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120M, Color
감 독 : 시노자키 마코토(篠崎誠)
각 본 : 시노자키 마코토(篠崎誠)
          야마무라 레이(山村玲)

출 연: 미하시 타츠야(三橋達也)
         오오키 미노루(大木實)
         아오키 토미오(靑木富夫)
         우치노미 케이코(內海圭子)
         카자미 아키코(風見章子)
         사나다 마스미(眞田麻垂美)
         엔도 마사시(遠藤雅)
         오오모리 나오(大森南朋)    
         나카무라 이쿠지(中村育二)
         시노다 사부로(篠田三郎)
         호시 미치코(星美智子)    
         사에키 히데오(佐伯秀男)

2차 대전에 대한 기억이나 전쟁의 상흔은 전투가 치열했던 겹전지의 땅이 울고, 상처받았으며 사람들이 죽어갔다는 역사적인 사실과 함께 조금은 다른 아픔을 세계 곳곳에 남겼다. 전쟁의 상처는 전쟁터 안은 물론이거니와 밖에서도 쉼 없이 되물림 되어 왔던 것이기도 하다. 그것에 관한 한편의 일본영화가 현재의 우리에게 전쟁의 아픔이라는 흔한 소재에 흔하지 않은 인간애를 느끼게 하며 부산영화제를 통해 우리를 찾아 왔었다.

그 영화의 제목은 <잊혀지지 않는 사람들 忘れられぬ人..,>이며 이 영화의 감독은 1995년 정신장애를 지닌 아내를 가진 한 남자의 이야기를 영화 <오카에리>로 부산을 찾았던 시노자키 마코토(篠崎誠)이다. 1999년에는 부산 영화제에 소개되었던 기타도 다케시의 영화 <키구지로의 여름>에 관한 촬영 다큐멘터리를 찍었던 감독이기도 하다니, 결국 거의 전작, 신작 참여작 모두를 부산의 극장에서 볼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성립되니까 그는 부산영화제와는 인연이 깊은 사람이라고 불 수 있겠다. 이런 부산에서의 그와의 만남은 전직 영화평론가 출신이라는 소개 안에 담긴 날카롭고 해박한 영화 읽기가 그가 잡은 카메라에서는 어떻게 변화해서 보여지고 있는지 궁금을 유발하게 하기도 한다.

영화 <잊혀지지 않는 사람들>은 2차 대전에 참전했던 일본의 참전군인들이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도 잊지 못하고 간직하고 있는 기억에 관한 이야기이다. 영화의 주인공들 중의 하나인 키지마는 동료였던 카나야마를 전장에서 죽게 내버려둔 죄책감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평생 가슴에 품고 살아온 사람이다. 혼자서 고독하게 살아가는 키지마는 참전군인들이 가지는 그들의 정기적인 모임에서도 그 기억의 부담감 때문에 자유롭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곤 하는 전형적인 전쟁 휴유증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그런 그의 인생에서도 전우 카나야마에게서 유품으로 넘겨받은 하모니카만은 쓸쓸한 그의 기억 속에서 인생의 친구가 되어 준다. 그러던 어느 날, 참전군인 모임에 카나야마의 손녀가 온다는 소식을 듣은 키지마가 카나야마의 유품을 전해 주기 위해 참석하면서 그 동안 잊고 지냈던 동료들과 자신의 과거 전쟁의 기억에 빠져들먄서 영화는 전쟁터로 향한다. 그리고 카나야마 이외의 전우들의 삶을 조금씩 나눌 수 있는 전쟁 이후의 전우들과 함께 하게 된다.

영화는 한 군인의 기억에 대한 단편들이 그 아픔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많은 전쟁의 경험자들의 삶을 보다 깊은 아픔으로 느껴지게 한다. 지독히 아픈 과거는 언제나 현재의 삶을 짓누르고 방해해왔던 것처럼, 이들은 그들의 아픔을 현재의 삶 속에서 떨쳐내지 못하고 있는 셈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전쟁은 개인의 삶을 완전히 변화시키는 위협적인 것임을 다시 일깨우는 것이다. 영화는 전쟁의 피폐함이 아니라 전쟁을 겪은 사람들이 미치광이 전쟁처럼 미쳐가고 있고, 아픈 기억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들끼리 어깨를 기대고 살아가듯 각자의 고통 속에 휩싸여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런 영화의 전체적인 골격 속에서 2차 세계대전에 관한 한 일본에 대한 불편함을 가지고 있는 우리에게 과거에 대한 변명을 늘어놓지 않는 것은 이 영화가 전쟁이라는 소재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보기의 편안함을 선사하는 좋은 작용제가 되고 있다. 영화는 카나야마가 동료에게 남긴 하모니카를 통해서 전우의 감정이 얼마나 따뜻하게 전해오는지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독한 자에게 언제나 있어왔던 아이콘처럼 키지마의 하모니카는 전쟁 속의 전우들의 기억을 선명하게 하듯이 그의 삶을 굳건하게 해온 것이다. 그리고 하모니카 소리는 친구들에게 위로가 되었던 것처럼 이후 자식들에게도 잊지 못하는 기억으로 남을 테니 전쟁은 전쟁 나름의 의미를 각자에게 남긴 것이 되는 것이다.

삶은 언제나 팍팍하고 쓰렸고.... 전쟁은 그 이해할 수 없는 가학적인 삶의 운명적 흐름의 정점에 있는 것이고.... 생각이 여기에 다다르다보면, 그 어떤 척박함 속에서도 살아가듯이 하모니카 소리는 언제나 계속되겠지 하는 생각을 하게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조금은 마음이 여유로와 지며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건 아마도 하모니카 소리가 삶이 계속되는 것처럼 울렸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이 영화의 미덕이란 전쟁이라는 열결 고리를 통해 엮어진 노년의 사람들 속에서 그 상처를 잊는 방법에 대해 그리고 그 방법의 실천을 통해 삶을 이끌어 가면서도 그 이후 세대에게 전쟁과는 상관없는 삶을 남기고자 하는 의지를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정과 의미를 동시에 가질 수 있게 하는 포용력을 보여준다. 전쟁이 나쁜다는 것은 그것이 남기는 것이 다 아픈 것들이기 때문임을, 이 영화는 잔잔한 드라마를 통해 온건하지만 깊게 전해주는 것이다.
by kinolife 2006. 10. 9. 00:2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