌었다는 생각이다. 학교 도서관의 쪽지로 데이트 장소를 정하고 먼저 나온 시간, 기다린 만큼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체크하고 두근두근해 하던 아날로그식 연애를 한 나의 눈에 같이 커피숍에서 만나, 각자의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 요즈음의 커플들을 보면 바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드라마 초입에 언급이 되는 연애하지 않는 일본에서 느껴지는 정서도 복잡다난하고 위기에 민감한 일본인들에게 연애감정이 주는  강도는 그 어떤 것보다 큰 것이어야 가능한 것일까?라는 생각..아 일본인들이 예전에 비해 연애를 적게 하나보다..라는 이해가 별 경계없이 들어오는 것도 이른바 그들의 추세..가까이 우리들의 추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드라마를 다 보고 난 든 가장 큰 생각은 연애를 하지 않아도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것들이 너무 많고, 내가 연애를 하지 않는다고 그 누구도 걱정하지 않는 사회적인 시스템..연애를 시작할 때 지난한 과정을 거치고 나면 그 연애가 굴레가 되고, 그것이 잘못되어버렸을 때의 허무함, 혹여나 이른바 성공이라고 인식되어지는 결혼을 생각하면 연애는 굴레를 얻기 위해 시작하는 시한폭탄에 불을 당기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생각마저 든다. 그만큼 연애가 주는 달콤함은 줄어들고 그 결과에 따라 씁쓸하거나 고되거나(결혼은 젊은이들에게 마냥 기쁨이 될 수 있는 사회 시스템 안에 있지 않나!)일수 밖에 없다는 한계를 생각한다면 연애는 운명과 짝을 지어야만 유지 될 수 있는 빅게임이 되어 버린 것 같다. 이른바, 대놓고 연애 드라마인 이 드라마도 그 과정안에 연애를 못하고 있는 너를 보라, 너의 잘못을 지적해주는 신에 의해 교훈의 영역으로 빠져드는 일본드라마의 전형성을 여전히 맛 (?)볼 수 있다. 연애 드라마지만, 연애하는 것 같은 느낌을 완전히 느끼지 못하는 주인공들이 연애에 대한 강의를 듣고 하고 경험하는 드라마 같다.

by kinolife 2013. 2. 1. 20:21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3년, 일본
영제 : Say hello to BLACK JACK

방송 : TBC

감 독 : 히라노 슌이치(平野俊一)
각 본 : 고토 노리코(後藤法子)
 
출 연 : 츠마부키 사토시(妻夫木聡)
          스즈키 쿄카(鈴木京香) 
          카토 코지(加藤浩二)
          아야세 하루카(綾瀬はるか)
          카가 타케시(鹿賀丈史)
          이와마츠 료(岩松了)
          코바야시 카오루(小林薫)
          이토 시로(伊東四朗)

음악 : 하세베 토오루(長谷部徹)

내가 이제까지 봐 온 일본드라마 그리 많진 않지만 그 중에서 궂이 최악을 고르라는 바로 이작품이 아닐까..개인적으로 의학 드라마 좋아하는 편인데..이 드라마처럼 비 전문적이면서 허술하게 보이는 작품은 처음인 것 같다. 블랙잭이라는 이름이 일본의 만화작가 데츠카 오사무의 작품에서 기원한 것인가 추측까지 하면서 기대했지만, 드라마는 이건 뭥미? 그러한 의구심을 단 회에도 저버리지 않게 들게 하는 작품이었다.

드라마는 총 11회 장편이지만, 3가지 주된 이야기로 나뉜다..어느 바보같은(정말 일본식으로 빠가야로!가 어울리는) 인턴 하나가 밤의 야근 알바 도중 환자를 버리고 도망나온 사건..이후 대학에서의 인턴 생활 중에서 자신의  환자에게 당신이 수술을 하지 않으면 죽을지도 모르는데 우리 병원은 의사 스케줄에 따르기 땜에 바로 수술 못한다고 꼬발라버리면서 생기는 사건..그리고 마지막은 조산아이면서 다운증후군 판정을 받은 아이의 합병증 치료를 거부하는 아이의 부모와 벌이는 신경전을 다루는 것 정도가 큰 이야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단 세 이야기 모두, 아 일본은 이렇게 의료계가 엉망이구나! 라고 하는 것을 알려주는 홍보용 드라마 같은 느낌을 강하게 들게 한다.  먼저, 첫번 째 이야기..우리나라랑 비교한다면 인턴은 집에도 못가고 내내 병원에서 입고 자고 먹고를 하다보니 더럽고 피곤하고 인간이 아닌 형태로 그려지고..실제로 의대 이야기를 보면 그게 현실이다. 사실 병의 깊고 얕음을 차치하고라도 사람의 몸을 만지는 사람에게서 한가함이란 어찌보면 배부른 소리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의사라는 직업이 경외로운 것이 아닌가 싶은데..이 드라마에서는 거의 재때 퇴근도 하고, 친구랑 술도 자주 마시고 집에서 잠도 자고 여자랑 수다도 떨 시간이 있고 이렇게 밤에는 하루 일당 100만원 짜리 알바를 할 수 있을 정도로 녹녹하구나 싶어서 조금 어이 없다는 생각까지 했다. 이 와중에서 진짜 충격적이었던 것은 일본에서는 의료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없는지 인턴 의사에게 응급 환자가 맡겨진다는 시스템을 보면서 이 드라마 호러 였는지 헛갈릴 정도였으니 정말 문화적인 충격이 컸다. 나름 사건의 해결을 위해 투입된 간호사가 의사를 대신해서 응급환자를 구한다니...이 부분에서는 코미디에 가깝기까지 하다.

그리고 만나는 두 번쨰 이야기 심장병 환자 인턴의사....병원의 기밀을 환자에게 그것도 그 병명이 심장병(놀라서 환자가 응급이 안된 것이 이상할 정도였다.)인데 심장터질 소리를 흘리는 걸 보고는 이건 정의심도 아니고 순진한 것도 아니고 무슨 캐릭터인지 종잡을 수가 없다. 그냥 병원이나 의료계의 불합리한 부분-그것도 대부분 본인 스스로의 감성적인 부분에 취해서=-에 대해서 투덜대는데 집중하고..결국 마지막에 해결은 다른 의사가 한다는 설정이 말이 되는 것인지 연출가에게 물어보고 싶을 정도다. 환자가 병원이나 의사를 선택할 수 없는 것 같은 분위기도 이해가 되질 않고 과별 트랜스퍼가 어려워 보이면서 정보차단이 병원의 경쟁력처럼 비춰지는 부분은 일본의 의료계에 대한 불신조장이 아니고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이 드라마에서의 주인공은 고민은 하는데 거의 대부분 씨잘데기 없는 고민들이 많다. 그런 감성적인 부분에 참착할 시간이 있으면 좀 더 기술을 연마하는게 맞지 않나 하는 고민이 드는데 드라마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평온하다.

마지막으로 다운증후군 아기에 대한 주인공의 태도는 지극히 인간주의적 시각에만 묶여 있다. 이건 이해될 수도 있겠지만, 의사가 그 가족에게 다운증후군 아이의 양육까지 강요하면서(집에까지 찾아가서 빌기까지 하는) 의료행위를 한다는 건 실제 부모들에겐 잔인한 형벌을 심적으로 계속 가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보는 내내 불편했다. 부모니까 무조건 받아들이면 좋겠지만, 그 누구도 성숙되지 못한 사회에서 그런 아이를 받아들이라고 그것도 그러지 않고서도 부모냐라고 하는 도덕적인 압박감을 준다는 것은 정말이지 잔인한 형벌이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마치 불완전한 존재를 생산해 낸 데 대한 책임을 형별로 받아들이라 그 근간이 되는 것은 모성, 부성이고 보면 이 형벌은 형벌 중에서도 최고로 잔인한 형벌이 아닐 수 없다는 게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그 누구도 그 입장이 되어보지 않고서는 쉽게 말하거나 생각하기도 쉽지 않은게 현실이라는 걸 감안한다면 드라마 속이 의사 좀 때려 주고 싶은 정도로 치기 어리고 답답하다. 어떤 문제가 생기면 그냥 징징거리기만 하고 주변에 의사나 사람들에게 칭얼거리기만 하는 이 빌빌이 의사를 11회까지 보고 있을라니 울화통이 터져서 미치는 줄 알았다. 결국 이 의사는 의사로서의 모습을 갖추는 것처럼 끝이 나기는 하는데...어쩌다 그렇게 됐는지 전혀 감정이입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 드라마의 가장 큰 문제점 같다. 징징 거리고 조직 안에서 대들고 투덜대고 결국에 한다는 게 잘한다고 소문난(그것도 대부분 간호사에게 들은 걸 그대로 믿고 ...다른 대안은 전혀 아는게 없다.) 자기 조직 밖의 의사들을 찾아가서 징징거리는 게 다다. 그러니..징징거리고 화내고 혼자 운다고 의사가 되는건 아니지 않나? 아직도 이 드라마는 그 길을 찾지 못하고 헤매고 그러다 끝이 난 것 같아 찝찝함을 끝내 개운한 무엇으로 씻지 못하고 끝난 것 같다. 정말 잔인한것 같아 빨리 돌리기는 안했지만, 드라마를 틀어두고 사진 정리를 했을 정도로 단순하고 별 것 없는 드라마가 아닌가...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작품이다.
by kinolife 2010. 2. 9. 16:4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 : 후지 TV
방영 타이틀 : 후지 TV 목요10시
방영일 : 200.01.11 - 2001.03.22

연 출 : 니시타니 히로시(西谷弘)
          니시자카 미즈시로(西坂瑞城)
          나리타 아키라(成田岳)

각 본 : 후쿠다 야스시(福田靖)
원 작 : 히가시노 케이고(東野圭吾)
 
출 연 : 후쿠야마 마사하루(福山雅治)
          시바사키 코우(柴咲コウ)
          키타무라 카즈키(北村一輝)
          시나가와 히로시(品川祐)
          마야 미키(真矢みき)
         와타나베 잇케이(渡辺いっけい)
         하야시 츠요시(林剛史)
         후쿠이 히로아키(福井博章)


신참 여성형사와 천재 과학자라는 조합(너무 뻔하지만...) 최근에 국내에서 백야행 제작이후로 더더욱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는 히가시노 케이고의 이름이 궁금증을 유발해서 보게 된 드라마. 각회마다 짧은 사건(다 살인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신참 여형사와 과학자 간의 만남을 통해서 총 9건의 에피소드들을 볼 수 있다.

무엇이든 과학자의 논리가 우선인 이 천재 과학자와 신참이긴 하지만 열정으로 뭉쳐진 형사의 감과의 관계는 실제 우리의 삶 속에서도 너무 많이 혼재하는 이성과 감성의 만남처럼 평이하고 단순해 보인다. 드라마 속의 사건들은 마치 해결을 위한 해결을 향해 달려가는 것 처럼 보이지만 보는 내내 시간은 참 잘 간다. 의외의 사건과 그 사건 안에 놓인 의외의 인물들이 긴 장편처럼 치밀하지는 않아도 과학적인 정보와 그것이 인간의 마음이나 생활 영역과 엮이면서 만들어내는 사건들은 그런대로 재미나게 볼 만하다. 이런 류의 드라마는 단편씩 끊어져서 보여질 경우 국내의 <수사반장>처럼 장기간 방영해도 되는 프로젝트 작품이 충분히 될 수 있다는 편리함을 여전히 느낄 수 있다. 범죄 현장만큼이나 사람들의 살이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와 내용들이 묻어나는 것이 있을까 생각해 봐도 역시 그만한 것이 쉽지 않을 정도로 드라마틱한 에피소드 만들기가 용이하다. 다양한 사람들과 사건이 엮인 단편들의 조합이 가능한 장소는 역시 범죄현장과 병원인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럼 이런 드라마를 이끌어가는 두 축을 보면, 열혈 신참 여형사를 맡은 시바사키 코우의 선명한 얼굴은 신참 형사의 명랑한 매력을 더욱 선명하게 해 주면서 극 속의 캐릭터에 동요되기 쉽게 한다. 조금은 천방지축이긴 하지만, 부지런 하고 고집이 쎄다. 과학자의 말은 잘 들어도 경찰청 안의 선배 말은 맨날 무시한다. 잘생긴 과학자 말은 듣고 못생긴 선배 말은 무시하기에 딱 좋은 캐릭터를 형성해 준다. 이보다 중요한 역할일 수 있는 천재 과학자 역을 맡은 후쿠야마 마사하루는 영화 <용의자 X의 헌신>을 보고 독특하다 했는데. 이 드라마나 영화나 캐릭터가 같아서 마치 이런 역 전문 배우인가 싶은 생각이 들 정도다. 프로필을 보니 음악도 꽤 만들고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고 있는가본데 다른 장르에서의 모습도 확인해봐야겠다. 개인적으로 이런 마스크의 남성을 좋아하는데. 목소리가 얇고 입꼬리가 올라가면서 '지지츠 오모시로이"라고 하는 데서는 천재들이 가지고 있는 얄미움도 엿볼 수 있다. 과학자나 형사에게 피해자에 대한 연민만 가득해도 문제겠지만, 그것이 없다면 그들의 모든 행동은 그저 반복적인 탐구에 불가하다. 드라마 속의 과학자는 그것을 이면에 숨기면서 자신이 가진 능력을 통해 범죄자를 수색하고 형사는 그걸 있는대로 드러내면서 고민하고 헤집는다. 이런 둘의 조합은 범죄 현장에서 꼭 필요한 조건처럼 드라마를 형성하는데 대부분의 버디 형사물의 공통적인 법칙같다. 이 드라마속의 둘은 성별이 다르고 꾸준히 만나고 서로의 감정도 엿본다는 점에서 러브라인에 대한 궁금증까지 솔솔 흘리면서 드라마를 진행시키는데 드라마를 보는 이들에게는 사건 이외의 흥미를 긴장감과 함께 전해준다. 우리 나라의 드라마의 경우엔 보다 노골적으로 가시화 하겠지만, 역시 일본 드라마 답게 지능적으로 보여주는 척 하면서 쓱 넣어버리는 깔끔함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둘의 관계가 발전하는 것으로 그려지는 것 만큼 3류가 있을까. 그래서 드라마는 더더욱 사건과 그 사건 속의 인물에 탐닉한다. 개인적을으로 에피소드 중에서 히로스예 로코가 나왔던 착한 남편 이야기는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안타까움을 넘어서는 분노도 조금 느꼈는데 빤한 이야기지만, 정말 속상하긴 하다는 걸 쉽게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런 범죄 드라마에서 차장 볼 수있는 인간의 나쁜 성질들, 욕심, 돈에 대한 칩착, 무관심, 나태, 이기심 같은 것들을 범죄를 일으킨 용의자에서 그리고 그것을 만지고 해석하는 관계자들에서 각각 찾아보는 건 범죄 드라마를 보는 또 다른 키포인트가 될 수 있다. 자신의 성질을 참아내지 못하게 저지르게 되는 사건은 자신을 범죄자로 만들 수 밖에 없다는 걸 드라마는 정해진 답처럼 전해준다. 근래 제작되는 작품들에서는 정보통신 사회의 페해와 그것 때문에 인간성을 잃어가는 인간들의 면모를 보여주는 부분들은 꽤나 보는 이들에게 불편한 고민들을 남긴다. 한 편의 드라마는 짧다. 작은 에피소드들이 부담없게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드라마 속의 과학자가 입만 떼면 흥미를 느끼듯이 말하는 "지지츠 오모시로이" 에는 동감 못 하겠고..적당히 오모시로이 하긴 하다. 시간이 남아도는 날에 보기에 딱 좋은 작품이다.
by kinolife 2010. 1. 28. 05:55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124분

감 독 : 시오타 아키히코(塩田明彦)
각 본 : 스즈키 켄이치(鈴木謙一)
          와타나베 치호(渡辺千穂)
          시오타 아키히코(塩田明彦)
원 작 : 카지오 신지(梶尾真治)
촬 영 ; 키쿠무라 토쿠쇼(喜久村徳章)

출 연 : 이토 히데아키(伊藤英明)  
          미무라(ミムラ) 
          카츠지 료(勝地涼)  
          쿠도 칸쿠로(宮藤官九郎)  
          요시유키 카즈코(吉行和子)     
          아이카와 킨야(愛川欽也)   
          토미오카 료(富岡涼)    
          우스다 아사미(臼田あさ美)   
          사카구치 리에(坂口理恵)    
          단칸(ダンカン) 
          김성향(Seikyo Kim)
          코테가와 유코(古手川祐子)   
          나카무라 칸자부로(中村勘三郎)   
          바이쇼 치에코(倍賞千恵子)    
          모리사코 에이(森迫永依)

음 악 : 센주 아키라(千住明)

예전 자신이 살던 집을 성인이 되어서 다시 가 보게 되는 남자..흔히 현실에서도 볼 수 있는 설정이지만, 문제는 그곳에서 시간 이동을 통해서 자신이 살던 동네에 있는 어린 자기 자신을 만나다는 설정에서 시작되는 영화라는 점이다. 개인의 추억담을 쫒아가는 이녁에는 스쳐갔던 여자 친구가 있고 자신의 성장기 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다지 눈에 띌건 없는 일본 스타일의 전형적인 작품이다. 약간은 지루하면서 고루하다는 생각까지 했는데, 자료를 좀 더 찾아보니 영화 <환생>팀의 후속작이란다. 바로 이해가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간 이동을 통해서 자신의 과거를 들여다보고 이미 지나버린 현실을 한번 바뀌 보고자 하는 현실속의 남자, 혹은 아무것도 바꾸지 못했던 미래 속의 남자로 귀결되는 이 영화는 특별히 눈여겨 볼 것도 그렇다고 판에 박혔다고 매도할 필요도 없는 그저 그런 그냥 일본 영화다. 눈에 익은 일본 배우들이 꽤나 등장을 하고 일본의 대표적인 영화음가인 센주 아키라의 음악도 영화랑 잘 어울린다. 타임 캡슐이라는 소재가 주는 편이성이 이 영화의 태생적인 한계인가 라는 생각을 저절로 갖게 한다. 개인적으로는 이 소재를 흥미있는 소재라고 생각하지 않는데 일본 영화에서는 심심찮게 등장한다. 문제는 소재를 어떻게 풀어가느냐 하는 것인데..개인적으로 이 영화는 너무 지루하게 풀었다는 생각이다. 흐름도 느리고 의미 전달도 도식화 되어 있어서 크게 와닿지 않는 느낌이 강했다. 같은 소재를 좀 더 흥미롭고 다이나믹하게 그려내는 영화를 보고 싶다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바이올린 음악이 넘쳐나는 지루한 영화를 원하는 관객이라면 강추 하고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9. 11. 12. 07:05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 일본 영화, 102분
영문제목 : Happy Flight

감 독 : 야구치 시노부(矢口史靖)
각 본 : 야구치 시노부(矢口史靖)
 
출 연 : 타나베 세이이치(田辺誠一)
          토키토 사부로(時任三郎)
          아야세 하루카(綾瀬はるか) 
          후키이시 카즈에(吹石一恵)
          타바타 토모코(田畑智子)
          테라지마 시노부(寺島しのぶ)

촬 영 : 키쿠무라 토쿠쇼(喜久村徳章)
음 악 : 믹키 요시노(ミッキー吉野)

아주 오래간 만에 본 아구치 시노부의 영화..그의 시나리오와 이야기가 점점 더 세분화되면서 탄탄해지는 느낌..그리고 영화의 교과서에 가깝게 충실해지고 있는 느낌을 받게 한 영화다. 그의 데뷔작을 처음 보았을 때의 상큼함은 찾기 어려웠지만, 즐기면서 영화볼 수 있도록 안정감 있는 비행을 보여준다.

영화를 보면서 가장 즐거웠던 건 일본의 아나 항공의 이면 저면을 볼 수 있는 전문적인 환경의 나열이었다. 아직까지 신혼여행을 포함해서 국외 국내 포함 40이 다 되어 가도록 3번의 왕복 비행, 1회의 편도 비행 밖에 경험이 없는 나로서는 비행기에 탑승한다는 사실 만으로도 가슴 설레게 하는데 영화는 그 비행을 위한 일면을 아주 쏙쏙들이 속 시원하게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꽤 흥미롭다. 비행기 한 대를 띄우기 위해 발로 뛰는 여러 사람들을 보면서 역시 비행기 타기는 꽤 타기도 어렵지만..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도록 태우기도 쉽지 않음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는 단순하게는 주인공인 신출내기 승무원 아츠코(아야세 하루카 분)의 일면을 따라가는 형식으로 되어 있지만, 영화속에 등장하는 만은 주, 조연 배우들 다시 말하면, 영화속의 비행기를 띄우기 위해 뛰어다니는 모든 사람들이 주인공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 실제 비행기도 자동장치로 비행된다지만, 숙련된 파일롯이 없는 비행이란 역시 위험하고, 케이터링 서비스가 빠진 탑승이란 밥 먹고 커피를 안 마셔준것 처럼 조금 허전한 면이 있어 보인다. 영화는 마치 현미경을 들이대듯이 비행기 주변이 사람들의 동선을 따라서 아주 다이나믹한 이야기들을 풀어 낸다. 이야기의 축은 크게 여성 승무원의 세계, 기장으로써 테스트를 받는 파일롯의 세계. 그리고 이들을 태운 비행기 밖에서 뛰어다니는 사람들의 세계로 분화되어 함께 움직인다. 승무원이나 파일롯의 세계가 큰 양 날개라 한다면 비행기 밖에서 뛰는 이들이 몸통 그 자체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가장 중요한 기초이며 눈에 보이는 것들을 현실 가능하게 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뼈대가 바로 이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들이다. 영화는 그 요소들의 이면들 헤집으면서 아주 소소한 재미와 정보를 보여준다. 영화 속에 나열되어 시기 적절하게 배치된 아주 소소한 에피소드들은 이 영화의 집요한 일면을 보여 주는데, 여기서 야구치 시노부의 매력이 터져 나와준다. 감독의 세심함은 영화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이게 하고 각 장면마다 필요한 감정을 양산하는 훌륭한 근거가 된다. 그의 작품들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영화 속의 인물 어느 하나 놓치지 않고 영화 속에 배치시키는 점이 이 영화 역시 잘 드러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 영화를 좀 보는 이들에겐 아주 익숙한 얼굴들이 영화 곳곳에 등장하는데 이들을 쫒아가면서 보는 재미 역시도 쏠쏠하다. 등장인물이 꽤 많은데도 불구하고 어느 하나 튀는 것 없이 자연스럽게 배치되어 있어서 영화보는게 편안하다. 적당한 긴장감과 행복한 비행에 맞게 잘 풀릴거라고 생각하고 보는 안정적인 코미디 영화라 시간도 술술 잘 지나간다. 영화 속의 스탭이나 배우들은 무척 바쁘게 뛰어 다니고 사건에 휘말리고 발을 동동거리지만, 보는 사람들은 그저 에피소드 일 뿐이다. 가발 아저씨나 자리로 화딱질 내는 아저씨 같은 장면은...뭐 인생사 그렇지 뭐! 라는 생각을 저절로 하게 하는 장면이다. 이때 스물 흘러나오는 썩소가 바로 이 영화를 보면서 즐길 수 있는 영화재미의 대표! 일면 작위적인 에피소드일지라도.비행장 주변에서 충분히 상상해 볼 수 있는 상식적인 장면이라데는 이견이 없다. 드라마 <백야행>에서 눈여겨 보았던 아야세 하루카의 코미디 어물쩡어물쩡 연기도 잘 어울리고 영화 곳곳에서 야구치 시노부의 재능을 느낄 수 있다.

따뜻한 등장인물들이 전해주는 한판의 굿판처럼 영화는 이륙에서 착륙까지 아주 많은 이야기들을 담고 한 직업현장에서 볼 수 있는 즐거움을 전해 준다. 감독의 재능이 여러 면에서 담겨 있고 배우들의 자연스러운 연기 역시 좋다. 이야기하자면 무지하게 길어질만한 에피소들은 마치 방금 비행기를 타고 어딘가를 다녀 온 것 같은 착각을 줄 정도로 생생하고 짧은 비행처럼 피로감 없이 즐거움을 전해 준다. 여행을 위해서 비행기 앞에 오르고 내리고 하는 이들에게서 볼 수 있는 설레임을 담고 있는 이 영화가 주는 즐거움은 그 설레임이 무엇인지 경험해 본 이들에겐 영화를 통해서 사뭇 비슷한 설레임을 연상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비행장에 가 본지 오래 된 이들에겐 비행기를 타고 어딘가 가볼까.. 낯선 사람들의 얼굴을 좀 보고 즐겨볼까 하는 욕망을 남길지도 모르겠다. 난 조금 그랬다. 멀리 떠나보고잡네...라는 여운까지 전해 준 즐거운 코미디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9. 10. 28. 05:29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1년, 일본 영화, 146분
영문제목 : All About Lily Chou-Chou

감 독 : 이와이 슌지(岩井俊二)
각 본 : 이와이 슌지(岩井俊二)
 
출 연 : 이치하라 하야토(市原隼人)
          오시나리 슈고(忍成修吾)
          이토 아유미(伊藤歩)
          아오이 유우(蒼井優)
          오오사와 타카오(大沢たかお)
          이나모리 이즈미(稲森いずみ)

음 악 :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

이와이 슌지... 일본 여고생들의 맹주로 불러도 좋을만큼 특별한 감수성을 가진 이 감독을 추앙했던 90년대가 지나고 2009년도에 보는 그의 이 작품에 대한 나의 인상은 감정의 과잉으로 인한 소화 불량이었다.

인터넷 세대로 표현될만한 청소년들의 채팅글을 주된 의미 전달의 수단으로 쓰며 그 방법 그대로 그들의 색깔로 중무장 된 이미지들 만을 쏟아낸다. 어떠한 특별한 줄거리나 이야기 전개와 상관없이 메신져의 단문들은 영화의 분위기를 주도하듯이 영화의 중간 중간에 등장하며 이야기의 맥을 끊는 듯한 방법으로 영화를 이어간다. 이런 식의 전개가 새롭다기 보다는 불편하다니..역시 나도 이젠 기성세대 임이 분명하다.

고민이 한창 많을 청소년. 그 중 하나인 유이치. 그가 벅차게 자신을 압박해오는 현실을 도피 할 수 있는 방편은 '릴리 슈슈'의 음악에 탐닉하는 것 뿐이다. 어느 정도 이해 할 수 있는 설정이지만, 그 노래 하나에 청춘의 모두를 맡기는 것처럼 보이는 영화는 위태로운 청춘만큼이나 갑갑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성장해야 할 시기의 아이들이 소비되고 있는 느낌이 드는 것은 이 영화가 가지고 있는 독자적인 분위기라 생각된다. 생산적인 활동이라는 것이 모호한 시기라는 점에서 영화의 불분명함은 예기된 것이었겠지만, 영화 속의 아이들은 그 시기의 방황을 넘어서는 혼돈 속에 갇혀 잇는 것 같다. 몽환적인 분위기의 음악 역시도 이런 기운을 배가 시키기에 충분해 보인다. 이런 불확실하면서도 애매모호한 분위기를 즐기는 슌지 피플들에게는 환호받을 만하겠지만, 깔끔한 구성에 소소한 재미를 즐기는 나 같은 관객에게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이미지 과잉으로 인한 소화 불량에 휩싸이게 한다. 아님 영화가 탄생한지 8년이 훌쩍넘은 시간 차가 내가 영화릐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원인 중에 하나 인지도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 아이들과 잘 섞이지 못하고 이지매를 당하는 주인공 유이치 역시도 무기력하게 다가오고 그런 그를 이지매 하는 아이들의 심리도 이해하기 힘든다. 그 이해하기 힘든 간격 사이에 그들 세대라고 불릴만한 단절이 숨어 있는 것 같다. 이지매를 당하고 그걸 강하게 이겨내거나 저항하기 보다는 자신을 이해해 줄만한 인터넷 속의 단문에 빠져들고 릴리 슈슈의 음악에만 몰두하는 것으로 회피 하는 것..무기력한 이들 세대의 가장 큰 특징임에도 그냥 보고 있기에는 답답한 면이 있다. 실제 그 상황이라면?이라고 상상해 보면 역시 영화 속의 유이치와 나의 모습이 별반 다를바 없다 하더라고 ..그 모습 그대로를 영화 속에서 반복해서 보고 느낀다는 건 꽤 피곤한 일이다. 슌지의 초기작들이 가지고 있는 수수함과 만화같은 감수성..그걸 더욱 돋보이게 하는 간견할 이야기가 더욱 더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가 퇴보 한 것이 아니라 그의 감성이 너무 충만해서 소화가 되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영화를 보는 이가 점점 더 감수성을 잃어가는 기성세대가 되어 가고 나이를 먹고 건조해지니..이런 과잉 감수성에 익사할 지경인지도...슌지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가 나의 노쇄함을 확인 하는 것 같다는 점에서 2009년도에 감상하는 릴리 슈슈의 세계는 개인적으로는 스스로가 퇴보되는 것인가? 라는 고민에 빠지게 만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9. 9. 8. 07:05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3년, 일본 영화, 96분
영문제목 : Yoshino's Barber Shop

감 독 : 오기가미 나오코(荻上直子)
각 본 : 오기가미 나오코(荻上直子)
 
출 연 : 모타이 마사코(もたいまさこ)
          요네다 료(米田良)
          이시다 호시(石田法嗣)  
          오카모토 나츠키(岡本奈月)
          타쿠마 세이코(たくませいこ)
          모리시타 요시유키(森下能幸)

이런 촌스러운,..이런 푸하하핫...이런 이런 귀여운 녀석들이라는 감탄사를 난발한 말한 비쥬얼의 영화!! 시선을 압도하는 이 정겨운 사진은 일본의 어느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풋풋함에 영화를 보기 이전에 마음이 편하게 하는 묘미가 있다. 개인적으로 오기가미 나오코의 다른 작품은 <카모메 식당> 밖에 본게 없지만.그녀의 작품은 꽤 내 스타일이다. 다른 작품도 찾아봐야지 봐야지 하면서도 쉽지 않았는데..이상하게 이 작품도 보기 전에 그녀 작품일거라는 생각을 이 포스터 사진 한 장만으로도 당연하게 하게  됐던 작품이니 그녀의 작품들은 꽤 그녀 만의 자기 색깔이 있꾸나 라는 생각을 당연하게 하게 된다. 사진 한 장에 담긴 그녀의 영화들은 이렇게 인간미를 물씬 풍기면서 잔잔한 유머를 품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의 내용은 이렇다. 일본의 어느 작은 산골 마을..이 마을의 아이들은 전통에 따라 남자아이들은 전부 하나같이 머리에 바가지를 뒤집어 쓴 듯한 헤어 스타일을 하고 있다. 전체적인 검열을 받듯 요시노 이발관의 요시노 아줌마의 관리 하에 자라고 있는 것이다. 가위와 촘촘한 빗을 든 요시노 아줌마는 아이들에겐 사감 선생님이자 놀이터의 관장이다. 자신의 머리 모양에 대해 자의식이 없던 아이들은 샤프한 머릿날을 날리면서 등장한 전학생 사카가미의 등장으로 인해 자신의 모습을 다시 되돌아보게 된다. 그 전학생의 생경한 머리가 멋있게 느껴지고, 그 머리를 좋아라 하는 반 여자 아이들의 시선을 의식한 이들의 성장은 이렇게 시작이 된다. 전혀 이상할 것 없었던 바가지 머리는 '왜'라는 의문 앞에서 아이들의 성장판에 반항기라는 유전자를 주입하듯 폭발한다.

포르노 잡지에 관심이 생기고 좋아하는 여자 아이가 생기듯이 이들의 성장은 수줍은 미소처럼 스물스물 퍼져 나간다. 사카가미의 머리에 대한 의식이 '인권'이라는 데 이르자 이들의 반항은 폭거로 변모해 요시노 아줌마의 심경을 건드린다. 아이들을 통제한다는 건 어른들에겐 전통이라는 의미로 부가된 편리함을 위한 기제 쯤으로 받아들여지는 건 이 전통의 의미가 불확실하고 존재의 의미가 미약하기 때문이다. 바가지 머리를 하고 외국의 찬가를 부르는 전통이란 10살 정도의 아이 머리에서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 어불성설이기 때문. 영화는 이런 상황 설정을 통해서 어른 세대와 아이 세대가 가지는 너무나 흔한 가치관의 충돌에 대한 질문을 아주 은유적으로 던져준다. 그리고 그런 가치관의 충돌은 요시노 아줌마와 아이의 전쟁을 통해서 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하는데..사카가미가 어른들의 폭압에 못 이겨 머리에 바가지를 씌우게 되고 아이들의 가출을 하게 되는 충돌을 통해서 어떻게든 결론이 필요하다는 걸 반증하게 된다. 단순하게 어른들에게 대드는 아이들이 아니라 그들이 받아들일 수 없는 어른들의 규제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영화는 꽤 현명하다. 이렇게 아이들의 의견에도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영화는 세대간의 관계를 간파하는 모섭을 통해서 꽤 정치적으로 읽힐 수도 있다. 어떤 이슈에 맹점을 찍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여럿 모인 집단에서 벌어질 수 있는 사건들과 그것을 해결해 나과는 과정을 정치라고 봤을 때 이 영화는 아주 단순히 도식화된 정치 영화 이상의 의미를 품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큰 힘에 대항하는 작은 힘은 역시 시위 밖에 없고..그걸 누르는 건 역시 힘을 가진 자들이 보여주는 힘 그 자체의 발현. 현실 생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문제들과 그것의 폭발과 대치란 너무 많아서 뻔해 보이지만 일반적이라고 해서 무의미한 것이 아니란 점을 강조한다면 이 영화는 인간사의 당연한 관례를 또 하나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오기가미 나오코 감독의 따스한 시선은 그저 대치만을 보여주고 즐기는 데 머무르지 않는다. 요시노 아줌마의 항거에 실질적인 브레인이 되는 아들 케이타의 감정폭발을 통해서 영화는 따스한 화해에 다다르게 된다.
"바가지 머리도 싫지만, 바가지 머리를 강요하는 엄마를 아이들이 미워하는 게 더 싫어요!!" 맞다. 아이들과 대치하는 엄마보다는 아이들을 사랑해 주는 그래서 궁극적으로는 아이들이 나의 엄마를 좋아 하게 되는 것...이 착한 아들 케이타의 인간적인 소망이다. 영화를 보는 관객도 여기서는 어른이고 아이고 할 것 없이 왜 머리를 그렇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의미는 사라지고 궂이 그 의미를 질문하는 것 역시 의미가 없다는 걸 알게 된다. 아이들이 어른들을 좋아하지 않고 서로 으르릉 대고 있는 상태에서 의미도 모를 전통에 따라 머리만 같게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다는 말인가!! 영화의 말미 얼마 남지도 않는 머리를 매번 매만지는 동네 할아버지의 말처럼..세월을 변화에 적응을 해야 하는 건 역시 어른인 것이다. 어른들이 자신이 가졌던 예전의 것을 강요하는 것이 바로 젊은 세대들과의 충돌을 일으키는 뇌관인 것이다.

영화속, 마을에 찾아온 평화가 값져 보이는 것은 세대간의 충돌이 화해로 마무리 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낡아보이는 영화속의 환경 만큼이나 고루한 소재를 아주 따뜻하고 코믹하게 그려낸 감독의 재간에 꽤 녹녹히 녹아들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겪는 뻔한 사건들에 대해서 의미를 궂이 어떻게 포장하고 설을 풀고 하지 않더라도 이 영화는 생각하고 살아가고 행동하고 성장하는 인간의 묘미를 은근히 생각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머 이상의 의미를 전해준다. 세대간의 단절이란..정말 불행하다는 생각이 다시 드는게..아이였다 어른이 되고 아이를 키우면서 실제 생활에서 참 많이 느끼고 겪게 되기 때문이다. 때론 당연하지만 그래서 더 무섭게 느껴지는 이 이슈는 역시..내가 점점 더 구세대가 되고 있기 때문일까. 자기가 구세대라는 걸 절대 인정하지 않는 어른들을 보면서 내가 저렇게 되면 어쩌나(젊은 세대에 내가 저렇게 비줘지면 어쩌나)라고 하는 근원적인 공포가 삶 곳곳에 있기 떄문이 아닐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9. 6. 26. 07:03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일본 영화, 105분
영문제목 : Summer Time Machine Blues

감 독 : 모토히로 카츠유키(本広克行)
각 본 : 우에다 마코토(上田誠)
 
출 연 : 에이타(瑛太)
          우에노 주리(上野樹里)
          요자 요시아키(与座嘉秋)  
          카와오카 다이지로(川岡大次郎)
          마키 요코(真木よう子)
          사사키 쿠라노스케(佐々木蔵之介)

음 악 : 하라 유키(原夕輝)

영화를 보는 중간 중간에 키득 키득이 저절로 나오는 유쾌한 영화다.

어느 더운 여름날, 혼이 빠질 듯한 여름날의 꿈처럼 영화는 후다닥 하루의 기록을 통해서 주인공들의 나른하고 평범한 일상을 이래저래 뒤섞어서 되짚어 보여준다. 미래와 근 미래를 오가면서 뒤뚱거리는 조금 모잘라 보이는 SF 동호회의 땀나는 하루 체험일기는 영화를 보는 이들에게도 꽤 후다닥 지나가 버리는 즐거운 영화보기를 선사한다.

일본의 어느 작은 시골마을..진상이라고 하기엔 많이 순박하고 귀여운 우리 SF 동호회 회원들..머가 그리 더운 여름에 신나는지 다들 모여서 야구 하고 함께 목욕하고 신나게 노는 모습이 아 저런 청춘의 시절이 있지라는 낭만까지 던져 준다. 영화를 그런 즐거운 놀이시간 중 어느 한 가운데, 사고로 날려버린 쭈쭈바의 안면가격으로 죄다 넘어지고 엎어지면서 마치 도미노처럼 회원들의 머리를 감싸고 터지듯이 쏟아진 콜라에 젖어버려 영면하신 에어콘 님의 존재에 대한 회귀로 시작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 덥구나 더워!! 이 더운 여름날 좁은 동호회실에 있는 낡은 에어콘이 즉사 하셔서 너무나 더운 하루를 견더내고 있는 2%보다도 많이 부족하신 SF 동호회 회원님들이다. 쓰레기장에서 선풍기와 온풍기가 섞인 곳에서 쓸만한 놈도 찾아보고. 제조도 해 보고, 시원한 풍경을 만들거나 찾아보고 재현도 해 보고, 갓파님에게 빌어보고..이래저래 돌아다녀 보지만 별 뽀족한 수가 없던 차..어느 해괴하게 생긴 넘이 타임머신을 타고 이 더운 여름날 이들을 찾아 온다. 과거의 SF 동호회를 보고 싶어서 왔다는 미래의 동호회 후배..머 누구 누구의 아들이기도 하지만 이 꼬마 녀석 덕분에 이들은 꿈에 꾸던 동호회실의 에어콘을 찾아 헤메는 기이한 하루를 맞이하게 된다. 믿을 수 없는 육체의 순간이동. 시간을 타고 미래와 과거를 오가는 이 SF적인 상황이 이들에게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는 그런 황당한 설정 속에 꽤 아기자기한 영화적인 맛을 느낄 수 있게 하는데..그 중 몇가지는 동호회의 소년과 소녀의 아기자기하면서도 풋풋한 사랑 이야기나. 망해서 쓰러져 가는 어느 시골 극장 아저씨의 열정, 그리고 학교에 기숙하는 똥개 한마리가 전해주는 정다운 풍경, 그리고 함께 목욕탕을 가서 놀면서 보내는 청춘의 일면(그리고 그 놈의 비달 사순 샴푸에 대한 집착까지..생긴 것과는 달리 어찌나 섬세하신지요..)들이 꽤 영화의 정겨움을 전해 준다. 제작된지 4년 정도 지나지 않았는데 에티타나 우에노 주리의 싱싱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다는 점 역시 이 영화의 아주 즐거운 일면이기도 하다. 이 두배우는 지금은 꽤 토프(Top)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한데오 이 영화 속의 모습이 어제처럼 정겹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잡다구리한 동호회실의 물건들을 이리저리 둘러보다 보면 어느 것 하나에 빠져서 지나쳐 오는 청춘에 대한 알 수 없는아스라함이 추억 이상의 즐거움으로 다가온다. 영화의 말미에 타임머신을 타고 온 미래의 동호회 후배는 현재의 어느 회원의 아들이고 그 어머니는 에이타가 좋아하던 우에노 주리였음을 언뜻 알려주는 감독의 센스는 아주 세밀한 부분에까지 작은 여운을 남겨준 즐거움이다.

영화의 배경이 어느 시골의 작은 학교이기에 그 풍경이 전해주는 사람들의 모습이 얼마나 정겹고 즐거운지 모른다. 단순하게 더운 여름날을 이기게 해줄 에어콘의 리모콘을 찾기 위해서만 동문서주하는 영화 속의 주인공들..만약 이게 현실이라면이라고 생각하고 바로 떠 오른 것이 그 주의 주말 로또 번호를 신문에서 보고 외워 와야지라고 생각한 이 얄팍한 아줌씨라니...아 내 삶이 굉장히 팍팍하다는 것을 거기서 느낄 수 있었다. 영화는 그런 현실적인 상상이 아니라 더운 여름날, 왜 이렇게 덥냐면서도 함께 있는 이들에게 짜증내지 않는 어느 동호회 회원들의 정다움에서.. 그리고 어떻게 하면 함께 시원해질까라는 목표 아래 시덥지 않은 머리 굴리기를 헤 대는 이 순박한 소년들의 풋풋함에... 미래와 과거를 오가면서도 SF 동호회 안에서 함께 움직이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서 영화 속의 캐릭터 들에게 매료 될 수 밖에 없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바보 스러워 보이지만 바보가 아니고 막 지멋대로 섞인 것 같지만 꽤 치밀하게 계산되어 있는 감독의 꼼꼼함도 즐거운 퍼즐 맞추기 처럼 흥미롭다. 원하는 걸 함께 찾은 영화 속의 주인공들이 부러운 건 영화 밖의 많은 곳에서 그런 모습을 본 지 너무 오래 되어서 그런 것 같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아주 순쉽간에 즐겁게 본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이모로 제작된 영화의 타이틀이라니..정말 다이모 좋아라 하는 일본인들의 일면을 바로 목격할 수 있었다.




by kinolife 2009. 2. 27. 06: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일본, 125분

감 독 : 나카에 이사무(中江功)
각 본 : 미즈하시 후미에(水橋文美江)
원 작 : 야마다 에이미(山田詠美)
 
출 연 : 야기라 유우야(柳楽優弥)
          사와지리 에리카(沢尻エリカ)
          나츠키 마리(夏木マリ)
          사에코(サエコ)  
          오오이즈미 요(大泉洋)
          키무라 료(木村了)
          하마다 가쿠(濱田岳)
          이와사 마유코(岩佐真悠子)

음 악 : 요시마타 료(吉俣良)

사랑은 언제나 지나가면 다시 다른 모습으로 나타 날태니..보다 지금의 이별에 의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라..그것이 이 실연의 아픔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 될테다..라고 말해주는 청춘에 대한 한 장면을 보여주는 듯한 인생 가이드 같은 영화. 그러다 보니 잔잔한 이미지만이 남아 있을 뿐 그다지 눈에 띄는 영화적인 요소나 감동적인 면이나 재미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영화의 분위기를 가장 많이 잡아주는 그랜드마가 가지고 있는 스산한 인생의 면모만이 영화속의 잃어버린 사랑에 대한 애잔함을 숨기듯이 전달해 주는 맛이 있을 뿐이다. 오랜 동안 말 못하고 사진으로만 간직해온 긴 사랑에 대한 숙연함을 재외하면 영화는 그냥 그저 그렇다.

영화는 간단하다. 고등학교 시절을 함께 보낸 3명의 친구. 그 중 하나는 한 여자를 만나 인생의 최고를 맛 보지만, 곧 또 다른 친구에게 애인을 빼앗겨 버리곤 정신줄을 놓아 버린다. 이미 새로운 친구를 찾아서 떠난 여자는 다시 잡을 수 없다는 충고를 해 주는 또 다른 친구는 대학 대신 자동차와 가까운 곳에서 일을 하기 위해서 주유소에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우연히 대학교 기숙가 근처에서 만난 여자 친구에게 점점 빠져 들게 되지만 그녀와의 시간은 그녀가 자신의 전 남자친구에게 버림받은 이후의 잠깐 동안의 외유에 불과했다. 친구에게 해준 충고를 스스로에게 해 주게 된 이 청춘은 사랑에 대한 씁쓸함을 곱씹으면서 성장해 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는 여기까지의 주된 줄거리를 바탕으로 꽤 감성적인 음악을 깔아서 청춘의 사랑에 대해 관객에게 어필한다. 예술 영화로 얼굴을 선보인 야기야 유우야와 꽤 이쁜 얼굴에 일본인들에게 꽤 인기 있는 스타인 사와지리 에리카의 조합은 꽤 씁쓸한 만남과 이별의 공식처럼 어울린다. 마치 남자가 너무 사랑해도 여자는 떠날 수 밖에 없는 설정을 그대로 공식화 해 놓은 것 같은 캐스팅이다. 꽤 이해할만한 조합엔 실제 우리 현실에는 이러한 유형의 커플들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투박하고 착하기만 한 남자와 꽤 야시시한 여자,,그리고 그녀의 꽤 잘나갈 게 뻔한 남자 사이의 힘의 관계란 너무나 뻔한 결론을 예정해 두기 때문이다. 이 영화 역시도 그 법칙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못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이 40이 다 되어 가는 나에게 있어 이 영화 속의 풋풋함이란 실로 영화 속의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꽤 잔잔하지만 쓰리듯이 아프지 않고 꽤나 말랑말랑한 내용들이 츠츠 스러운 것은 영화 현실을 오가는 사랑의 법칙을 이미 너무나 많은 케이스 별로 경험하고 또 보아왔기 떄문일지도 모르겠다. 이해할 수 없는 사랑이라고 하지만 그건 내가 직접 경험을 했을 때의 경우이고 조금씩 한발을 벗어나서 보면 꽤 평이한 결론을 내재한 경우가 많다. 이 영화 속의 커플들 역시 사랑에 관한 내가 알고 있는 절대 법칙 "더 많이 사랑한 사람이 더 많이 상처 받는다"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랑은 그렇게 강한척 하지만 나약한 면을 동시에 탑재하고 있다. 그래서 그것이 다시 무기가 되어 자기 스스로에게 다가와 비수를 꼽는다. 주로 상대방보다 더 많이 사랑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흔히 느끼는 이 절망감은 청춘을 이겨내는 또 다른 성장통인지도 모른다.

사랑은 그저 달콤하지만은 않단다 아헤야..그렇게 니가 어른이 되는 것이지. 그렇게 가슴 한쪽이 딱딱해지는 것이 바로 어른이란다. 여러가지 생각으로
조금 씁쓸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9. 2. 19. 06:21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일본, 158분
영어 제목 : Noriko's Dinner Table

감 독 : 소노 시온(園子温)
각 본 : 소노 시온(園子温)
 
출 연 : 미츠이시 켄(光石研)
          후키이시 카즈에(吹石一恵)
          츠구미(つぐみ)
          요시타카 유리코(吉高由里子)  
          후루야 우사마루(古屋兎丸)
          미츠야 요코(三津谷葉子)
          나미키 시로(並樹史朗)
          테즈카 토오루(手塚とおる)

음 악 : 하세가와 토모키(長谷川智樹)

영화를 다 보고 나서도 머리가 띵 하고 다 보고 한 참 후엔 그냥 분위기만 기억에 남는 소노 시온의 영화세계를 다시 한 번 맛 볼 수 있는 작품. 2시간 40분에 육박하는 런닝타임이 주는 압박감으로 계속 보기를 미루다가 결국 다 보긴 했지만 역시 조금 울컥 ..개운치 않다.

우울하면서 외로운 그러면서도 고지식한 자기만의 세계에 갖힌 영화 속의 주인공들의 개인사가 꽤 답답한 압박으로 다가온다.

동경의 대학에 가고싶은 노리코에게 아버지는 동경의 대학이란 처녀가 아이를 가지기에 딱 좋은 곳이라면 가로막고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열심히 살아도 좁은 도시의 답답함을 이겨낼 재간이 없다. 뭔가 성인의 여성이 가지고 있는 독립성이 부족하다고 느낀 노리코는 폐인닷컴을 통해서 자신의 일상의 공유해주던 쿠미코를 만나 동경에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버림받은 쿠미코의 꾸며진 인생 속으로 들어간 노리코. 답답한 소도시인 고향에서 벗어났지만 거짓인생이라는 새로운 상자 속으로 들어가는 노리코..

언니가 가출을 하고 난 이후  언니의 발자취를 따라 페인닷컴에 탐닉하는 유카, 역시 언니를 따라 페인닷컴의 우에노 54를 따라서 남의 인생을 대신 살아주는 또 다른 가식의 생활 속으로 빠져든다. 권위적이고 소통이 되지 않는 아빠와 엄마를 뒤로 하고 서로 따뜻하게 웃음을 나누고 살아가는 가족. 가식이라는 허울을 지고 있지만 그저 따뜻해 보이는 상상 속의 가족 안으로 들어가면서 노리코는 자신이 생각하는 꿈의 인간 미츠코가 되어간다. 리얼 라이프를 버리고 얻은 새로운 생활에 익숙해져 가는 노리코다. 어느새 그런 언니의 생활 안으로 함께 들어와 있는 유카. 노리코와 유카는 서로가 자매인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타인이 되어 한 곳에서 살아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 딸의 가출을 지켜본 아버지는 페인닷컴의 수장이라 해도 의심치 못할 폐인에 가까운 삶을 갈아가고 있다. 자신 스스로가 가부장적이라는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일상적으로 평범한 행복함을 누리고 있다고 생각한 아버지는 왜 딸들이 자신을 버렸는지를 고민 할 수록 공황 속으로 빠져든다. 아버지는 생업을 접고 두 딸아이를 찾아 나서고, 엄마는 두 딸아이의 자살이 자기 잘못이라고 비관하면서 자살하게 된다. 두 딸아이의 메모와 흔적을 찾다가 두 딸 아이가 렌탈 가족 일을 하고 있고, 쿠미코의 손아귀에서 놀아나고 있다는 것을 그리고 그 이면에는 자살을 위한 과도기적인 과정 안에 놓여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렌탈 가족의 고객으로 위장한 아빠는 두 딸아이가 스스로 자매인지도 모르고 자매 연기를 하는 모습에 기겁을 하고 함께 연기에 빠져있는 노리코, 유카, 쿠미모..아버지 까지 모두 정신줄 놓은 듯한 면모를 폭발하면서 영화는 핏빛 식탁의 진수를 보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솔직히 영화의 내용을 생각하는 내내 이게 무슨 영화인가..무엇을 말하고 싶은 건가 고민이 될 수 밖에 없는 하지만 고민을 하고 생각을 하면 할 수록 답답하고 깝깝해 지는 것이 영 기분이 꾸리꾸리해지는 영화...

하지만 예전에 본 소노 시온의 영화 <기묘한 서커스>처럼 자신만의 색깔을 확실하게 가지고 있는 소노 시온의 우울함은 정말이지 끌리느냐 밀어내느냐를 결정하는 것은 보는 이의 몫인 게 확실하다. 개인적으로는 한없이 밀어내고 싶은 텍스트인데..기회가 된다면 그의 영화는 다시는 찾아서 보고 싶지 않다. 핏빛 넘치는 식탁 안에서 느껴지는 따로 따로의 가족들..사진 속에서는 웃고 있지만 무언가 서로 소통 되거나 동감하지 못하는 가족들...자신의 미래와 아름다움과는 상관없이 목숨을 던지는 소녀들과 그들을 조종하고 독려하는 컴퓨터와 어른들..어디 하나 권할 만한 소재라는 건 찾기 힘든 영화를 통해서 무엇을 생각하고 소회해야 할지 영영 방황할 수 밖에 없다. 인생은 전쟁과 전투를 오가면서 치열하게 주어지는 것이 맞지만 그것에 대한 절대적인 승리를 쥘 수 있는 것이 죽음을 스스로 맞이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리고 그러한 판단조차 명확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그것을 독려하는 어른들이란 얼마나 기괴한가. 한 가족의 파괴를 통해서 일본의 우울한 미래를 되짚어 보는 것 같은 강한 인상을 전해주는 꽤 많이 찝찝해 지는 영화..왜 이 영화가 관객들이 좋다고 뽑았을까..아 난 정말 아이러니컬하다. 알 수 없는 그 관객들에 비켜 있는 나를 보면서 드는 생각이란..아 나도 나이가 들고 이른바 기성세개가 되어 가는 것이구나라고까지 생각하니 심하게 우울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9. 2. 12. 10:32
| 1 2 3 4 5 6 7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