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출간일 : 2004.12                                                                 제작 년도, 제작국 : 2006년, 한국
                                                                 
글쓰고 그린이 : 강풀                                                                  감 독 : 안병기
출판사 : 문학세계사                                                                   각 본 : 안병기, 이소영, 조무상        
                                                    
                                                                                              출 연 : 고소영, 강성진, 장희진, 박하선,                                                                                                         유민, 김동욱       
                                         
                                                                                              촬 영 : 윤명식
                                                                                              음 악 : 오봉준

아파트...가장 편리하고 윤택해 보이지만, 가장 획일적인 주택 공간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주거환경이다. 우리나라 같이 땅은 좁고 사람이 재산인 나라는 어쩔 수 없이 많이 선택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인지도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공간에 대한 현실적인 낙담에 얻혀진 정감없는 모습에 그닥 매력을 느끼지 못한 주거 환경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그런 아파트 라는 일반적인 환경을주 무대로 벌어지는 강풀의 만화 아파트를 한국의 공포영화의 기린아라고할수 있는 안병기 감독이 2006년도에 영화로 만들었다가말 그대로 쫄딱 망했다. 아파트 값은 폭등해도 영화는 폭락해 버린 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강풀의 만화는 혼자밖에 없다는 외로움으로 서서히 피를 빼서 자살해버린 한 여자의 극명한 고독을 같은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에게 전이시키면서 연이어 사고나 자살이 이어지는 아파트의 기괴한 사실을 쫒아가는 백수의 인정어린 눈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강풀의 아이디어는 비교적 감성적인 면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을 정도로 외로울 수 밖에 없었던 한 인간에 대한 애잔함이 만화 곳곳에 묻어 있어서 비교적 썰렁해 보일 수 있는 작가의 의도대로 충분히 공포스럽기 보다는 조금 공포스럽고 많이 아픈 만화로 마무리 된다. 그런 아파트에서의 연쇄 사건....을 안병기는 현실적인 모토 안에서 연쇄 살인사건으로 치화해서 몇가지 변형을 주었다.

만화 속의 백수 청년은 인테리어 그 중에서도 매장의 DP를 중점으로 하는 캐리어 우먼으로 환치 시켰으며, 죽은 여자의 혼을 멀쩡한 남자의 몸을 통해서 연쇄 살인하는 것으로 극화 했다. 물론 그 살인의 배경에는 극도의 외로움이 아니라 혼자 남은 어린 소녀를 강간하고 협박하고 괴롭히고 폭력을 행사한 사람들 이른바, 아파트 주민들에 대한 복수로 그려놓아 인과 관계를 만들어 두는 변화를 주었다. 덕분에 내용은 말이 되는 것처럼 변화 되었지만 만화에서 느낄 수 있는 답답한 외로움이나 안타까움은 영화의 스크린 밖으로 사라져 버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파트 주민들의 악행에 대해서 처음엔 선의였으나 점점 더 악행으로 변환되어 가는 구체적인 이유 설명이 불분명하고(강간한 대학생이나 그의 엄마의 폭행 정도만이 설명이 되고...) 소녀를 상대로 신약을 실험하는 의사의 경우도 쉽게 이해할 수가 없다. 시간대를 과거의 회상과 현실로 썪어 둔 것 역시 현실적인 구사법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고 임의로 만들어 둔 인과 관계는 꼬이기만 할 뿐 명쾌한 답을 내포하고 있지 않아 보여서 그닥 극 안에 몰입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럼 결과적으로 영화보다 만화가 좋았다? 꼭 그렇다고 말할 수도 없는게 본 작품은 강풀의 여느 만화보다 재밌게 본 작품은 아니었다. 다르게 말하면 아파트라는 공간감이 적극적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충분히 매력적으로 이야기감이 되는 것인가 의구심이 들었다는 것이다. 원작에는 소소한 재미나 작은 긴장감이 주는 매력은 있지만 그것이 과연 영화로 만들어졌을 때 시너지를 넘어서는 폭발력이 있을 수 있었을까? 궂이 이 작품을 원작으로 삼아 영화로 만들 필요가 있었을까...라는 생각이 쉽게 들었다. 만화가 외로움과 죽음...슬픔의 전이라고 했을 때 그 사건의 근간이 되는 아파트라는 공간이 원인이면서도 문제 해결의 열쇠였음을 보다 영화 속의 공간감으로 풀어 낼 수 있는 묘안은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만이 생긴다. 고소영의 연기도 그닥 입을 댈때도 없지만 그닥 칭찬할 바도 없는 애매한 경계에 서 있고, 단순히 주인공의 무능력함으로 덮어버리기엔 영화가 가지고 있는 자체의 매력이 많이 떨어져 보인다. 스스로 문구용 칼로 살을 찔러대던 영화 초입의 자살녀는 왜 나온 것인지....아직도 그 이유에 대한 확신이 생기지 않는데 공포 영화만이 가지고 있는 어떤 연결고리를 내가 못 읽은 것인지..조금 답답하기도 하다. 극도의 잔인함도 대단한 인간적인 매력들도 없는 영화 속의 캐릭터는 감성 없이 사실로만 포장되어 버린 공포영화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줘 아쉬움이 큰 작품이다. 강풀의 조금 더 좋은 작품이 아주 좋은 영화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면 좋겠다는 작은 기대감만이 남는 순간이다.
by kinolife 2008. 2. 16. 01: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