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7년, 91분, 미국

감 독 : 데이빗 미어킨(David Mirkin)

각 본 : 로빈 스키프(Robin Schiff)
원 작 : 로빈 스키프(Robin Schiff)

출 연 : 미라 소르비노(Mira Sorvino)   
          리사 쿠드로(Lisa Kudrow)   
          알란 커밍(Alan Cumming)   
          줄리아 캠벨(Julia Campbell)   
          잔느 가로팰로(Janeane Garofalo)   
          빈센트 벤트레스카(Vincent Ventresca)   
          캄린 맨하임(Camryn Manheim)   
          미아 코벳(Mia Cottet)   
          엘라인 헨드릭스(Elaine Hendrix)   
          크리스틴 바우어(Kristin Bauer)   
          제이콥 바가스(Jacob Vargas)   
          저스틴 서룩스(Justin Theroux)   
          닐 딕슨(Neil Dickson)   
          E.J. 캘러헌(E.J. Callahan)   
          캐시 롱(Kathy Long)   
          베스티 폴섬(Betsy Folsom)

촬 영 : 레이날도 빌라로보스(Reynaldo Villalobos)
음 악 : 스티브 바텍(Steve Bartek)
주제곡 : "Time After Time" By Cyndi Laup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0년...이른바, 20대 후반에서 30년대 초반에 되는 여성들이 동창회를 통해서 느끼는 감정들을 아주 기분 좋게 표현 해 낸 영화..근 10년 동안 고등학교 때와는 다른 삶을 살았지만, 무언가 달라진 건 없는 것 같고 미래 역시도 불투명한 로미와 미셀의 10주년 고등학교 동창회 습격기..단순한 내용이지만, 두 여배우의 명연기와 깔끔한 시나리오가 안 봤음 후회했을 만한 작품이었을 뻔 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로미와 미셀은 고향을 떠나와서 뉴욕에서 함께 동거 생활을 하고 있다. 미셀는 집에서 혼자서 백조로 지내고 있고 로미는 카센터에서 접수원으로 일하고 있다. 어느날 직장에서 우연히 손님으로 찾아온 동창생 헤더를 만나서 10년만에 고향에서 동창회가 열린다는 이야기를 듣고 호기심을 느낀다. 집으로 돌아와 미셀과 함께 지난 고등학교 졸얼앨범을 펴 두고 그 시절을 회상하는 두 사람. 약 2주 남은 시간 동안 자신들이 변화해서 조금 많이 멋있게 동창회에 떡 하니 나타나고 싶은 생각으로 가득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주 안에 미셀은 직장을 구하고 로미는 남자 친구를 구한다는 작전명 아래 각자의 생활에 탄력을 줘 본다. 의상실에서 중고 쇼핑몰까지 자신의 이력서를 들고 이리 저리 알아보지만, 신통치 않은 미셀...로미 역시 Pub이나 곳곳에 얼굴을 들이 밀어 보지만 딱히 특별한 묘수가 있는것 같지는 않다. 급기야 앞으로 얼마 남지 않은 시간 동안 동창생들에게 얼마나 우리가 멋있게 보일 수 있을까를 생각하던 로미와 미셀은 자신의 현재 모습을 숨겨서 마치 굉장히 성공을 한 것 처럼 보이는 것처럼 연기를 하자는 의견에 합의 한다. 어떻게 하면 좀 더 멋있게 보일까? 그래서 생각한 거짓말은 '포스트 잇'을 발명해서 돈을 많이 벌었다고 알리는 것.. 나름대로 그럴싸한 시나리오를 들고 아주 화려한 차까지 빌린 로미와 미셀은 오래간 만에 10년전 학교에서 자신들을 괴롭히고 힘들게 했던 친구들에게로 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겉 모습은 화려하지만 삐그덕 삐그덕 거리는 자동차를 타고 10년의 유행했던 노래를 따라 불러가면서 룰랄라 시동을 걸고 떠나보지만, 차도 가다 서다 하고, 카세트 테이프에 따라서 나오는 노래들도 뚝뚝 가사가 이어지지 않는다. 뉴욕에서 잘 나가는 커리어 우먼으로서 출발했지만 덜커덩 거리는 차나 잃어버린 가사 만큼이나 순탄치 않다. 그런 와중에 "내가 니 보다 더 이뻐"라고 하는 여성들의 발 싸움으로 인해 로미와 미셀은 서로 싸우고 등 돌리며 각각 동창회장 안으로 들어 간다. 이제까지 함께 준비한 거짓말을 따로 연기해서 일까 곧 자신들의 거짓말이 탄로 난걸 알고 고등학교 때도 자신을 괴롭힌 친구들이 여전이 때로 몰려 다니면서 자신을 괴롭힌 사실을 알게 되고, 결국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친구는 서로였음을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동창회에서 성공한 척 보일지는 몰라도 세상에서 가장 친구랑 헤어진다는 건 결코 받아들이기 힘든 사실임을 자연스럽게 알게 된 것이다.

자신을 괴롭히던 친구 역시도 자신을 포장하기 위해서 살아가고 있다는 걸 알고..이제까지 숨겨왔던 뉴욕의 가짜 커리어 우먼이 아니라 그저 로미와 미셀 언제나 함께 있어서 빛이 나는 "로미와 미셀"로 돌아가서 함께 그들만의 시간을 만들어 낸다. 고등학교 동안 내내 미셀을 쫒아 다니던 쫒아다니던 어수룩하던 찌질이 샌디가 자신의 헬기를 타고 올 정도로 인생은 역전되면서 진정한 코미디 영화로서의 묘미를 폭발시킨다. 특히 10년만에 만난 동창생들 앞에서 로미와 미셀 샌디가 함께 추는 춤은 말 그대로 이 영화 최고의 백미를 느낄 수 있는 장면...우스워서 소리를 지르면서 보게 되지만, 그 안에 따스한 감정들이 스르륵 느껴지는 것 역시 숨길 수가 없다. 10년만에 만난 동창생 샌디에게 돈을 빌려 뉴옥에자신들의 디자인이 담긴 샵을 열고 함께 일을 하면서 나누는 대화 "너랑 있을 때가 제일 즐겁고..제일 재밌어", "나도"...현재까지 나온 여성들 우정에 관한 이 만큼 직설적이고 현실적인 영화를 찾는 것도 쉽지 않음을 느끼게 해 주는 부분이다. 간단한 소재를 80년대의 명곡들로 녹여낸 즐거운 영화 그런 내용을 즐겁게 표현해 낸 미라 소르비노와 리사 쿠드로..누가 로미이고 누가 미셀이든 로미와 미셀 같은 인생의 동반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무조건 행복할 것 같다. 샌디가 가진 것 중 하나도 가지지 못했다 하더라고...그런 고등 학교 때의 로미와 미셀을 부러워 한 헤더처럼....영화는 그런 일상의 행복감으로 가슴을 따뜻하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4. 11:30
반응형
영화 <헤드 오버 힐스 Head Over Heels >의 여주인공의 직업이 오래된 그림을 복원하고 새롭게 그림을 그려 넣는 복원가..그러 그녀가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의뢰받은 작품...

화가 이름은 정확이 모르겠고, 화가가 러시아 사람이며..영화에서 제목으로 [시대를 거슬러]라는 의미를 남겨 준 작품이다. 그림 속의 시대를 정확히 집어 보기도 쉽지 않고..어느 신화나 이야기 안의 배경은 그림에 대한 궁금증을 높히는 것 같다. 몰라서 그렇지 정말 유명한 화가의 그림이 아닐까 생각만 해 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 그림은 영화 속에서 복원 중에 있는 그림인데..자신이 사랑한 남자의 얼굴을 그리면서 그려 넣은 모습에서 영화 속에서 여주인공의 마음상태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그림도 내용도 그다기 확 와 닫지는 않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4. 10:52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BS-i
방 영 : 2006년

감 독 : ㅡ

각본 : ㅡ
원작 : ㅡ

출 연 : 니와 타몬 앤드류(丹羽多聞アンドリウ)
          미야자키 아오이(宮崎あおい)
          호리키타 마키(堀北真希)
          쿠로카와 메이(黒川芽以)
          카호(夏帆)
          사토 지로(佐藤二郎)
          콘고치 타케시(金剛地武志)
          시시도 조(宍戸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에서 드라마 시리즈로 제작되었던 <휴대폰 형사 제니기타 아이>릐 시리지를 모아 영화로 만드는 것을 홍보하기 위해 만든 방송국 자체 다큐멘터리 ..기존에 드라마도 보지 않은 상태라 그 특성이나 제목은 그저 짐작할 수 밖에 없지만, 드라마화 된 작품을 남기고 싶어서 영화를 찍게 됐다, 드라마와는 달리 많은 트릭과 특수효과가 많이 쓰여서 영화가 망하면 방송국이 힘들다 라고 하는 등의 감독의 대사에서 일본에서 드라마를 다시 영화로..소설과 만화를 드라마와 영화로 동시에 때론 같은 배우를 써서 연작 작품인 것 처럼 제작하는 형태에 대해서 엿볼 수 있다.

별 특별한 내용을 다 다큐멘터리로 찍어서 홍보를 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도 일본의 문화 중에서 아주 큰 특징인 오타쿠 문화를 생각한다면 일면 이해도 되는 부분이다. 재미 보다는 일본의 드라마 및 영화 엔터테인먼트 제작 환경을 엿 볼 수 있는 짧은 다큐멘터리...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3. 16:34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TBS
방영타이틀 : TBS 금요 드라마
방 영 : 2005년 12월 05일

감 독 : 나카하라 슌(中原俊)

각본 : 나카타니 마유미(中谷まゆみ)
원작 : 아가와 사와코(阿川佐和子)

출 연 : 후카다 쿄코(深田恭子)
          오카다 요시노리(岡田義徳)
          이하라 츠요시(伊原剛志)  
          우카지 타카시(宇梶剛士)
          츠가와 마사히코(津川雅彦) 
          사사노 타카시(笹野高史)
          나카오 미에(中尾ミエ)
          야쿠시마루 히로코(薬師丸ひろ子)
          타나카 사에키(田中冴樹)
          무라카미 마이(村上茉愛)
          이와모토 치나미(岩本千波)
          코노 유미(甲野優美) 
          키노시타 호우카(木下ほうか) 
          사카타 마사히코(坂田雅彦) 
          야마구치 아유미(山口あゆみ) 
          하시모토 아키(橋本亜紀) 
          후카사와 사야카(深沢さやか) 

음 악 : 하케타 타카후미(羽毛田丈史)



영화 같은 형식의 특별 드라마...

사용자 삽입 이미지
はじめ-て(처음으로), はじめ-て(처음으로) 로 시작되는 노래를 통해서 어린 꼬마들의 최초의 일에 대한 단상이 눈을 따스하게 하는 드라마의 초입..꼬마들의 이야기인가 하는 예상이 드라마가 진행되면스르륵 맞아 들어간다. 학교 선생님이 되어서 성장한 미요의 어린시절 추억이 담긴 친구..우메코와의 옛 이야기를 보여주는 간략한 내용의 드라마. 후카다 교코의 귀여운 연기를 만날 수 있는 작품으로 학교 선생님으로서 조금씩 커 나가는 모습을 어릴적 추억을 풀어서 이어서 보여준다. 이사를 오기 전에 함게 뛰어 놀고 친하게 지냈던 우메코와의 이야기.. 소심한 미요에게 용감하고 독특한 우메코가 있어서 스스로 용기를 내고 힘든 일을 이겨낼 수 있었음을 기억하도록 그리고 그 기억을 다시 되찾아서 가는 지금에도 어른이 되었지만 여전히 병약한 자신에게 우메코라는 한 친구는 자신의 삶을 바꿀 수 있는 큰 자극제가 된다. 좋은 친구는 역시 오랜동안 보지 않아도 믿을 수 있고 현재의 자시 삶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친구라는 생각을 다시 하게끔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나는 초등학교 선생님, 또 다른 하나는 일본 내에서 가장 유명한 서커스 단원으로 성장하고 18년이 지난 다음에 다시 만나는 이야기를 통해서 "결국, 언제나 먼저 포기했던 건 너 였잖아"라고 일본 드라마 스러운 대사를 날리는 모습은 지극히 상투적인 모습이다. 하지만 간간히 나오는 서커스 장면이나, 서커스 단원 출신의 엄마가 보여주는 색다른 아이 사랑은 즐거움이 녹아 있다. 처음으로 처음으로..아이가 처음으로 하는 것을 통해서 어른들..엄마와 아빠도 아이와 함께 대부분 처음으로 하게 되는 것들임을 되내인다면 처음으로 사귀게 된 친구에 대한 기억은 어른이 되고 나서도 각별한 의미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평범한 내용이 담겨서 잔잔하게 감상하는 것으로 OK 인 드라마.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3. 12:46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The Great Big Enormous Turnip
글 : 알릭세이 톨스토이
      (Alexei Tolstoy)
그림 : 헬린 옥슨버리
         (Helen Oxenbury)
번역 : 박향주
출판사 : 시공주니어
2007년 05 초판 27쇄
가격 : 6,000

할아버지가 심은 커다란 순무가 할아버지의 바램대로 튼튼하고 크게 커서 그 순무를 캐기 위해 할머니, 손녀, 멍멍이, 고양이, 쥐 등의 힘으로 순무를 뽑는다는 아주 간단한 내용...

야채를 키우는 마음과 잘 성장한 야채를 같이 뽑는 가족의 통일감을 잘 전해 주는 동화책...만화 같은 동화체의 그림이 톨스토이의 원 내용보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동화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3. 07:30
반응형
나의 강제 퇴사..이른바 구조조정 리스트 등재를 축하하면서 평생 지기들이랑 술 한 잔 했다.
머 근래 찾은 음식 점 중에서 꽤 오래 기다렸고..또 그만큼 흡족했던 집...인테리어 삐까뻔쩍하고 내 내 옷을 입지 않을 것 처럼 불편한 것 보다는 이런 곳이 더 좋다. 사람들 떠들면서 술 먹고..주인 아저씨고 막장엔 한잔씩 걸치시고...손님들과 말도 섞으시고...편하게 이야기 하고 웃고..누구 욕해도 좋고 한 선술집...

솔직히 그런 곳을 찾기가 그다지 쉽지가 않은데...블로그와 소문의 힘을 얻고...선행해서 와본 손의 가이드 덕에 맛나게 먹고 왔다. 나중에 우리 식구들과도 한번 와볼까 한다. 전혀 다른 메뉴들도 먹어보고 싶다..몸에 좋은 일본식 가정요리..정언이도 좀 먹어봐야지... 자 그날 먹은 것들 쭈루룩 나간다. 여느 와인집 정도의 술값도 흡족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문한 술이 나오기 전에 나온 개인상의 생선 조림..짜지도 비리지도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날 먹은 정종..어느 지방 정종이었는지는 기억이 나질 않는데 끝맛이 조금 달짝 지근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만원에 5마리...맛있어서 2 접시를 시켰는데..난 2마리 밖에 먹지 못했다.. 각자 나머지가 4마리씩 먹었다는 이야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벼운 일본식 두부요리..전채라고 봐야 할...요 정도는 정언이가 먹어도 OK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겨울이면 서비스가 된다는 굴 튀김...원래 굴을 안 좋아하는데..이집 굴 튀김은 아주 맛있었다. 집에 와서도 생각이 나는 것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화풍의 어느 지방 국수라는데..맛있었다. 양념만 살짝 알아낸다면 충분히 응용 가능한 요리가 아닐까 생각이 된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2. 19:00
반응형
영화 <환타스틱 소녀백서 Ghost World>에 등장하는 주인곤 이니드가 그린 그림일기..예술 수업과 관련된 아마츄어 미술 작품들이 쭈루룩 소개되는데..나름대로 현대 미술의 의미들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많다.
미술 시간에 학생들이 보여주는 그림들은 차지하고 라고 아니드가 자신의 주변의 사물들에 대해 그려 놓은 애정어린 그림들과 통찰력이 느껴지는 몇몇 그림들은 천재적이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역사적으로 인정받고 전문가들이 이야기 하는 명화들도 좋겠지만, 이런 소박하지만 그거 소박하지 않고 비범함을 띄는 개성이 강한 일러스트르 아주 멋지다고 생각한다.영화 속의 그림은 감독 테리 즈위고프가 데뷔작 <크럼>을 찍을 때 마난 만화가 로버트 그럼의 딸 그림을 얻어다 사용했다고 한다. 인디 스러운 발견에 인디 스러운 재 탄생이 아닐 수 없다. 이 정도가 되면..딸이 아닌 아버지의 그림도 조금 궁금해 지기도 한다. 이 무명의 습작 그림..보면서 즐겨 볼만한 작품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영화 속에서 이니드가 그림 세이모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영화 속에서 이니드가 그림 세이모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영화 속에서 이니드가 그림 세이모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영화 속에서 이니드가 좋아했던 조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니드가 세이모어의 집에서 마음에 들어한 그림. 예술 수업 중에 이상한 취향으로 친구들의 눈에 띈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2. 18:45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3년, 미국, 86분

감 독 : 마크 S. 워터스(Mark S. Waters)

각 본 : 데이비드 키드(David Kidd)
원 안 : 존 J. 스트로스(John J. Strauss)
          에드 덱터(Ed Decter)
          론 브런치(Ron Burch)

출 연 : 모니카 포터(Monica Potter)
          프레디 프린즈 주니어(Freddie Prinze Jr)
          차이나 쵸(China Chow) 
          샬롬 하로우(Shalom Harlow)
          이바나 밀리세빅(Ivana Milicevic) 
          사라 오헤어(Sarah O'Hare) 
          토미코 프레이저(Tomiko Fraser) 
          제이 브라조(Jay Brazeau) 
          스탠리 드산티스(Stanley DeSantis) 
          노마 맥밀란(Norma MacMillan) 
          베소 셔크코프(Bethoe Shirkoff) 
          티모시 올리펀트(Timothy Olyphant) 
          테오도르 토마스(Theodore Thomas) 
          알렉스 도덕(Alex Doduk) 
          질 다움(Jill Daum)
촬 영 : 마크 플러머(Mark Plummer)

음 악 : 랜디 에델먼(Randy Edelman)
          스티브 포카로(Steve Porcaro)
          게리 존스(Gary Jones)
          해피 워터스(Happy Walters)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남자 친구의 배신을 딛고 새로 얻은 아파트...새로운 아파트에서 함께 동고하게 된 친구들은 모두 패션 모델들...늘씬 늘씬한 몸에 비해 어처구니 없는 지능을 가지고 있지만, 다들 개성 만점에 따스한 가슴을 가지고 있다.(전형적인 영화적 캐릭터다.) 새로 얻을 아파트를 찾아 가던 중 육중한 개 한마리의 덥침을 당하게 된 아만다는 그 개를 끌고 오는 남자에게 자연스럽게 반하게 된다. 그의 이릉믄 모르지만,  자신이 얻은 아파트의 바로 맞은 편에 살고 있는 남자이면서 여러 매력이 넘치는 남자..궁금증은 더해 가지만 쉽게 다가가기가 쉽지 않다.

아파트 앞을 지나면서 우연히 만나게 되고 친구들의 도움으로 그와 가까와 질 수 있는 기회를 맞는다. 길 건너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그의 일면들을 훔쳐 보면서 어떤 사람인지 알아갈려고 한다. 문제는 그럼 탐색전 중에 그가 어떤 여자를 죽이는 모습을 우연히 목격하게 되고 과연 그가 어떤 사람인지 제대로 알고 있던 사람인지 의문이 들기 시작한다. 친구들과 함께 그에 대한 뒷조사를 시작한다. 과연 사겨도 될만한 사람인지..여자를 살해한 살인마는 아닌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패션업계에 종사하는 그의 직업과 그녀의 친구들과 함께 시작된 뒷조사는 그가 위험한 남자인지 모르겠지만, 매력이 넘치는 남자라는 것 아만다와 이웃집 남자 짐은 가까워 진다. 하지만 관계가 깊어지면 깊어질 수록 이 남자의 위험성이 점점 더 커지고..결국은 FBI로 러시아의 갱단에 합류해서 잠복 근무 하는 남자인 걸 알게 된다. 러시아 악당들과의 작전 소탕과 패션쇼와 어울리면서 한바탕 코미디적 쇼가 펄쳐지고..패션 모델들의 대담함과 궁여지책으로 벌어진 악당 소탕작전은 우야부야 잘 마무리 된다. 사건은 마무리 되었지만, 첫눈에 반한다는 사실을 서로가 확인 했다고 생각한 아만다 옆에 짐은 없다. 사건은 마무리 됐지만 사랑은 이루어 지지 않을까...하지만 로맨틱 코미디에서 그런 결말은 있을 수 없는 법.. 덩치 큰 개를 데리고 다시 아만다의 근처로 돌아온 짐..이 둘의 사랑은 완성되는 건지도 모르겠다.

히치콕의 이창의 구조를 바탕으로 구리한 로맨틱 스토리와 어색한 여자들의 우정을 뒤 섞여 놓은 이 어설픈 코미디는 급박한 전개나 매력적인 내용은 없어도 꽤 빠르게 전개되는 내용 덕에 후다닥 볼 수 있는 잇점이 있는 영화다. 여자 주인공으로 나온 아만다는 어설픈 줄리아 로버츠로 보면 딱이겠고, 남자 주인공 역시 헐리우드에서 자주 보던 얼굴 같이 친숙하다. 4인 4색의 모델 친구들만이 개성이 넘치고.. 영화 속의 사건들 역시 조금은 진부한 인상이 강하게 남는 영화다. 그저 그런 헐리우드 B급 킬링 무비의 전형인 작품이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2. 18:15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 2001년, 115분

감독 : 시노하라 테츠오(篠原哲雄)
각본 : 나가사와 마사히코(長澤雅彦)

출연 : 타나카 레나(田中麗奈)
         하라다 미에코(原田美枝子)
         사나다 히로유키(真田広之)  
         히라타 미츠루(平田満)  
         사토 마코토(佐藤允)
         니시나 마사키(仁科克基)
         타나카 요지(田中要次)
         지코 우치야마(ジーコ内山)  
         나카무라 쿠미(中村久美)  
         카토 요시히로(加藤悦弘)  
         타지마 켄이치로(田島謙一郎)

음악 : 히사이시 조(久石譲)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 영화 특유의 액자 형식을 띄고 있는 깔끔한 가족러브 스토리...정도 쯤으로 이야기를 묶어 볼 만한 작품. 영화를 본지 하도 오래 되서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벚꽃이 휘날리던 영화의 장면만은 아련하게 떠오른다. 마치 영화 속의 여자 주인공이 엄마의 과거를 어슴프레 작은 단서 만으로 찾아가는 것 처럼.. 아스라한 기억처럼 아련한 기억이 영화 전반의 이미지와 감성을 지배한다.

병으로 쓰러진 엄마..엄마가 자신의 오랜 추억으로 생각하고 건내 준 오르골 안에 담긴 애절한 연애 편지와 사진 한장...과연 엄마는 어떤 사람을 했던 것일까..아빠가 아닌 어떤 아저씨와...시간은 흐르고 자신에게도 사랑이라는 감정이 궁금해 질 즈음 엄마의 첫사랑을 찾아나선다는 간단한 내용 속에 세대를 아우르는 사랑의 감정에 대한 감독의 솔직 담백한 견해가 담겨져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병상의 엄마 보다는 엄마의 과거가 더 궁금한 이 철부지 딸아이에게서 지나간 사랑이든 앞으로 자신에게 다가올 사랑이든 사랑이라는 것에 대한 호기심의 극대화는 이 영화의 또 다른 한계임을 숨길 수 없다. 엄마와 딸의 감정의 교류가 보다 더 우선이 되는건 어떘을 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수채화 처럼 담백한이라는 일상적이고 통속적인 표현 마저도 붙이기 쉽지 않은 작위성이 영화 속의 진실성을 조금 뒤집어 놓는데...죽음과 사랑을 같은 급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인지는 아직도 의문이 남는다.

일본식 가벼운 드라마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고 그 깊이 역시 지극히 관례 적이라 큰 매력이 담겨 있는 영화는 아니다. 단지 히사이시 죠의 음악과 벗꽃이 휘날리는 큰 그림만이 그저 아스라한 기억으로 이미지화 되어 각인되어 있다. 사랑은 흘러간다. 영화 속이 벚꽃처럼 피고 진다. 사람은 죽는다. 영화 속의 엄마처럼...그 변할 수 없는 진리들이 따로 따로 겉돌고 있기에 이 영화이 진실성이 얕은 것 같다.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는 소재지만 깊이가 약해서 많이 아쉬운 작품..전형적인 미완성 일본 영화의 모습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0. 10:40
반응형
진정한 퓨전의 면모를 보여주는 숙대 입구 역의 전냐..
다 함께 모이기로 한 선술집에 사람이 많아서 일단 배를 채우기 위해서 들어왔다.
조용하고 푸짐한 식사와 간단한 술 한잔을 했다. 자신이 직접 전을 구워서 먹는다는 이 집의 메뉴들... 그 안에서 추억 도시락 세트(주전자 라면 + 벤또)가 각 테이블 마다 놓여 있는 걸 보니..저렴하고 먹을 만 한 듯...역시 그랬다. 주전에서 면을 건져 내고 국물을 따라 먹는 건 기발하다는 생각도 했다. 주인 아주머니가 담근 건지...시원한 총각김치도 맛 좋은.. 싸고 저렴한 선술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전자 라면...학교 앞에서 먹는 술집 이미지가 물신 풍기는 모습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추억의 벤또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본 반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을 굽는다. 보통 잣니이 구워도 되는데 주인 아주머니가 구워 주셨다.


반응형
by kinolife 2007. 11. 10. 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