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는 때론, ‘음악’이라는 단어보다 정겹고 그 역사도 오랜 것처럼 느껴진다. 이렇게 두 단어는 같은 의미로 쓰일 때가 많음에도 발생하게 되는 이런 차이는 단순히 단어가 가지고 있는 느낌일 수도 있을 것이다. 노래는 편안하고 일상적이며 음악은 학문적이고 무거운 느낌, 이 단어의 느낌 중에서 ‘노래’는 어떤 모습으로 우리 곁에 있으며 우리와 함께 의미 지워질까? 답답한 도시 속에서 울려 퍼지는 노랫가락은 갑작스럽게 그런 노래 그것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
지난 화요일 지하철 2호선 선릉역에는 지하철 문화사업단에 소속된 에콰도르의 전통 음악단인 시사이(SISAY)의 조촐한 공연, 콘서트 아니 음악회가 있었다. 바쁘게 퇴근하는 사람들의 발길을 잡은 이 노랫가락은 이국적인 음색이 호기심을 자극한 것일지도 있겠지만, 그것에 앞서 낯선 공간에서 울려 퍼지는 소리의 파장이 먼저 귀를 자극했을 테고, 그 자극을 받는 뇌는 호기심으로 이어져 시선 역시도 그 소리가 울려나는 곳으로 자연스럽게 옮겨 놓았을 것이다. 이렇게 노래는 사람들의 감각을 자극하면서 일상을 일깨우면서 관심과 사랑을 갈구한다.
한마디로 말해 에콰도르 음악단 사사이의 음악은 음악의 질, 혹은 수준으로 평가한다면 그리 높은 점수를 줄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즉석의 공간에서 호기심에 가득찬 흥분의 감각이 믹싱이 된 상태가 아니라면, 스튜디오로 녹음이 된 그들의 음악은 그렇게 매력적인 수준을 가지고 있진 않은 것 같다. 그건 순전히 필자의 개인적인 편견이자 독설일지도 모르겠지만 이미 7-8년 전에 들었던 ‘로스 잉카스(Los Incas)’의 앨범들과 폴 사이먼의 라이브를 통해 들었던 ‘우르밤바(Urubamba)’의 선율은 이들의 음악적 선배로써가 아니라 음악에 계단이 있다면 그 단계의 차이가 어떤 것인지를 알게 된 지표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마치 잉카의 언덕의 아래와 봉우리의 차이라고 할까. 적어도 예전에 직접 들었던 안데스의 소리는 이들의 음악처럼 들떠 있다든가 하는 류의 가벼운 느낌을 주지는 않았다. 로스 잉카스 이후의 안데스 소리는 전통이나 그 나라의 땅에서 나는 흙 냄새, 잊혀진 세월의 향기 보다는 오랜 시간 동안 유럽과 아시아를 떠돌면서 유랑하면서 썪이고, 변하고 새롭게 자신을 변화시킨 흔적이 역력하다. 그래서 깊이 이전에 쉽게 다가오고 또 쉽게 잊혀지기 쉽다. 하지만 그런들 어떠하리, 좁고 먼지 많고, 발걸음 빠른 사람들이 넘쳐나는 지하철에서 그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하고, 잠시 머무르게 하고 그들의 시간을 이 짧은 음악에 묶어 둘 수 있다면 그것으로 족한 것이 아닌가? 그렇듯 노래는 떠돌이처럼 떠 돌고 떠돌이처럼 사람들 곁에 머물고 또 떠나고 그런 것이 아닌가. 이런 음악을 곁에 두는 것도 듣는 이들이고, 멀리 보내는 것도 듣다가 이젠 듣지 않는 이들이다.
멀리서 이름 모를 나라의 좁은 지하철 공간을 이용해 노래하고 자신의 시디와 악기들을 판매한 수익으로 또 노래하는 이들, 제 3세계 그것도 낯설다면 한 없이 낯선 안데스의 음악을 들으면서 우리 가수 김목경을 생각한 나는 단순히 음악적 현학, 아니 잡다한 지식이 많은 한 사람일까? 그래 그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난 이들이 목청 놓아 노래하고 숨죽여 호흡을 맞추고 악기를 다듬는 사이 사이 김목경이라는 우리 가수를 쉽게 지우진 못했다. 이상하게 이들과 쉽게 오버 랩 되는 그림 하나, 김목경이 영국의 차가운 스모그 아래에서 우리 식으로 통기타를 치고 우리말로 때론 영어를 썪어가며 노래했을 그 핏대 선 목줄기가 떠 오르는 건 어쩌면 이 먼 타국에서 노래하는 시사이처럼 떠돌며 노래하는 이들의 이력이 닮아서인지도 모르겠다. 아니 확실히 그럴 것이다. 방랑하듯 떠돌고, 노래하고 또 노래하고…이렇게 노래하는 이들의 유랑이야 말로 노래가 사람에 의해 불려지고 사람에 의해 듣겨서 또 불러지고 전해지고 했을 거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지하철에서 노래하는 에콰도르의 시사이나 영국에서의 김목경이나 뭐가 다르겠는가? 라는 생각을 아주 쉽게 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전혀 연관이 없는 이 둘의 모습에서 아주 쉽게 떠돌아다니는 노래의 본질과 만날 수 있다. 떠돌이처럼 떠도는 노래의 모습을 말이다. 그 곳, 혹은 이 곳에서 노래하는 이들의 마음이야 다 다르겠지만 그 모습, 노래의 한 일면을 보고 그런 유랑의 굴곡이 담긴 노래를 드는 이들의 마음에서는 그리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한국의 사사이나 영국의 김목경이나 말이다.
노래에는 원래 이렇게 방랑의 습성이 있는 것 같다. 아니 방랑해야만 살아남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음악을 들은 이들의 귀를 통해 전달이 되고 또 다시 그들의 입을 통해 또 전달이 되고, 이러는 사이 노래는 자연스럽게 사람들 사이에서 유랑하는 것이 아닐까?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 사이를 떠 도는 것이 이른바 히트곡이고, 이보다 더 시간을 초월하고 장소를 초월한 음악들이 명곡으로 남아 수많은 시간과 사람들에게 불려지고 들려지고 그러는 것이 아닐까? 작곡가와 가수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그 이후의 음악은 작곡가의 손을 떠나 또 가수의 입을 떠나 CD로 저장이 되어 자기만의 유랑을 떠나야 하지 않나. 모든 것이 그렇듯 부모의 곁을 떠나 스스로의 위치를 잡아야만 온전한 하나의 독립적 존재가 되듯, 노래도 만들어 지고 만들어진 곳을 떠나 다른 사람들과 부대끼며 자신의 가치를 가지는 것 같다. 세상의 모든 것처럼 노래도 그러하다.
빠듯한 하루 하루, 어느 하루도 다를 수 없이 반복되는 이 분주함 속에 울려퍼진 시사이의 음악과 시디에 담긴 “철새는 날아가고(El Condor Pasa)”를 들으면서 김목경의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를 떠 올린 날, 이렇게 낯선 땅에서 불려진 노래처럼 떠돌고 다시 집으로 오고 시디로 남아 어디로 어디로 또 떠나는 노래를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노래처럼 나도 집을 떠나 일터로 갔듯이 다시 나의 집으로 돌아가는 짧고 반복적인 생활 속에 노래랑 닮은 삶의 한 모습을 떠 올려본다. 그래서 노래가 고맙고 또 노래하는 이들의 고뇌가 의미 있게 보인다. 떠돌이 같은 노래, 나그네 같은 인생이 그렇게 딱딱한 도시를 스쳐가는 2002년 월드컵 전의 오월이다.
이 글은 제가 2002년 6월에 www.kpopdb.com에 기고한 글입니다.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