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한국, 118분
감독: 장준환
출연: 신하균
       백윤식
       황정민
       이재용
       이주현
       기주봉


지구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지구의 사람들은 언제부터인가 벌써 맛이 가기 시작했다. 영화 <지구를 지켜라>는 이런 고통 속에 몸부림 치는 지구와 그 위에서 발을 디디고 선 인간들의 문제를 희화화해 한국적 SF적 상상력을 총동원한 코미디 형식의 문제성 영화다. 영화 속에서 외계인들의 눈으로 비쳐지는 지구는 환경오염으로 얼룩진 죽은 땅이며, 전쟁과 폭압으로 얼룩진 비평화의 공간이며, 자본의 지배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머니압박의 무중력 공간이다. 이런 불균등과 이기주의는 자기를 지키기는 커녕 스스로는 망가트리는 보이지 않는 압박이며, 그것을 인식하지 못한 이들에게는 더 없는 재앙이다. 역시 무지는 해결책이 없는 병이자, 죄다. 그래서 인간은 끊임없이 자신을 부수어야 한다. 더 배운이가 시작하고, 더 가진이가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런 자의식은 감독의 정신세계를 거쳐 영화 곳곳에 남아있는 주제의식이기도 하다. 감독 장준환은 이런 사회 의식을 황당하지만 신선미 넘치는 이야기로 풀어내며,결코 웃을 수 없는 지구 지킴이 병구와 순이를 통해 질문과 동시에 피해갈 수 없는 대답을 던져준다. 과연 이 영화 속의 질문과 감독의 대답을 피해 어떠한 개인적인 결론을 낼 수 있을까. 정말이지 병구마저 죽고 만 이 공간에서 살아남은 이는 지구를 지킬 수 없을까! 그렇게 미약한 인간들만이 남아 있는 것일까?

영화의 티져 포스터를 처음 본 것은 서울의 어느 극장 포스터 소개란이었다. 영화가 개봉되기도 6개월 전이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어디서 또 이런 이상한 어린이용 영화를 만들고 있나? 이 정도로 생각이 미쳤지만, 제작자가 차승재인걸 보고 어! 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영화가 개봉되고 참혹하게 관객에게 유린되고 결론을 말하지 않는 지인들을 통해 궁금증을 더해갔다. 몇 번의 휴일이 지나도 여유가 생기지 않던 이 영화로의 접근은 연이은 연휴를 통해서만이 가능했다. 그때는 이미 쑥스럽게도 한해를 넘긴 다음이었다. 어두운 조명 속에 가려진 감독의 메세지가 지루함을 전해주는 메세지로 머물수도 있었겠으나, 영화가 끝난뒤의 이상한 여운은 재미가 있다 없다가 아니라 대단하다!라는 말로 이어지니, 말 그대로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정치의식과 사회의식 가득한 블랙 코미디가 아닐 수 없었다. 지구는 안드로메다 왕자의 손아귀에서 놀아났지만, 그 외계인이나 지구인이나 별반 다를바 없었으며, 그들의 차이없음 사이에서 지구는 고스란이 숨통을 죄며 괴로워하고 있음이다. 역시 지구인이 지구를 지키는 것도 안드로메다 왕자가 지구를 지키는 것도 아닌, 정의와 순수함만이 지구를 지켜낼 수 있었겠지만 이 두 단어는 더 이상 지구에서 통용되지 않는다. 지구는 이미 죽어가고 있다.
영화는 진짜 외계인을 찾아서 죽이는 것으로 어머니로 대표되는 지구를 구하려는 병구와 그런 병구에게 납치당한 안드로메다 왕자 강사장의 사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외계 침투세력인 외계인은 지구인 중에서도 권력으로 대표되는 파워를 가져 지구인의 적이 아닌 병구에기만 국한되는 원한의 적으로 한정되면서 다각화된 의미를 가진 싸움으로 이미지화된다. 영화 종반부까지 과연 이 영화의 주인공이 미쳐버린 데다, 힘도 없고 멋있기는 커녕 엑스트라한테 빰이나 맞는 어설픈 주인공인가 의아해 하던 관객들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에 가까운 안드로메다 왕자의 또 다른 파워를 통해 힘빠지는 결론과 함께 주인공 병구를 영화 끝가지 지지하지 못한데 대한 무거운 숙제를 넘겨 받는다. 단순히 뒤집기가 일품이었던 결론 때문에 놀라운 것이 아니라 이 결론이 전해주는 다양한 주제의식이 이 영화를 놀랍게 하는 것이다.

어찌보면 지극히 단순해 보일수도 있는 짧은 이야기는 주인공들의 명연기와 상상력이 돋보이는 에피소드, 소품 등에 의해 전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무대를 선사해 준다. 신하균의 어벙하면서 진지한 연기와 온 몸을 던지는 백윤식,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아 버린 순이 역의 연극배우 황정민 연기 역시도 더 없는 보너스다. 물론 홍보와 마케팅 전략의 실패가 신인감독에게 끼친 우울증이야 어찌 별것 아니라 하겠으나, 이 작은 시작을 결코 간과하지 않은 관객들은 흥행성적 못지 않은 보답일 것이다. 한국영화의 미래는 관객 500만을 넘어서 1000만을 향해 달려간다는 싸구려 영웅주의 영화 <실미도>의 흥행성적 때문이 아니라 <지구를 지켜라>와 같이 버림받은 걸작들이 미약하나마 지구를 지키듯 한국영화를 지켜가기 떄문에 밝다.
by kinolife 2006. 9. 27. 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