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한국, 96분
감독: 윤제균
출연: 임창정
     하지원
     최성국
     유채영

<두사부일체>를 보면서 내내 찜찜함과 우울함을 금할 수 없었던 나는 그 이상한 정체불명의 영화로 흥행에 성공했던 그 감독의 두 번째 영화를 주변의 엄청난 이슈와 찬사 이후에 철 지난 외투를 벗지 못하는 이상한 찜짐함을 느끼며보았다. 아이디어가 넘치는 건지, 아니면 영화제작의 열정이 넘치는 건지 연이어 바로 다음 영화를 내 놓은 이 충무로 행운아 흥행감독의 두 번째 작품은 역시 첫번 째 보다는 진 일보. 나쁘진 않다.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즐거움은 코미디 영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적당히 희화화된 캐릭터들. 그리도 그 다음은 역시 조금은 모자란 듯한 그래서 혹시 나빠질 지 몰랐던 함정을 피해간 에피소드의 적절한 양이다. 영화 <색즉시공>은 미국의 <어메리칸 파이>나 독일의 <팬티 속의 개미> 류의 영화들과 비교해서도 전혀 빠지지 않을 섹스 코미디를 보면서, 우리도 이제 우리만의 섹스 코미디를 가진다는 기대감에 적당히 부응하는 여유를 보여준다. 어색하지도 과장되지도 않아 보이는 에피소드가 가지고 있는 이 영화의 힘은 역시 감독 스스로가 밝힌데로 에피소드의 대부분들이 주변, 혹은 자신의 경험담이었다는 사실성에 바탕을 둔 이야기들이기 때문일테다. 그래서 이 영화 속의 웃음은 실제 이런류의 이야기를 모르는 이들에겐 신선함으로, 실제 경험이 있던 이들에겐 경악스러운 유머로 다가왔을 터, 역시 정열 아니 정력이 넘치는 청춘은 그 때만의 정말이지 성(性)스러운 묘약과 웃음이 담겨져 있는가 보다.

'성적 괴담'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정자 요리법이나, 자위행위의 정열은 가히 남성들의 성적 치기를 본격적으로 보여준 장면들, 그런가 하면 영화 속의 여성들이 성에 대해 당당한 일면을 보여주는 부분은 놀라운 부분이기도 하다. 침대를 놓고 본다면, 여성 상위 형식의 체위도 그렇거니와 숫총각을 "머리가 뽀개지겠다"는 문장으로 자신의 침실로 끌어들이는 것이나, 혹은 섹스를 하지 않은 대신 손으로 봉사(?)를 하는 여성까지 기존의 영화 속 침실 위에서의 여성 캐릭터들과는 많은 차이가 있어 보인다. 바람난 남차 친구에게 "그만 놀고 네 자리로 돌아오라"고 말하는 당당함이나, "돈이 필요한 게 아니라며 연인의 머리에 크레디트 카드"를 날려버릴 수 있는 모습까지...현실적이면서도 톡톡튀는 여성 캐릭터들은 흔히 남성들만의 이야기로 치부될 수 있는 성 이야기의 성의 균등을 이뤄내는 캐릭터들이다.

물론 이런 캐릭터들의 살아있는 연기가 가능한 것은 에피소드들의 자연스러운 연결 때문이겠지만, 우리의 불쌍한 청춘 은식은 물론이거니와 조연들의 주인공 못지 않은 연기를 빼 놓고는 이 영화의 성공을 야기 할 수 없을 듯 싶다. 특히 은식 역을 맡았던 임창정은 적어도 자신있게 제 2의 연기과정의 발판 마련이라고 해도 무관할 정도의 연기를 보여준다. 역할상 순수하지만 고집스럽고, 어눌하지만 자기 의지가 있는 이 미련해 보이기까지 한 청년 은식은 여드름 투성이에 진지하려 해도 얼빵해 보이는 임창정의 얼굴이 있었기에 더욱 더 돋보이는 것이다. 거기다가 시트콤에서 발군을 실력을 발휘한 최성국, 가수에서 연기자로의 변신이라고 해도 무관할 유채영의 연기는 의외의 발견. 물론 전문 조연 연기자들의 연기를 말할 나위 없겠다.

영화 <색즉시공>을 보고 누군가는 연인들끼리 보기엔 좀 민망하다고도 했고, 또 누구는 꼭 연인들에게 권해주고, 혹은 주어야 할 영화라고 극찬하며 침을 튀키며 말하곤 했던 기억이 난다. 개봉 당시 극장가를 흥행의 폭풍으로 몰고, 코미디의 전성기라는 고뿔을 늦추지 않게 했던 이 영화 <색즉시공>의 힘은 역시 끼 넘치는 엽기적 상상력과 폭발하는 웃음의 힘이 뒷받침이 되어서였겠지만, 어리한 청년의 짝사랑과 그것의 표현이 없었다면 정말이지 색이 넘치는 공허한 영화로 남았을 지도 모르겠다. 말 그대로 '눈물의 차력'이 보여준 임창정의 차력쇼는 하지원의 상황과 눈물로 교차되면서 이 시대의 성과 이 시대를 비켜가는 사랑법에 대한 만감을 보여주며 보는 이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이 웃음과 눈물의 적절한 조화는 쉼 없이 허무한 웃음으로만 치달았던 전작 <두사부일체>와 이 영화를 구분짓게 하는 경계선 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래서 윤제균 감독의 이번 영화 <색즉시공>은 덜 부담스럽고 덜 싸구려 같다는 점에서 가볍게 볼 수 있다. 그래서 상업영화로서의 이 영화는 그렇게 나쁘지 않아 보인다.  

by kinolife 2006. 7. 14. 2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