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일본, 94분

감 독 : 이누도 잇신(犬童一心)

각 본 : 이누도 잇신(犬童一心)
          사토 사키치(佐藤佐吉)
원 작 : 오오시마 유미코(大島弓子)
 
출 연 : 이세야 유스케(伊勢谷友介)
          이케와키 치즈루(池脇千鶴)
          마츠오 마사토시(松尾政寿)
          타다노 미아코(唯野未歩子)
          카토 타케시(加藤武)
          아즈마 에미코(東恵美子)
          야나기 에리사(柳英里紗)
          카나야 히데유키(金谷ヒデユキ)  
          나가타 유키(長田融季)  
          토카치 하나코(十勝花子)    
          사카이 스스무(堺すすむ)  
          마루야마 코스케(丸山功介)
          우에노 키요타카(上野清隆)  
          카사이 카오리(葛西かおり)
          하시모토 노리히코(橋本紀彦)
          이토 카즈코(伊東和子)  
          우라베 후사코(占部房子)  
          마루야마 토모미(丸山智己)  
 
성 우 : 츠츠이 야스타카(筒井康隆)  
음 악 : 요시자와 에이지(吉澤瑛師)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래된 할아버지나 할머니의 수발을 들어주는 도우미 일을 하고 있는 나리스는 조금은 괴팍하다고 알려진 닛포리 할아버지의 집으로 도우미 일을 나간다. 야무진 음식 솜씨와 부지런한 몸놀림..상냥한 나리스는 투절한 직업 정신을 가지고 도우미 일을 즐기면서 한다.
소개소에서 소개 받은 안내서와는 다르게 꽤 친절한 닛포리 할아버지에 대해 의아해 하게 된 나리스는 곧 닛포리 할어버지가 예전의 젊었을 때의 기억 안에 갖혀서 살아가고 있다는 걸 알게 되고 서서히 할아버지와 친해지게 된다.

과거 속의 첫사랑과 자신을 혼동하는 할아버지에게 동정과 연민을 함께 느끼는 나리스는 보다 성심 성의껏 모시면서 깊은 정이 싹 튼다. 부모님이 재혼하면서 동갑내기 동생을 가족으로 맞이 하게 된 나리스는 동생과의 생활 속에서 엄마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 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이 모시고 있는 할아버지가 꿈 속에서 자신을 투영해서 보고 있는 것 같다는 이야기를 나누던 친구들과의 술자리에서 들은 폭탄 선언..자신의 친구와 동생이 사귀게 되었다는 것...내심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는 나리스...할아버지를 이해해 가면서 결국은 혼자서 동생을 사랑하는 자신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하면서 닛포리 할아버지에게 동정과는 또 다른 느낌을 갖게 된다. 자신도 모르게 할아버지의 꿈 속으로 들어가 버린 나리스는 동생에게 여자로 사랑받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비관해 할아버지의 구애를 받아들이고 싶다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엄청난 나이 차이는 개인의 역사적 가치관의 차이로까지 이어지겠지만, 영화 속의 두 주인공이 꿈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모습 만으로는 그저 이해가 될 뿐이다. 그 꿈과 상관없이 살아가는 영화 속의 인물- 남동생과 친구-처럼 현실적인 잣대로 이 둘을 보기 시작하면 깝깝하지 이를 때 없는 관계가 아닐 수 없다. 영화는 꿈 속에서 살아가는 노구의 할아버지(현실적으로 보면 치매 혹은 노망이라고 까지 봐도 무망한...)와 함께 생활하면서 정이 들어버린 철부지 아가씨에게 무어라 할 수없는 따스한 인간적인 교감을 이해하지 못할 것도 없는 영화다. 영화..거기다 영화 안의 사람들이 꿈꾸는 삶 안에 갖혀있다고 해서 무엇이 문제랴 하는 생각이 든다. 결혼을 한다는 게 이슈화 되지 않는다면 이 둘도 그냥 가족처럼 관계 지우지 말고 함께 보살피면서 살아가는 존재로 보면 관계란 어찌보면 형식적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바로 이런 면이 이 영화를 만든 감독의 의도가 아닐 정도로 착각 안에서 꿈 꾸듯이 영화는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 내고 있다. 규모가 작은 휴먼 드라마의 전형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영화로 궂이 무엇이라 의미를 지우지 말고 그냥 지나치듯이 보면 되는 가벼운 영화다. 에이 말도 안돼..꿈이잖아.. 그래도 그 안에는 살아가는 것..함께 산다는 것에 대한 아련한 질문들이 묻어나는 영화임에는 틀림이 없다. 물론 이 질문에는 그 누구든지 다르게 정답으로 볼 수 있는 답들만이 가득하다. 이누도 잇신 감독의 느리고 황당할 수도 있는 상상력이 그대로 표현되어 있는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2. 25. 07:40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128분

영어 제목 : Yellow Tears

감 독 : 이누도 잇신(犬童一心)
각 본 : 이치카와 신이치(市川森一)
원 작 : 나가시마 신지(永島慎二)
 
출 연 :  마츠모토 준(松本潤)
           니노미야 카즈나리(二宮和也)
           사쿠라이 쇼(櫻井翔)
           아이바 마사키(相葉雅紀)
           오오노 사토시(大野智)
           카시이 유우(香椎由宇)
           칸 하나에(韓英恵)  
           타카하시 마이(高橋真唯)
           스가이 킨(菅井きん)  
           시가 코타로(志賀廣太郎)
           혼다 히로타로(本田博太郎)  
           마츠바라 치에코(松原智恵子)  
           타바타 토모코(田畑智子)    
 
음 악 : 야스이 테루(安井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니 이 촌스럽게 생긴 청년들은 누구?...사전 정보 전혀 없이 본 영화 <황색 눈물>의 다섯 총각들이 일본의 꽃미남 가수를 대표하는 아라시의 멤버라고들 한다. 원래 저렇게 순박하게 생긴건지...감독의 연출력이 뛰어나서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탈 바꿈 한 것인지는 전혀 알 수 없지만, 영화 안에서 이들은 정말 영화이 안의 캐릭터 그대로 인 것 같다. 평상시에 호흡을 맞춰온 이들이라 그런지 더더욱 그런 자연스러움이 영화 전반으로 묻어 나온다. 정말 이 정도의 얼굴로 일본 열도를 꽃미남이라는 이름으로 흔들 수 있다면..일본 시장..만만 하 다.

모두들 자신의 꿈을 가진 이 할일 없는 청년 다섯명의 구질구질 동거 이야기...자신들의 꿈이 다 있지만, 자신이 지닌 재능의 한계와 현실과 만나면서 꿈이 현실에 맞게 재편된다는 진정한 루저들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듯한 영화..그것만이 충분히 매력적인 영화다.

이게 머야 라고 할 수도 있는 프랑스의 어느 시 나부랭이를 끼면서 되도 안한 소설을 쓰는 작가 지망생..달랑 기타 하나 들고 지루하기 그지 없는 가사를 남발하면서 노래를 불러대는 3류 가수 지망생, 원안 작가의 대필만화의 그림을 그려주는 만화가 지망생, 언젠가 자신의 그릠이 사람들에게 기억되리라는 기대를  가지고 사는 화가 지맹생 등...각자의 다양한 꿈이 3평짜리 좁은 쪽방에 모인다. 벌이가 없을 떈 굶고 머라도 하나 전당포에 파는 날에는 나름 포식을 하게 되는 이 미래 없는 삶을 함께 한 이들의 여름의 풍경은 자신의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자신의 꿈이 무언지를 탐험하는 20대의 젊은이들의 초상 그 자체다. 루저들은 이런 꿈꾸는 한심한 자리에서 성장하는 것이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대사  "그들이 떠나고 나면 외로울거야..." "둘이 있어도 외로운데 혼자서 외로운게 낳지 않겠어" ..라거나 "인생은 절대 사람을 속이지 않았다."라고 되뇌이는 모든 언어들이 미래가 불퉁한 이들에게 흔히 있는 유행어이다. 인생은 무엇일까 라는 탐구를 바쁜 일상 속에서 쉽게 되네이는 사람은 거의 없다. 바로 내일 그 다음이 불분명한 이들이기에 죽기 전의 삶 자체가 철학적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진정한 루저 백배의 이 영화를 .....이해하면서 웃으며 볼 수 있는건 이미 내가 30대 중반을 넘어서 인가 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생을 앞에 두고

단지 허둥대기만 하는

무능한 그리고 가련한 청춘이지만

지금 이마에 첫 주름이 생길 즈음이 되어

깨달을 수 있는 것은

인생에 대한 이 신뢰이고 이 동의이며

친구, 너에 대한 것이라면 알고 있어 라는 의미의 이 미소이다

지금이 되어서야 사람은 아는 것이다

인생은 사람을 속이지 않는다고

인생은 단 한 번도 사람을 속이지 않았다라고 

                             - 영화 속 프랑스의 어느 시 중에서 -

by kinolife 2007. 10. 26. 11:28



제 작 : ANB
방 영 : 2006년 3월 18일~19일
감 독 : 이누도 잇신(犬童一心)
각 본 : 카마다 토시오(鎌田敏夫)
원 작 : 소설 [사랑과 죽음을 응시하며]

출 연 : 쿠사나기 츠요시(草なぎ剛), 히로스에 료코(広末涼子)
          유스케 산타마리아(ユースケ・サンタマリア), 키무라 타에(木村多江)
          코유키(小雪), 오노 타케히코(小野武彦)
          요시오카 미호(吉岡美穂), 이케다 츠토무(池田努)
          무로이 시게루(室井滋), 타카하시 카츠미(高橋克実)
          야마구치 사야카(山口紗弥加), 칸다 마사키(神田正輝)
          타카하시 유미코(高橋由美子), 와시오 마치코(鷲尾真知子)
          네기시 토시에(根岸とし江), 타지마 레이코(田島令子)
          히라타 미츠루(平田満), 히라이와 카미(平岩紙)
          오오스기 렌(大杉漣), 이토 란(伊藤蘭)
          아즈마 미키히사(東幹久), 이치카와 유이(市川由衣)
          토쿠나가 에리(徳永えり)

음 악 : 미조구치 하지메(溝口肇)


영화감독으로도 많이 알려진 이누도 잇신 감독의 드라마 작품이다.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책으로도 나와 있는 원작을 드라마화 했다. 두 주인공의 사랑 이야기가 주된 이야기이다 보니 주인공들의 비중이 상당한데..머 두 말 할 필요없는 배우, 쿠사나기 츠요시, 히로스에 료코의 연기가 드라마의 가장 큰 힘이다. 당시로서는 상당히 힘든 병에 걸린 여자 주인공(얼굴이 암으로 썩어들어가는 ..정도로 이해했다.) 이 병을 이겨나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지만, 실제로는 병과 싸우다 죽는 과정을 문학으로 그리고 있는 작품으로 해석하는 편이 더 편하게 느껴졌다.

그 만큼 이 두 주인공이 주고 받는 편지가 주는 문학의 힘이 아주 크다. 병원에서 만나 서로의 병에 대해 알게 되고. 하나가 결코 고칠 수 없는 병임을 알면서 함께 싸워가는 모습..그리고 결국엔 하나를 먼저 보내야 하는 남은자의 이야기 그것 자체도 문학이지만, 이들의 사랑이 고스란히 담긴 편지는 힘든 상황을 함께 헤처가야만 하는 이들에겐 큰 힘이 될만한 문학적 힘을 지니고 있다.


시대가 조용하고, 주인공의 캐릭터가 조용하다 보니 드라마는 내내 침울한 분위기를 깔고 잔잔하게 흐른다. 어두운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삶에 대한 잔잔한 의지가 남아 있고, 드라마 속의 진지한 태도가 드라마를 보는 사람까지도 진지하게 만든다. 이 드라마의 주인공을 과거를 회상하는 시점을 두고 있어 하나가 가고 따로 남은 하나의 남은 일생을 다운 것 역시 좋다고 생각했다. 드라마를 본 지 좀 되서 기억은 아득한데... 시간이 된다면 이들의 편지를 책으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모든 사람들은 다 죽은다. 그리고 사랑을 한다. 하지만 죽음을 인지한 상태에서의 사랑이란 죽는 걸 알면서도 그걸 잊어버리고 사는 사람들보다 더 힘이 드는 게 사실이고 보통의 사람들보다 더 힘이 든 만큼이나 더 진실해 지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더더욱 이들 사이에서 오고간 사랑의 말들이 더 궁금해 진다. 드라마 안의 사랑이 어떻게 글로 씌어졌을까 궁금하다.


- 드라마 속의 명대사 - 

"만약 그 때 내가 한다이 병원으로 가지 않았더라면 미코와는 만나지 못했을 것이다. 

만약 그 때 미코가 야구 중계를 듣고 있지 않았더라면

만약 그 때 나와 미코가 한신 팬이 아니었더라면

만약 그 때 한신의 나미키가 역전 3점 홈런을 치지 않았더라면

만약 그 때.. 만약 그 때..

만약 그 때....


그게 나와 미코의 첫만남이었다

수많은 '만약'이. 나와 미코를 만나도록 한 것이다"


"병원에 오래 있다 보면 성격도 나빠지는 법이거든"


"희망이 있을 거라 여기는 환자의 마음 한 켠엔 절망이 있을 수도 있고, 

절망적인 말을 하는 환자의 마음 한 켠엔 희망이 있을 수도 있는 거네 .

병을 치료하는 것만이 의사의 역활은 아니야

환자와 함께 투병을 해 나가는 것도 의사가 할 일이네"


"난 익숙해지기 싫어. 환자들의 괴로움에 환자들이 죽어가는 것도 거기에 익숙해지면 의사는 끝이야"


"목숨에 끝이 있기 때문에 사람은 누군가를 사랑하는 걸 거야

사람 만이 자신의 죽음을 자각한 순간 혼자선 살아갈 수 없는 연약한 존재이거든

그래서 사람은 '사랑'이란 걸 발명한 게 아닐까"


"당신에게 가르쳐주고 싶어요 가끔 사람에겐 슬픈 거짓말을 해야 할 때가 있단 것을요."



by kinolife 2007. 1. 2. 23:3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