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지난 화요일 지하철 2호선 선릉역에는 지하철 문화사업단에 소속된 에콰도르의 전통 음악단인 시사이(SISAY)의 조촐한 공연, 콘서트 아니 음악회가 있었다. 바쁘게 퇴근하는 사람들의 발길을 잡은 이 노랫가락은 이국적인 음색이 호기심을 자극한 것일지도 있겠지만, 그것에 앞서 낯선 공간에서 울려 퍼지는 소리의 파장이 먼저 귀를 자극했을 테고, 그 자극을 받는 뇌는 호기심으로 이어져 시선 역시도 그 소리가 울려나는 곳으로 자연스럽게 옮겨 놓았을 것이다. 이렇게 노래는 사람들의 감각을 자극하면서 일상을 일깨우면서 관심과 사랑을 갈구한다.
멀리서 이름 모를 나라의 좁은 지하철 공간을 이용해 노래하고 자신의 시디와 악기들을 판매한 수익으로 또 노래하는 이들, 제 3세계 그것도 낯설다면 한 없이 낯선 안데스의 음악을 들으면서 우리 가수 김목경을 생각한 나는 단순히 음악적 현학, 아니 잡다한 지식이 많은 한 사람일까? 그래 그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난 이들이 목청 놓아 노래하고 숨죽여 호흡을 맞추고 악기를 다듬는 사이 사이 김목경이라는 우리 가수를 쉽게 지우진 못했다. 이상하게 이들과 쉽게 오버 랩 되는 그림 하나, 김목경이 영국의 차가운 스모그 아래에서 우리 식으로 통기타를 치고 우리말로 때론 영어를 썪어가며 노래했을 그 핏대 선 목줄기가 떠 오르는 건 어쩌면 이 먼 타국에서 노래하는 시사이처럼 떠돌며 노래하는 이들의 이력이 닮아서인지도 모르겠다. 아니 확실히 그럴 것이다. 방랑하듯 떠돌고, 노래하고 또 노래하고…이렇게 노래하는 이들의 유랑이야 말로 노래가 사람에 의해 불려지고 사람에 의해 듣겨서 또 불러지고 전해지고 했을 거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지하철에서 노래하는 에콰도르의 시사이나 영국에서의 김목경이나 뭐가 다르겠는가? 라는 생각을 아주 쉽게 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전혀 연관이 없는 이 둘의 모습에서 아주 쉽게 떠돌아다니는 노래의 본질과 만날 수 있다. 떠돌이처럼 떠도는 노래의 모습을 말이다. 그 곳, 혹은 이 곳에서 노래하는 이들의 마음이야 다 다르겠지만 그 모습, 노래의 한 일면을 보고 그런 유랑의 굴곡이 담긴 노래를 드는 이들의 마음에서는 그리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한국의 사사이나 영국의 김목경이나 말이다.
빠듯한 하루 하루, 어느 하루도 다를 수 없이 반복되는 이 분주함 속에 울려퍼진 시사이의 음악과 시디에 담긴 “철새는 날아가고(El Condor Pasa)”를 들으면서 김목경의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를 떠 올린 날, 이렇게 낯선 땅에서 불려진 노래처럼 떠돌고 다시 집으로 오고 시디로 남아 어디로 어디로 또 떠나는 노래를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노래처럼 나도 집을 떠나 일터로 갔듯이 다시 나의 집으로 돌아가는 짧고 반복적인 생활 속에 노래랑 닮은 삶의 한 모습을 떠 올려본다. 그래서 노래가 고맙고 또 노래하는 이들의 고뇌가 의미 있게 보인다. 떠돌이 같은 노래, 나그네 같은 인생이 그렇게 딱딱한 도시를 스쳐가는 2002년 월드컵 전의 오월이다.
이 글은 제가 2002년 6월에 www.kpopdb.com에 기고한 글입니다.
'All That Music > 남의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듣기]사막의 목소리-세젠 아쿠스(Sezen Aksu) (0) | 2006.11.21 |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