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분위기.. 따뜻한 사람들..그리고 그들 사이에 차를 우리내 내리고 나누는 시간이 흐른다.
매일 매순간이 차를 만나면서 즐겁다..인생이 그렇다는 걸 그냥 흐르듯이 보여주는 영화..지루하기 딱 좋지만..그래서 느긋하고 푸근해서 좋았던 영화..
일본영화에서 하나의 장르로 자리 매김하는 것 같은 이런 사변적인 영화가 많기도 하고 편하게 보기에도 좋고....
키키 키린을 보는 것 만으로도 좋은....
- 영화 속 명대사 -
"세상에는 ‘금방 알 수 있는 것’과 ‘바로는 알 수 없는 것’ 두 종류가 있다. 금방 알 수 있는 것은 한 번 지나가면 그걸로 충분하다. 하지만 바로 알 수 없는 것은 몇 번을 오간 뒤에야 서서히 이해하게 되고, 전혀 다른 존재로 변해간다. 그리고 하나씩 이해할 때마다 자신이 보고 있던 것은 지극히 단편적인 주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차’라는 건 그런 존재다."- 노리코
"비 오는 날에는 비를 듣는다. 눈이 오는 날에는 눈을 바라본다. 여름에는 더위를, 겨울에는 몸이 갈라질 듯한 추위를 맛본다. 어떤 날이든 그날을 마음껏 즐긴다. 다도란 그런 ‘삶의 방식’인 것이다."-노리코
"같은 사람들이 여러번 차를 마셔도 같은 날은 다시 오지 않아요. 생의 단 한 번이다 생각하고 임해주세요"-다케타
카텔란만 보기에는 조금많이 아쉬어 같은 공간에서 상설로 전시되고 있는 리움 소장 고미술 전시회..
나는 개인적으로는 이 전시회가 이 곳의 작품들이 더 좋았다.
정조의 필체를 보는 놀라움이나 시대를 거슬러 거슬러 올라가는 생활예술에 눈을 껌뻑였다.
시간의 힘이 전해주는 울림이라기보다 그 시간을 뛰어넘은 아름다움과 우아함이 공간 곳곳에 흘러 넘쳤다.
많은 작품들이 좋았지만, 나는 정선의 이 그림 앞에서 꽤 시간을 들여 서 있다.
품위있고 고급스러움..노송에 대한 천재의 감탄이 느껴졌다. 현재의 유행과 유행을 지나 한 시대의 궤적이 된 작품들을 함께 본 눈이 너무 호사로웠던 하루였고.. 안다고 하기에는 아는 것이 없고 모른다고 하기에는 너무 유명한 정선을 영접한 기쁨을 누렸다. 자세히 찾아보니 제목 노백은 잣나무라 한다. 소나무와 잣나무의 외관이 비슷해서 한국화에서는 흔히 둘을 비슷하게 보기도 한다니... 노송에 대한 나의 이미지가 완전히 틀린 건 아니었다.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서 리움미술관의 바닥공사를 했다는 신문기사를 통해 접하게 된 전시회..
근저 가장 이슈가 되는 작가라고 하지만 낯설고..그의 작품들은 더 낯설게 느껴졌다. 이유가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내가 생각하는 이유는 이 전시회를 보는 내가 좀 낡았고 늙어가고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평일 오후에도 꽤 많은 젊은이들이 전시회를 즐긴다고 해도 좋을만큼 즐겁게 관람을 하고 있었으니까..
리움의 바닥에 손을 대게 한 작품... 바닥을 뚫고 바닥 위를 보이는 이 아저씨를 통해 무슨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을까...
실제 말을 달아둔 것 같은데... 달리지 않는 말에 대해서 축 늘어진 형태 만큼이나 무언가 괴기스러운머도 안타까움을 느꼈다. 몸의 무게에 비해 너무 가느다란 다리 또한 무겁게 느껴지기도....
유일하게 타이틀이 기억에 나는 작품..
가족
이 작품도 그렇고 다른작품들도 그렇고 카텔란은 인종을 넘어서고 성별을 넘어서고 그 존재의 형식을 넘어선 공존에 관심이 많은 작가인가 생각했다. 약간의 유머가 갸우뚱을 전해주었던 작품세계... 관람자는 늙고 작가는 너무 싱싱하다고 해야하나..그런 생각이 많이 들게 했던 전시회였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