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 2002년, 97분

감 독 : 해롤드 래미스(Harold Ramis)
각 본 : 피터 스테인펠드(Peter Steinfeld)
          해롤드 래미스(Harold Ramis)
          피터 톨란(Peter Tolan)
원 작 : 케네스 로너건(Kenneth Lonergan)
          피터 톨란(Peter Tolan)
촬 영 : 엘렌 쿠라스(Ellen Kuras)
 
출 연 : 로버트 드니로(Robert DeNiro)
          빌리 크리스탈(Billy Crystal)
          리사 쿠드로(Lisa Kudrow)
          조 비터렐리(Joe Viterelli)
          캐시 모리어티(Cathy Moriarty)
          조이 디아즈(Joey Diaz)
          제롬 르페이지(Jerome LePage)
          조셉 보노(Joseph Bono)
          브라이언 로갈스키(Brian Rogalski)
          토마스 로사레스 주니어
          (Thomas Rosales Jr.)
          패트릭 마컨(Patrick Marcune)    
          존 F. 구딩(John F. Gooding)    
          헨리 모랄레스-발렛(Henry Morales-Ballet)
                
음 악 : 데이빗 홈즈(David Holm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편에 이은 연기진들이 그대로 포진된 두번 째 정신과 의사와 마피와의 우정기...전편에 비해서 의사는 보다 더 깊숙히 환자가 겪고 있는 마피아의 세계로 들어간다. 1편이 이 둘의 만남 자체에 신선함을 전해 줬다면 이미 공인된 이들의 관계를 조금 더 코믹한 요소로 가미해서 보여 줄려고 한 부분이 많다.

피하려고 해도 피할 수 없는 우리 소블 박사는 마피아와의 이 껄끄러운 만남을 피해 갈만한 특별한 묘안이 없고 잊어버릴만 하면 어렴없이 그나 그의 부하가 자신의 일상 속으로 불쑥 들어 온다.

결혼해서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영위하고 싶지만, 감옥에서 견디다 못한 비티는 가식적인 연기를 통해서 정신병자로 둥갑해서 자신의 집에서 보호 감찰을 받게 된다. 원하지 않는 마피아와의 동거 생활을 둘 째 치더라도 FBI의 상습적인 협박 역시도 정신적으로 엄청난 압박을 가하는 사실. 부인의 잔소리와 경계는 이야기 할 바도 없고..수시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는 비티와 그에 대해서 사사건건 의견을 다는 주변인들의 의견을 받아들이기도 쉽지 않다. 비티의 정신을 위한 치료가 아니라 자신이 정신과 치료를 받고 싶을 정도로 일상 생활이 흔들리는 고통을 겪는 소블 박사...문제는 이 정신적인 고통이 결국엔 자신의 목숨까지 위협하는 사태를 불러 온다. 마피아의 세계에 깊숙히 노출되면서 준 마피아로서의 생활을 하게 된 것. 당혹 스럽구나..소블 박사...

정신과 의사의 마피아 체험기.. 정도로 표현 될 수 있는 <애널라이즈> 시리즈 두번 째 본편은 1편의 심화 학습 정도로 ..보다 정교해 지고..자잔한 재미도 더 많이 첨가 시킨 작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피아들의 일상적인 삶의 방식이나 표현법이 더욱 더 자세히 그려지고 일반인과의 생활이 어떻게 문제시 되어서 표현되는지도 잘 보이며, 그들의 심리 상태나 습성들이 더 잘 그려져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궂이 1편 보다 더 잘 만들었다고 말하기 어려운 건 1편에서 준 신선함이 그 만큼 부족해서 인지 이미 익숙해진 상황에 대해 편하게 받아 들이기 때문인지 정확인 이유는 잘 모르겠다. 더 웃기고 더 재밌게 봤지만, 궂이 더 뛰어난 것 같지 않은 느낌..두 편다 볼 만하다는 건지도 모르겠다. 시간이 난다면 1편과 2편을 꼭 함께 봐 볼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드는 영화다.


큰 욕심 없이 영화에 출연하는 배우들의 코미디 연기를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거운 영화임에는 틀림이 없고, 헐리우드 영화 속에 숨겨진 코믹한 캐릭터가 곳곳에 숨어 있어서 그 맛을 즐기는 기쁨도 작지 않다. 소블박사가 마피아의 회의에서 보여주는 즉흥 연기는 빌리 크리스탈 만의 매력이 폭발하는 장면이다. 해롤드 라미스의 이런 비범해 보이지만 별것 없을 수 있는 평범한 코미디가 개인적으로는 너무 좋다. 즐거운 킬링 타임용 영화.. 큰 기대 보다는 소소한 즐거움을 주는 영화라서 부담없음에 대한 만큼의 즐거움을 충분히 즐겨 볼 만 한 작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9. 15: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9년, 미국, 90분

감 독 : 로드먼 플렌더(Rodman Flender)
각 본 : 론 밀바버(Ron Milbauer)

촬영 : 크리스토퍼 벨파(Christopher Baffa)

출 연 : 데본 사와(Devon Sawa)   
          세스 그린(Seth Green)   
          엘든 헨슨(Elden Henson)   
          제시카 알바(Jessica Alba)   
          스티브 반 워머(Steve Van Wormer)
          프레드 윌러드(Fred Willard)   

음 악 : 그레엄 레벨(Graeme Revell)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게으름이 가장 큰 죄..그 어떤 유명한 철학가들이 했을 법한 이 철학적 의미를 호러식 코미디로 버무려 낸 독특한 B급 영화. 우연히 늘어져 자고 일어난 주인공은 집 안의 정막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의 게으른 일상을 이어간다. 늦잠을 자고 대마쵸를 피고 친구들과 어울리며 그저 그런 시간 죽이기 인생을 계속 한다. 시간이 흘러서 엄마와 아빠가 집에 안 계신걸 알게 되고..집 안 곳곳에 묻어 있는 살인의 흔적에 놀라게 된다. 집으로 놀러온 친구들과 대화를 하던 중 엄마 아빠를 죽인 살인마가 자신..더 정확히는 자신의 "손"임을 알고 소스라치게 놀란다. 그 사실을 알았을 때는 이미 두 친구들을 역시 귀신으로 만들고 나 다음이다. 아루 하침에 이게 무슨 일인가 해도 현실은 변함이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손을 쉼 없이 움직여 보면 이 황당한 일을 멈출 수 있을까 하여 노력해 보지만, 그다지 큰 효과는 없어 보인다. 옆집에 사는 여자 친구에게도 이 사실을 어떻게 알릴지도 고민이 막심이다. 참다 못한 주인공이 선택한 방법은 악령에 씌인 자신의 손을 잘라 내는 것. 하지만 이 잘린 손에 붙은 악령은 자신의 팔에 붙어 있을 때와 큰 차이 없이 활개를 치며 사람들을 위협한다. 내 안에 있던 존재가 내 밖으로 나가 세상을 휘젓고 다니는 것이다. 할로윈 데이를 맞아 가면파티에 가지만, 파티피플에다가 여자 친구까지 위협해 오고...영화의 근간이 되는 게으른 손에 대한 처단 치고는 인생이 너무 한꺼번에 변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맞게 된다.

일종의 퇴마사로 볼 수 있는 아줌마의 도움으로 자신의 악령의 근간이 된 손은 처단되지만, 주인공은 손 잃은 청년으로 다시 새로운 일생을 살아갈 수 밖에 없게 된다. 게으름을 함게 나두던 친한 두 친구와 부모님을 잃은 잔인한 이 현실이 악령을 벗고는 되살아나길 바랬지만, 영화는 조금 가혹할 정도의 현실을 주인공에게 남기게 된다. 게으름에 대한 잔인한 처단을 부담없는 슬래셔 무비무 버무려 낸 독특한 이 영화 속에서 아직 상큼한 소녀의 모습을 지닌 제시카 알바를 만난 건 어쩌면 영화 속에 숨어 있는 보너스 인지도 모르겠다. 아주 빠른 전개 덕분에 짧은 런닝 타임 역시..또 다른 보너스.. 게으름을 가득 지닌 어느 오후 흐느적거리면서 보기엔 아주 좋은 전형적인 킬링 타임용 영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5. 06:15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0년, 미국, 103분

감독 : 허버트 로스(Herbert Ross)
각본 : 짐 캐쉬(Jim Cash)
         잭 엡스 주니어(Jack Epps Jr.)
         A.J. 카로더스(A.J. Carothers)

출연 : 마이클 J. 폭스(Michael J. Fox)
         헬렌 슬레이터(Helen Slater)  
         리차드 조던(Richard Jordan)  
         마가렛 휘튼(Margaret Whitton)  
         프레드 그윈(Fred Gwynne)  
         크리스토퍼 머네이
          (Christopher Murney)  
         존 팬코우(John Pankow)  
         게리 바만(Gerry Bamman)  
         엘리자베스 프란즈(Elizabeth Franz)  
         드류 스나이더(Drew Snyder)  
         크리스토퍼 듀랑(Christopher Durang) 

촬영 : 카를로 디 팔마(Carlo Di Palma)
음악 : 데이비드 포스터(David Foster)

정확하게 몇년 만에 다시 보는 건지... 한 10녀년만에 다시 보는 영화 인 듯 하다. 고등학교 때 봤으니까 그나마도 이 영화에 대한 아스라한 추억 정도만 있었던 것 같다. 여자를 꼬서셔 마이클 J 폭스가 자신의 능력을 다시 보이는 기회를 얻는 영화였지 이 정도가 기억이 났는데...영화를 다시 자세히 들여다 보니, 뉴욕의 금융가라고 일컫는 건물 안의 비인간적이 면모들이 더 눈에 들어왔다. 지금 내가 겪고 있는 현실과 어찌나 그렇게 잘 맞는지 모르겠지만 한 젊은 농촌의 총각이 도시에서 성공하는 과정을 코믹하게 잘 그려낸 추억의 영화 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이 대학에서 배운 걸 선보이기에는 이 뉴욕이라는 도시는 시간이 너무 걸리는 곳..혹은 꿈만 지닌 상태에서 여전히 늙어버릴 것 같은 속도의 도시. 사장님이자 삼촌, 사모님이자 숙모님이 뉴욕의 아주 큰 회사를 가지고 있지만, 가능하면 혼자 힘으로 먼가를 이루어 내고 싶다. 그래야만 사실 이 영화의 큰 의미가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그의 신화적인 성공은 영화의 필수적인 조연이다. 이렇게 큰 조직일수록 비리가 많고 또 그 만큼  구멍 난 곳이 많이 있음을 찾아보는 것 또한 영화가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코미디적인 요소 인지도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부터 왕복 티켓을 끝어서 가면 어떻겠니"라는 초로의 부모님을 떠나서 홀로 낯선 뉴욕에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쥐까 찍찍 거리고 옆 방의 강력한 섹스 분위기를 이겨낼 수 없을 정도의 낡은 집에서의 생활이지만, 폭스는 나쁘지 않다. 아직 젊으니까..그리고 자신의 미래에 대한 확신을 어차피 믿을 수 밖에 없는 존재니까.. 말 그래도 튼튼한 몸이 최고의 재산이 자본주의 평범한 산업 역군이니까 말이다.옆 방의 신음 소리에 맞추어서 지휘자 흉내는 내는 모습은 이 영화의 백미 중 하나다.

삼촌을 통해서 배정받은 일은 건물 안의 큰 사무실 곳곳에 우편물을 배달하는 사내 집배원..곳곳에 우편을 나르면서 미래 자신의 자리가 어디일까 꿈꾸는 게 유일한 낙이다. 그러던 그가 우연히 빈 공간의 중역 자리에서 받는 전화 한 통을 통해서 같은 건물 안에서 우편 배달부와 중역의 이중생활이 시작이 된다. 자신이 중역만큼이나 능력이 있다고 스스로 믿는 데서 시작된 이 황당한 거짓말은 실제 회사가 M & A의 위기에서 기치를 발휘하게 되고, 인수 합병이라는 자본주의의 경제 논리를 스스로 뒤집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면서 사랑하는 여자와의 사랑도 이루고 자신이 생각하는 성공도 단숨에 이루게 된다. 문제는 그 성공의 근저에 숙모님과의 끈끈한 만남이 기초가 되었다는 부분은 이 영화가 코미디임을 확실히 보여주는 증거가 아닐까 혼자 생각해 보고 만다. 어차피 폭스는 영화 안에서 성공할 수 밖에 없고. 이미 그 성공의 비밀은 비밀이 아닌 것이다. 20년이 지난 낡은 필름 안에서 단순한 구성에도 좋다고 즐겨 보았던 즐거운 헐리우드 키드의 시절만이 아스라히 떠 오른다. 추억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보긴 힘들지만, 개인 적으로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스크린 안의 건강한 마이클 J 폭스의 모습 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0. 30. 13:32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 1999년, 103분 
   
감 독 : 해롤드 래미스(Harold Ramis)

각 본 : 피터 톨란(Peter Tolan)
          해롤드 래미스(Harold Ramis)
          켄 로네건 Ken Lonergan)
 
주 연 : 로버트 드니로(Robert DeNiro)
          빌리 크리스탈(Billy Crystal)
          리사 쿠드로(Lisa Kudrow)
          조 비터렐리(Joe Viterelli)
          빌 머시(Bill Macy)
          레오 로시(Leo Rossi)
          채즈 팰민테리(Chazz Palminteri)
          카일 사비히(Kyle Sabihy)
          레베카 슐(Rebecca Schull)
          몰리 샤논(Molly Shannon) 
          맥스 카셀라(Max Casella)
          팻 쿠퍼(Pat Cooper) 
          리차드 C. 카스텔라노
          (Richard C. Castellano)
          지미 레이 윅스(Jimmie Ray Weeks)
          엘리자베스 브라코(Elizabeth Bracco)
          토니 대로우(Tony Darrow)
                   
 음 악 : 하워드 쇼어(Howard Shor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약간은 소심하면서도 신경질 적이지만, 따스한 정신과 의사 소벨...우연히 자동차 사고 덕택에 현존하는 최고 마피아 보스 폴 비티의 정신 감정을 맡게 된다. 표면적인 건 정신 감정이지만, 사실은 소심하고 심약한 정신 상태에 허덕이는 폴 비티에게 정신을 차려! 라고 말할 정도의 가벼운 카운셀러 정도 인지도 모르겠다. 물론 정신과 의사로서의 심오하게 파고 들어 정신병이라고 규정하고 약을 처방하는 것도 좋겠지만, 그 보단 검은 갱단 아래에서 아버지의 죽음을 보고 , 또 그 때문에 정식적으로 고통스러워 하는 그에게 어쩌면 포근한 이해의 공간이 필요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모든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고통을 마피아 라고 하는 특수적인 상황으로 몰아서 표현한 조금은 독특한 재미를 선사하는 영화이다.

해롤드 래미스의 단련된 연출력과 탄탄한 조연들의 연기...거기에 우뚝 써 있는 빌리 크리스탈과 로버트 드 니로의 연기는 이들이 아니면 그저 그런 영화가 됐을 작품을 독특하고 아이디어와 기치가 돋보이는 고급스러운 코미디로 만들어 냈다. 마피아라는 상황 설정에 맞는 몇몇 에피소드들은 실소를 금치 못하고 크게 웃게 되는데...문화의 차이라는 건 일생에 있어서 얼마나 큰 것이며 개인에게 있어서 생존의 공간이란 역시 얼마나 큰 의미를 지니는 것인지 다시 느끼게 된다.

배우들의 연기를 돋보이게 하는 건 역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탄탄한 시나리오.. 특히 볼 비티의 심약성이 최대로 드러나는 마피아 그룹 회의에서의 빌리 크리스탈의 연기는 애드립이라고 보기엔 너무 정교하고 그렇지 않다고 보기에는 너무 생생한 모습들이 극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 마치 시나리오에 없는 영화 속이 상황처럼 진짜 시나리오에 없는 것 처럼 보이는 것...영화 속의 이런 묘미들은 무척이나 흥미롭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의 결혼식까지 마피아의 심리 상태에 의해 조절되어야 하는 평범한 시민의 고충을 코믹한 시선으로 볼 수 있는 건 영화가 주는 정교한 장치 덕분이다. 주인공 중 누군가가 절대 죽지 않을 안정적인 줄거리 구조...코미디라는 틀 안에서 마피아의 세계를 엿보며 즐길 수 있는 점 등은 이 영화의 소재가 주는 즐거움이다. 그들의 일상 속에 있는 스트레스와 한계를 즐겁게 즐기면 되는 것이다.

마피아들이 즐겨 입는 명품 옷이나 고급스러운 시계들은...일반적인 사람들에게 느껴지는 또 다른 괴리감 일 테고..."비티 제발 선물을 좀 그만 보내요..."라고 외치는 소블 박사의 대사에는 빨리 이 비 정상적인 관계에서 벗어나고 싶은 평이한 일반인의 감정이 아주 잘 들어난다. 다른 세계의 사람들이 만나 다른 감정을 갖고 나누게  되고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는(받아들일 수 밖에 엇으니까) 인생의 법칙은 우연의 사슬도 운명의 필적도 아닌 그저 그런 삶의 되돌이판이 아닐까 싶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영화 속의 닥터 소블 박사에게 가장 잘 어울릴만한 인생의 법칙이 아닐까 싶다. 빌리 크리스탈, 로버트 드 리노, 리사 쿠드로...충분히 즐거운 이름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블...역시 귀여워...."


by kinolife 2007. 10. 25. 10:45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한국, 113분
영어 제목 : Family Ties

출연 : 문소리
         고두심
         엄태웅
         공효진
         김혜옥
         봉태규
         정유미
         주진모
         류승범
         정흥채    

감 독 : 김태용
각 본 : 성기영
          김태용
    
촬 영 : 조용규
음 악 : 조성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대 사회가 발달하면서 가족의 의미는 혈연적인 관계보다 보다 경제적인 관계로 변질되어 간다. 부모 자식간에도 돈 앞에선 그 힘을 잃고 사랑으로 맺어진 새로운 가족도 돈이 없으면 지탱되기 힘이 든다. 그런 가족의 해체는 다른 의미로는 다른 모양새의 가족을 새롭게 만들어 내기도 한다. 현대사회가 갈라놓은 가족의 형태를 또 다른 형태의 한 모습으로 재 창조 하고 있는 현대의 우리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상큼발랄한 영화가 바로 이 영화가 아닐까 한다,

우연히 집 나갔다가 돌아온 동생은 자신보다 훨씬 나이가 많아 보이는 큰 누님 뻘 되는 아줌마를 자신의 부인이라며 소개하면서 이상한 동거를 시작하게 된다. 아무 하는 일 없이 빈둥 거리는 동생과 그에 비해서 성숙했으나 묘한 이미지를 풍기는 새 언니와의 동거가 연신 불편하기 그지 없는 안 주인은 얼마 지나지 않아 남동생이 데려온 여자의 전 남편과의 아이까지 함께 더 맡게 된다. 전혀 계획없던 인생에 정말 예상하지 못했던 미래들이 현재가 되어 다가오는 순간이다.

이에 반해 또 다른 한 가정... 엄마는 가정이 버젓이 있는 남자와 혼외 연애를 하고 그 사이에 남동생까지 둔다. 자신의 가정을 버리지 못하는 남자와 그 현실에 전혀 불만 없이 자신의 생을 살아가는 엄마를 보는 딸은 답답하기만 하다. 마치 엄마의 운명처럼 자기 자신도 남자들에게 이용만 당할 것 같은 생각까지 들면서 현재의 자기 생활을 벗어나고자 노력하지만, 결국은 현실화 시키지 못한다. 병에 걸려서 죽으면서도 자신의 삶에 대해서 불평을..자신의 위치를 사랑으로 극복해 주지 못하는 남자에 대한 불만도 없이 그걸 이해 해 주지 못하는 딸에 대한 원망도 없이 자신의 삶 그대로를 살다 간 엄마가 남긴 자신의 히스토리를 보면서 딸은 그저 엄마니까 울음을 삼키면서 그리워 할 수도 없다. 이젠 배 다른 동생과의 보다 성숙한 일생..자신의 엄마와 별반 다를 것 없는 인생을 살아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는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두 가정에서 큰 사내 아이와 어린 꼬마 아이의 성장 이후 만남을 역 플래쉬로 보여주면서 전개 된다. 조금은 비정상적인 가정에서 자란 두 명의 소년과 소녀가 이른바 정상적인 가정을 이루어 가는 과정을 그려낸다고나 할까...예전의 가정이 피를 나눈 부모 형제와 함께 하는 삶이라면 영화 속의 가족은 함께 밥 먹고 함께 자면서 정으로 묶여져서 사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혈연보다 더 끈끈한 어떤 것들에 연연하는 현대인들의 일면을 느낄 수 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에 있어서 가족이라는 단어 속의 친밀감과 그 안에서 벌어지는 불편한 상황..그것과는 전혀 상관없이 자신의 의지대로 만들어진 또 다른 가족에 대한 제시를 통해서 함께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의문을 던져 주는 영화다.

영화에 출연한 고두심의 신선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연기..문소리, 봉태큐 등의 군더더기 없는 연기는 영화에 안정성을 더 한다. 신인 감독의 신선한 생각이 발랄한 표현으로 잘 버무려진 영화다. 큰 욕심도 그렇다고 거대한 메세지도 없지만..적잖이 관객들에게 생각과 즐거움을 전해주는 영화..오늘의 우리 가정...형제, 부모...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한 삶의 동지들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 번 해 볼만하다는 생각을 갖게 하는 영화다. 너무 자주 봐서 지겹고, 서로를 너무 잘 알아서 무섭고, 항상 옆에 있어서 귀찮지만..없다면 걱정되고 아프다면 신경 쓰이고 짜증 내면 같이 짜증이 나는 나의 가족들에게 말 그대로 "브 라 보"를 외쳐 봄직하지 않은가 이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0. 16. 08:31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1년, 미국 , 115분

감독 : 게리 마샬(Garry Marshall)
각본 : 지나 웬콕스(Gina Wendkos)
원작 : 멕 카봇(Meg Cabot)

촬영 : 칼 월터 린덴로브(Karl Walter Lindenlaub)
음악 : 존 데브니(John Debney)
         던 솔러(Dawn Soler)
 
출연 : 앤 해서웨이(Anne Hathaway)
         헤더 마타라조(Heather Matarazzo)
         헥터 엘리존도(Hector Elizondo)
         맨디 무어(Mandy Moore)
         캐럴라인 구덜(Caroline Goodall)
         로버트 슈왈츠먼(Robert Schwartzman)
         에릭 본 데튼(Erik Von Detten)
         줄리 앤드류스(Julie Andrews)
         신 오브라이언(Sean O'Bryan)
         산드라 오(Sandra Oh)
         캐슬린 마셜(Kathleen Marshall)  
         패트릭 플러거(Patrick Flueger)
         킴리 스미스(Kimleigh Smith)  
         베스 앤 게리슨(Beth Anne Garrison)  
         르노어 토마스(Lenore Thomas)  
         토드 로우(Todd Lowe)  
         조엘 맥크러리(Joel McCrary)  
         클레어 세라(Clare Sera)  
         그레그 루이스(Greg Lewis)  
         제프 미챌스키(Jeff Michalski)  
         제인 모리스(Jane Morris)  
         게리 콤스(Gary Combs)  
         아담 윌리암스(Adam Williams)  
         알란 켄트(Allan Kent)  
         로버트 글라우디니(Robert Glaudini)  
         빌 페렐(Bill Ferrell)  
         트레이시 레이너(Tracy Reiner)  
         홉 알렉산더-윌리스(Hope Alexander-Willis)  
         패트릭 리치우드(Patrick Richwood)  
         에단 샌들러(Ethan Sandler)  
         산드라 테일러(Sandra Taylor)  
         톰 하이네스(Tom Hines)  
         니콜 톰(Nicholle Tom)  
         샤논 윌콕스(Shannon Wilcox)  
         테리 시그리스트(Terri Sigrist)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게리 마샬이 그려내는 21세기 판 신데렐라 이야기..20세기에 만든 같은 류의 영화 <귀여운 여인>에 비하면 더더욱 진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영화다.  두 편 모두 진부함에 관해 논하자면 궂이 형, 아우를 따질 수 없이 비슷하지만 20세기에 만들어진 영화 <귀여운 여인> 내의 신데렐라는 자신의 능력(?)으로 자신의 지위를 높인다는 것, 21세기에 만들어진 <프린세스 다이어리> 안의 캐릭터는 아버지에 의해 이미 신데렐라로 태어난 점을 그저 받아 들인다는 점 정도 일 것이다.

게리 마샬 사단의 조연 배우들과 함께 보여지는 이 별 것 없는 소녀용 영화는 미국의 어느 평범한 소녀의 일상이 유럽의 어느 작은 나라의 공주로 신세가 바뀌는 과정을 보여주는 지극히 언급할 내용 없이 평이한 헐리우드 영화다. 특별한 구성이나 신선한 이슈 없이 헐리우드의 전형적인 표본 같은 영화.. 코미디적인 감각도 그닥 눈에 띄는 면은 없고 그저 어린 소녀의 운명의 변화를 담담하게 보여줄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의 평범한 고교 생활에 대한 짧은 소개와 소녀라고 하기엔 이미 너무 성숙해 보이는 미국의 청소년들이 주는 문화적인 현상이 이미 다 알고 있는 전혀 신선할 것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만다. 이른바 미운 오리 새끼가 알고 보니 백조였다는 옛 동화의 전설같은 이야기를 현대판으로 너무나 변화 없이 옮겨 놓았기에 뻔한 결말을 이미 앉고서 그저 그런 에피소드만으로 만족하면서 봐야 하는 것이다. 영화는 별 것 없지만, 주인공인 앤 헤서웨이의 풋풋한 매력과 줄리 앤드류스의 기품 있는 모습들이 영화의 균형을 맞추면서 적잖은 즐거움을 주는 것이 이 영화가 가진 매력의 전부가 아닐까 싶다. 게리 마샬의 이런 비슷한 장르의 영화 중에서 가장 빠지는 작품으로 기억되는 이 영화가 흥행에 성공, 후속편이 만들어 졌다는 사실이 적잖이 의아하기도 하다. 미국의 시리즈물의 난점이 또 어떻게 드러나는지 시간이 난다면 후속편을 봐야 겠다는 생각만이 스쳐 든다. 물론 절대적인 킬링 타임을 활용해서 말이다.

게리 마샬의 휴면 코미디 속에 녹아 있는 특유의 부드러운 인간미와 소소한 즐거움이 많이 빠져 버려 싱거운 영화 소금 간이 적게 되어 몸에 좋은 음식을 먹었느나, 전혀 몸에 이로울 것이 없는 음식이었던 것 같은 시원찮은 찝찝함이 느껴지는 영화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9. 22. 12:41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미국, 95분

감독 : 우디 알렌(Woody Allen)
각본 : 우디 알렌(Woody Allen)
촬영 : 레미 아데파라신(Remi Adefarasin)

출연 : 휴 잭맨(Hugh Jackman)
         스칼렛 요한슨(Scarlett Johansson)  
         우디 알렌(Woody Allen)  
         이안 맥쉐인(Ian McShane)  
         페넬라 울가(Fenella Woolgar)
         케빈 맥낼리(Kevin McNally)
         로몰라 가레이(Romola Garai)
         제프 벨(Geoff Bell)  
         크리스토퍼 풀포드(Christopher Fulford)  
         나이젤 린제이(Nigel Lindsay)  
         도린 맨틀(Doreen Mantle)  
         데이비드 슈나이더(David Schneider)  
         미라 사이얼(Meera Syal)  
         로빈 커(Robyn Kerr)  
         리차드 스터링(Richard Stirling)  
         짐 던크(Jim Dunk)  
         캐롤린 블랙하우스(Carolyn Backhouse)  
         샘 프렌드(Sam Friend)  
         마크 헵(Mark Heap)  
         수지 키워(Suzy Kewer)  
         조디 핼시(Jody Halse)  
         맷 데이(Matt Day)  
         엘리자베스 베링톤(Elizabeth Berrington)  
         루퍼트 프라저(Rupert Frazer)  
         줄리안 글로버(Julian Glover)  
         존 스탠딩(John Standing)  
         존 라이트(John Light)  
         캐럴라인 블래키스톤(Caroline Blakiston)  
         리차드 존슨(Richard Johnson)  
         모야 브래디(Moya Brady)  
         찰스 댄스(Charles Dance)  
         빅토리아 해밀턴(Victoria Hamilton)  
         멕 윈 오웬(Meg Wynn Owen)  
         알렉산더 암스트롱(Alexander Armstrong)  
         안소니 헤드(Anthony Head)  
         줄리아 디킨(Julia Deakin)  
         마가렛 타이잭(Margaret Tyzack)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디 알렌의 노익장에 스칼렛 요한슨의 상큼함..그리고 휴 잭먼의 은근한 느끼함이 어우러진 코믹 희극...우디 알렌의 살아 있는 익살과 수다를 즐겁게 즐길 수 있는 영화다.

우연히 마술 시범을 보이는 관객으로 출연하게 된 요한슨이 공중 이동하는 마술 중에 생전에 최고의 특종 기자였던 남자에게서 현재 영국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타로살인의 범인이 영국의 유명한 가문의 남자가 범인이라는 특종 기사 거리를 던지고 살아진다, 이 우연한 사건 때문에 신경이 쓰인 요한슨은 그 당시 마술을 했던 마술가 우디에게 이야기를 하고 우디dhk 함께 당대 최고의 특종(Scoop)을 찾아 나선다.

아버지와 딸로 가장하고 그의 뒤를 쫒아 우연히 특종의 희생자 잭먼의 눈에 띈 요한슨은 그와의 만남을 통해서  그가 진정 시대의 화두로 떠 오르고 있는 희대의 살인 사건의 배후자 인지 캐기 시작한다. 죽었지만 전설적인 기자가 흘리는 특종의 실마리를 찾아 신예 기자 후보화 호기심 가득한 마술사는 과감히 영국의 상류층에 뛰어 든 것이다. 취재를 진행하는 요한슨은 그렇게 잰틀한 잭먼이 실제 살인사건의 주인공이라고 믿을 수가 없으며, 점점 더 자신에게 사랑 손길을 보내는 잭먼의 관심을 애써 피하기가 힘들다. 시간이 흐를수록 그가 살인자가 아닐 거라는 자신의 믿음과 싸워야 하는 요한슨과 달리 죽은 특종기자와의 만남과 새롭게 등장하는 단서들로 인해 더욱더 확신을 가지는 우디..이들 둘은 각자 같은 주제를 가지고 시작해서 추측과 토론, 오해와 이견 들로 인해 서로가 다른 생각을 하고 다른 결론을 내리고 각자 행동에 들어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의 막바지, 요한슨은 절대적으로 매력적인 이 잭먼에게 빠져들어 살인사건의 용의자라는 사실을 잃어버리고, 그 와의 밀회를 즐기고 이와는 반대로 보다 명확해진 증거들로 인해 확신에 차서 요한슨을 구하기 위해 달려가는 우디..
우디가 자신의 살인 사실을 알고 찾아온다는 사실을 알게 된 잭먼은 요한슨에게 그런 사실을 알리고 그녀를 살해하려고 한다. 하지만 죽은 줄 알았던 요한슨은 잭먼이 부른 경찰에게 당당하게 자신이 살았다고 말하고.죽음의 위기에 처한 요한슨을 구하기 위해 달려오던 우디는 영국식 운전 부주의로 인해 세상을 뜬다.(이 부분이 진정 우디 알렌적인 유머고 고스란히 담긴 명장면이다.)

우리 알렌 특유의 유머와 수다스러움을 즐길 수 있는 깔끔한 영화로 짧은 런닝 타임안에 우디 알렌 특유의 즐거움을 군더더기 없이 담아 냈다. 별 내용이 없어 보이지만...치밀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별히 내 세울 게 없어 보이지만 알렌식 유머와 쉴틈 없이 보여지는 우디 알렌 스타일의 코미디 공식들이 쉼없이 터져 나온다,. 지극히 지적이면서 새로운 대사와 각이 딱딱 맞는 극의 전개 등은 우디 알렌의 노익자에 그저 감탄을 금치 못하게 한다. 헐리우드의 젊은 배우들과 스스로의 오마주를 즐기는 이 낙천적이면서 천재적인 코미디 감독은 살아 있는 동안 쉼없이 이야기 하듯이 별 무리 없이 이런 수작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진정한 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저절로 들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큰 고민 없이 술술 넘어가는 술을 마신 듯 쉽게 보여지지만, 다름날 전혀 머리가 아프지 않은 개운한 영화처럼 산뜻함이 베어 있는 이 영화는 살인과 힌트, 죽음과 삶, 거짓말과 믿음, 노련함과 열정과 같은 상반되지만 의미 있는 단어의 조합들을 수도 없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믜미들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너무 오래간만에 우디 알렌의 쏟아지는 농담포와 대사를 듣고 아 여전하구나 기꺼히 웃을 수 밖에 없는 특별한 행복감을 안겨다 주는 작품. 요한슨도 잭먼도 우디 알렌을 위한 조연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 작품..그의 건재함 그 자체에 행복감을 느낀다.
by kinolife 2007. 9. 9. 02:52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6년, 미국, 116분

감독 : 게리 마샬(Garry Marshall)
각본 : 조산느 맥기본(Josann McGibbon  )  
         사라 패리엇(Sara Parriott)
촬영 : 스튜어트 드라이버그
          (Stuart Dryburgh)

출연 : 줄리아 로버츠(Julia Roberts)
         리차드 기어(Richard Gere)
         조안 쿠삭(Joan Cusack)
         헥터 엘리존도(Hector Elizondo)
         리타 윌슨(Rita Wilson)
         폴 둘리(Paul Dooley)
         크리스토퍼 멜로니
         (Christopher Meloni)
         다널 로귀(Donal Logue)
         렉 로저스(Reg Rogers)
         이얼 바즈퀫즈(Yul Vazquez)
         제인 모리스(Jane Morris)
         리사 로버츠 길랜
         (Lisa Roberts Gillan)
         캐슬린 마셜(Kathleen Marshall)
         진 스커틀러(Jean Schertler)
         톰 메이슨(Tom Mason)

음악 : 제임스 뉴튼 하워드
         (James Newton Howard)



결혼식날 까지는 잘 참는 것이겠지..하지만, 곧 그 두려움에서벗어나지 못하는 것일지도..결혼식날 도망가 버리는 신부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게리 마샬 & 줄리아 로버츠 & 리처드 기어의 합작품...<귀여운 여인> 팀이 만들어 내는 꿈의 재기작은 <귀여운 여인> 보다는 흥행에서는 실패 했겠지만, 영화 곳곳에 성숙한 면모를 담고 있어서 좋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그마한 시골 마을의 매기는 우연히 특종을 쫒는 기자에 의해 자신이 미국의 조롱거리와 같이 화제가 된 사실을 알게 된다. 한 개인의 일생에 대해 쉽게 나불거린 기사 쯤으로 마감된 글은 많은 여자들의 조롱을 받게 되고 급기야 대도시에서 잘나가는 기자 그레이엄은 자신이 술집에서 들은 글 그저 기사로 옮긴 여성의 삶이 과연 실존하는지 증명하기 위해서 매기가 살고 있는 촌구석으로 또 다른 취재 또는 자신의 기사에 대한 확인을 위해 떠난다. 서로 집에 누가 살고 숟가락이 몇개인지를 알 수도 있을 것 같이 좁은 시골 마을에서 그레이엄은 매기가 왜 결혼식에 도망을 쳤는지. 그녀와의 결혼 때문에 상처를 입거나 버림받은 남자들을 찾아가 그 결혼에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를 보게 된다.
상당히 멀쩡한 면을 지니고 있다 못해 매력적이기까지 한 매기가 과연 4번째 결혼식에서도 도망을 갈까. 관객은 이미 매기를 취재온 그레이엄과의 만남을 인지한 순간부터 4번쨰의 도망=그레이엄의 기사 확인 등은 어느 정도 예측을 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제는 4번쨰 결혼식 전에 결혼을 파한 매기..그레이엄과의 사랑 역시도 그녀에겐 버거웠던 것일지..많은 취재진 앞에서도 그레이엄을 버리고 택배 차량에 얹혀서 결혼의 압박감을 이기지 못한다. 이건 정말 전혀 예상하지 못했는데 이른바 영화 속의 매기라는 캐릭터는 어른이 성장을 확인 받는 결혼이라는 제도가 어떤 이에게는 이렇게 큰 압박감이 된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가장 코미디 적인 표현이라는 생각에 그저 실소만으로 끝내지 않게 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계란의 스타일 조차도 상대방의 입맛에 아무 생각없이 맞춰 줬던 이 순진무구한 아가씨의 성장 안에서 자신의 미래를 한 사람과의 약속을 통해서 세워야 하고, 그 사실을 자신이 알고 있는 사람(영화에서는 모르는 사람까지 많아져버려 더더욱 부담스러워 졌지만)에게 모두 알려야 하는 결혼식이라는 자리는 지극히 부담스러워 보인다. 상대방을 사랑하고 또 미안하고 이 상황 모두가 받아들일 수 없을만큼 부끄럽기도 하겠지만, 결혼이라는 것 자체가 무서운 것이 더 크다는 것에 궂이 동감하지 않을 이유도 없는 것이다.

삶이 사랑만으로 이루어 지는 것도 아니며, 영원한 사랑이 있다고 확답할 수 있는 근거도 미약하며, 인간이라는 동물이 단 하나의 상대만으로 완성될 수 있는지 하는 답변도 나오지 않는 인간사에 자신의 결혼식에 도망쳐 혼자서 울고 있는 여자에게 과연 누가 비난의 화살을 쏠 수 있을까..결혼을 하지 않은 사람이든 결혼을 이미 한 사람이든 그 비난이 쉬울 리는 없을 듯 하다. 영화 안에서 많이 희극화 되었지만 일면 진지한 순간과 만날 수 있는 건 바로 이런 부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자의 성숙 못지 않게 한번의 결혼을 자기만의 생각으로 실패한 그레이엄에게도 이 결혼식에서 도망치는 여성의 심리를 파악한다는 건 결혼식이, 아니 결혼이 부담스러운 것이라는 것 조차 느끼지 못했던 자신의 무지와 무던함을 깨닫는 지경에 이르면서 결혼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남자와 여자가 살아가는 것에 관한 이야기라는 데 생각이 뻗치게 된다. 여자가 자신에게 맞는 계란 요리 스타일을 알게 되고 그것을 명확하게 이야기 할 수 있게 되는 것 처럼..여자의 그 무엇이 어떤 것인지 봐주고 지켜 줄 수 있는 남자가 되어 가는 것...자신을 찾아가는 여성과 그런 여성을 이해하려는 남성의 성장과정은 일부분이지만 즐거운 사실에 관한 새로운 제시를 통한 즐거움을 잃지 않고 보여준다.

영화는 로맨틱 코미디 답게 기대되는 만남과 뜻하지 않는 사건 등으로 즐거움을 주는데, 그 중에서 영화 중간중간에 삽입되어 즐거움을 전해주는 제임스 뉴튼 하워드의 음악의 효과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지극히 영화적인 소재가 극대화된 로맨틱 코미디에서 결혼과 삶에 대한 작은 매소드를 전해 줄 수 있다는 건 오랜동안 로맨킥 코미디를 전문적으로 찍어온 게리 마샬의 솜씨라고 보고..이런 스탭들의 장기가 고스란이 묻어나는 영화 속의 조연들과 캐릭터들이 영화의 균형을 맞춰가면서 즐거움을 선사한다는 걸 궂이 반복해서 말할 필요가 있을까. 단순한 런닝 타임용 영화로 접급해서 보기 시작했다가 삶의 여러 면모에 대한 생각을 전해준 즐거운 영화였다.












- 영화 속 명대사 -

자기한테만 맞는 짝이 따로 있을까요?
아니, 가끔 순간적 매력을 운명의 짝으로 착각하. 매력은 오해하기 쉽거든
정말 그래요. 그건 아무 것도 아닌데 그래요, 아무 것도 아니지


by kinolife 2007. 9. 4. 05:23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한국, 80분

감독 : 안슬기
각본 : 안슬기

출연 : 유형근
         조시내  
         김도균  
         최가현  
         이경세  
         노정아
         곽대호
 
음악 : 최용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년은 가난한 집에서 나와서 혼자 방황하면서 인생의 교과서 처럼 나쁜 친구를 만나고...너무 일찍 해결책 없이 어른들의 세계로 들어온다. 우연히 1회용기를 쓰는 가게를 적발하는 사진을 찍던 중에 그 가게의 종업원이 던진 돌에 맞아서 쓰러진다. 깨어보니..자신에게 돌을 던진 여자의 집..."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거짓말로 시작된 낯선이와의 동거는 생각지도 않은 안정감을 선사한다. 따스한 방에 따스한 이불 그리고 따스한 국물이 있는 밥 까지 소년은 이 작은 방에서 작은 느긋함을 느낀다. 소년이 자신에게 거짓말을 한 걸 알고 쫒아도 보지만..이들의 동거 아닌 합숙은 이미 일상이 된 듯 보인다.  이 방의 주인은 이미 둘이 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년이 즐겨 가는 분식집의 조선족 처녀는 다섯 달이 되도록 월급도 못 받고 거리로 나와 앉아서 울고 있다. 안 쓰러웠던 처녀는 다시 자신의 방으로 그 조선족 소녀를 데리고 온다. 어느새 이 방의 가족은 셋...얼마 지나지 않아 사기를 당하고 거리로 나 앉은 분식점의 악덕 아저씨도 어쩔 수 없이 이 아가씨의 집으로 들어온다. 어느듯 넷...어쩔 수 없이 가족 아닌 가족이 된 이 가난한 이웃들은 자신이 아닌 타인의 고톹을 함께 나누는 것으로 해서 자신들의 고통을 잊어 간다.

방의 주인은 자신을 한 집안의 호구 정도로 생각하는 핏줄 보다는 자신을 심리적으로 의지하는 이 낯선 이웃들에게 다 가족의 느낌을 받았던 것일까. 현실적으로는 말이 안되는 이야기 처럼 보이지만, 영화를 보는 동안은 영화 속의 설득력에 특별한 이견 없이 받아 들이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영의 배우들과 신예 감독이 만들어 내는 이 당혹스러운 중편 영화는 현대를 살아하가는 사람들이 돈 만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간적인 유대에 대한 물음을 색다른 시각으로 풀어가고 있다. 자신이 거짓말을 하고 방에서 기숙한다는 사실을 서로가 알게 된 상황에서 바지를 벗으면서 "밥값은 할께요."라고 말하는 소년에게 허망한 웃음이 터져 나오지만 실제로 우리 사회가 어린 소년에게 가르쳐 준 인생의 진리라는게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장면이기도 하다. 세상은 변한다. 그것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변하기 때문일 것이다. 세상이 변화하는 걸 문뜩 문뜩 느끼는 그 순간에는 나도 역시 그 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람들의 속도에 따라가지 못하는 인간이기에 그럴 꺼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작은 쪽방에서 시작된 기숙자 세기는 그 좁은 방 안에서 다섯번째로 애기가 태어나게 된 날 각자의 삶으로 돌아갈 수 있는 여유와 웃음이 생겼음을 보여준다. 영화를 절망이 가득해 보이는 주인공들의 삶 안에서 그렇게 희망을 그리고 싶었다는 걸...그리고 그 희망이 영화를 다 본 관객들에게 따스함을 전해준다는 걸 알 수 있게 한다. 코미디라고 하기엔 서글픈 현실이 적잖이 사회적으로까지 비쳐지는 신인감독의 기치가 돋보이는 영화. 지금 이 순간 내가 가지고 있는 재산이 얼마나 많아 보이고 얼마나 행복한 사람인지 다시 한번 더 스쳐 지나가도 알 수 있게 된 건 이 영화를 본 작은 기쁨 이상의 수확이 아닐까!
by kinolife 2007. 9. 1. 23:59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미국, 103분

감독 : 마크 로렌스(Marc Lawrence)  
각본 : 마크 로렌스(Marc Lawrence)
 
촬영 : 하비에르 페레즈 로베트(Xavier Perez Grobet)
음악 : 아담 쉴레진저(Adam Schlesinger)

출연 : 드류 베리모어(Drew Barrymore)
         휴 그랜트(Hugh Grant)
         셔만 알퍼트(Sherman Alpert)  
         제이슨 앤툰(Jason Antoon)  
         블레이크 박슨델(Blake Baxendell)  
         헤일리 베넷(Haley Bennett)  
         테레사 베넷(sptTheresa Bennett)  
         브라더 더글러스(Brother Douglas)  
         브래드 거렛(Brad Garrett)  
         크리스틴 존스톤(Kristen Johnston)  
         아시프 맨드비(Aasif Mandvi)  
         캠벨 스코트(Campbell Scott)  
         스튜어트 섬머스(Stewart Summers)  
         로날드 실버스(Ronald Sylvers)  
         루 토레스(Lou Torres)  
         카로스 벨라즈퀘즈(Carlos Velazquez)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상반기 최고 히트곡을 지닌 OST를 배출한 음악을 소재로 만들어진 로맨틱 코미디. 1980년대의 향수를 슬쩍 건드리는 소재들과 지금은 망가진 과거의 가수가 2000년대에 재기하는 과정을 다룬 주인공 주변의 이야기가 적잖이 흥미로왔던 영화..로맨스보다는 음악이 돋보이는 이 영화는 개인적으로 인연이 꽤 깊었던 영화 & 음악이었는데... 내가 일을 하는 동안 가장 즐거운 영광을 선사했던 작품이라 아주 많이 기억에 남을작품이 될 것 같다.

80년대에 인기를 끌었던 가수 겸 자곡가 알렉스는 현재 인기의 정상에 서 있는 꼬맹이 가수의 신곡을 작곡해 줄 많은 작곡가 중의 한 명으로 초대된다. 주어진 시간이 채 일주일도 남지 않은 알렉스는 작곡을 해 본지도 오래되었지만 더 걱정인 것은 작사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점..그의 매니져는 새로운 작사사를 그에게 작업 메이트로 소개해 준다. 작업에 열중해 있던 그의 집에 찾아온 식물 재배 알바 소피는 그 과정에서 그녀만의 언어적인 감각을 보여주며 알렉스의 곡을 만들어주던 작사가의 심기를 불편하게 한다. 그 과정에서 소피의 작사가로서의 능력을 감지한 알렉스는 그녀에게 자신의 신곡을 위해 노랫말을 써 줄 것을 제의 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전에 소설을 써 보긴 했지만 노래를 만들어 본 적이 없다면서 알렉스의 제의를 부담스러워 하던 소피는 그의 설득에 함께 급 제조에 들어간다.인기를 다시 되 찾고 새로운 곡을 쓰고 싶은 알렉스의 욕망과 소피의 참신함이 만들어 낸 "사랑으로 가는 길(Way Back Into Love )"은  현재 인기 가도를 달리고 있는  꼬맹이 스타의 마음에 들면서 작업에 활기가 생긴다. 소피의 주변인들도 알렉스와의 작업에 호기심을 가지고 알렉스의 매니져를 비롯한 관게자들도 소피의 감각에 빠져 든다. 이들이 티격태격 하면서 만들어낸 이 신곡은 알렉스의 작업에 신선한 기운을 불어 넣는다.

알렉스에게 작곡을 의뢰한 스타 역시도 곡은 만들어지지만, 자신의 색깔로 덧입힐려는 가수의 반응에 각각의 의견을 내보인 소피와 알렉스는 결국 1차본에서 가수의 입김이 담긴 곡으로 의견 결정이 아닌 결정을 내고 작사가 작곡가로서의 관계도 막 시작된 연인으로서의 관계도 종지부를 찍는다. 인기 보다는 자신의 음악적인 색깔과 고집이 더 중요하다고 외치는 신참 작곡가 소피와 자신의 처지에 맞는 행동이 필요하다고 외치는 알렉스 노래는 만들어졌지만 이들은 더 이상 함께가 아니다. 꼬맹이에 의해서 노래가 세상에 공개되어 갈 즈음..소피는 자신의 곡이 어떻게 실제 발표되는지 보기 위한 공연장에서 그 동안 자신과의 작업을 통해서 성숙하면서 자신의 가치를 일깨우는 행동을 한느 알렉스의 모습에서 감동을 느낀다. 알렉스에게 작사가 어렵지 않다고 가르켜 주는 소피, 그들이 작업을 하면서 나누었던 내용들이 담겨서 노래로 만들어진 모습을 보면서 소피는 적잖이 감동을 받는다. 물론 소피의 의견대로 자신들의 작품을 소피의 의견이 반영된 곡으로 편곡되어 완성된 걸 본 소피는 자신의 의견을 받아들여준 알렉스의 용기에//그리고 그 안의 진의를 알아준 꼬맹이 가수에게...그리고 무엇보다도 잣니의 작사가로서의 가능성은 물론이고 음악적 감각까지 있음을 확실히 확인 받으면서 가장 행복한 순간을 맞는다.
여자에게 끌려 다니는 것 같지만 포용력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알렉스 역시도 그 동안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행복감에 젖어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통의 로맨틱 코미디가 가지고 있는 요소 사랑을 하는 과정에서의 티격 태격..그리고 쌓이고 확답받고 결론 내려지는 사랑에 대한 모든 법칙을 영화 속에 확정되어진 작곡을 위한 시간만큼이나 급한 속도로 진행되는 이 영하는 스피디한 전개로 쉴 틈없이 쭉 달려와 아주 작은 갈등 해소를 통해서 해피 엔딩으로 치 닫은 전형적인 로맨틱 코미디이다. 주변에 아주 특이하고 코믹한 인물들은 없지만,왕년의 작곡가 겸 인기가수와 자신의 사랑 이야기가 고스란이 책으로 나와서 곤혹스러운 신예 소설가와의 사랑은 어찌 보면 예술적인 재능을 통한 생각해 보기 쉬운 조합일지도 모르겠다. 영화적인 로맨틱한 고백이나 달콤한 사랑의 언어를 노래로 풀어내어 더욱 더 집중 할 수 있게 한 감독의 감각은 앚 뛰어나다. 음악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쉽게 빠져들 수 있게 주제곡은 감칠 맛이 난다.

로맨틱 코미디의 전형적인 모습들이 많아서 신선한 면은 적지만 적지 않은 흥미거리를 가지고 이 작품만큼의 소소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휴 그랜트와 드류 베리모어의 조합도 아주 좋으며, 휴 그랜트의 노래는 여느 가수에 빠지지 않는다. 1980년대의 향수를 자극하는 오프닝, 엔딩은 적잖이 신선한 선물이며 영화 속에 등장하는 뮤지션들의 이름 만으로도 즐겁다, 영화를 다 보고 몇일 동안 " 팝(POP)"이라고 외치게 되어서 혼자 씩 웃기도 했으니 취향이 맞는 사람들에겐 사랑보다 큰 영화적인 즐거움이 충분히 담긴 작품이다. 부담스러운 새로움 보다 두 주연 배우들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음악적 미덕을 담아 낸 감독의 꽁수가 무척 잘 조합이 된 볼 만한 영화. 이제 막 데이트를 시작한 연인들에게 이 만한 성찬이 있을까 싶은 영화다. 쉼 없이 단순에 지나가버린 100분이 꼭 사랑에 빠진 사람들만의 몫은 아님을..보는 이의 취향에 따라 여러가지 다양한 면을 느끼게 해 주는 즐거운 영화다.
by kinolife 2007. 8. 21. 06:55
| 1 2 3 4 5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