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9년, 107M, Color
감독: 이치카와 곤(市川崑)
주연: 쿄 마치코(京マチ子)  
       가노우 준코(叶順子)
       이카다이 타츠야(仲代達矢)  
       니카무라 간지로 (中村鴈治郎)  
       기타바야시 타니에(北林谷栄)

역시나 '욕망'은 인간 관계에 있어서 힘과 연동되는 심리적, 육체적 관계를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 더군다나 이 단어가 '성(性)'과 짝을 이룰때는 더 묘한 확정성을 갖는 것임은 틀림이 없다. 50년대 말 일본을 대표하는 거장 감독 중 한명인 이치가와 곤에 의해 만들어진 영화 <열쇠 (鍵)>는 그 처절한 '욕망의 관계' 속에 숨겨진 인간의 성적인 커넥션과 성적인 욕망으로 묘사되어 온 사랑 하고 싶음, 혹은 사랑 받고 싶음, 무언가를 가지고 싶음, 혹은 빼앗고 싶음에 대한 관계설정에 대한 묘한 매력을 남기는 영화다.

초로의 고미술 감정가 겐모치와 그와는 상반되게 어려보이는 중년 부인 야쿠코, 그리고 어딘지 모를 애매모호한 성격을 지닌 딸 도시코와 그녀의 약혼녀이자 의사인 기무라. 이 네명을 둘러싼 욕망의 관계는 여느 미스터리 물에서 찾아볼 수 있는 흔한 교차편집으로 궁금즘 유발함은 물론. 이들 간의 관계를 알려주며 풀어지는 영화의 열쇠들은 영화에 흥미를 더해 준다. 겐모치는 자신의 성적 흥분을 배가 시키기 위해 부인 몰래 정력 증진 주사를 맞으면서 동시에 자신의 딸과 정략 결혼을 생각하고 있는 예비 사위 기무라와의 관계를 발전시킨다. 이른바 질투요법. 목욕 이후 나신의 아내를 기무라에게 맡기는가 하면, 자신이 찍은 부인의 나체 사진의 인화를 기무라에게 부탁 하면서 이들 각각의 목적에 충실 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하게 한다. 이른바. 일본식 헨다이의 순진한 한 형태일지도 모르겠으나 겐모치는 자신이 행할 수 없는 성적 만족을 부인의 외도를 통한 대리 충족으로 위안을 삼는다. 부인 이쿠코는 남편의 뜻을 따른다는 명목 하의 성적인 탐닉에 빠져들면서 부인할 수 없는 성적욕망을 즐기며, 겐모치의 예비 사위인 기무라는 명망 높은 어른을 장인으로 두면서 자신의 출세에 도움이 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함은 물론 성적으로 능숙한 부인과의 섹스 역시 궂이 피할 이유는 없는 장사에 기꺼이 동참한다. 여기서 사건을 즐기는 겐모치와 그 안에서 성적인 탐닉에 빠지는 중년 부인과 젊은 의사의 성적 유희는 주인의 묵인하에 이루어지는 당연한 놀이. 이들 관계에서는 성적인 욕망을 차지한 승자들의 게임만이 이어진다.


하지만, 게임이란 언제나 승자 뒤에 패자가 있기 마련, 이렇게 세 명의 관계 속에서 성적 욕망이 꽃 필 무렵, 이들 관계에서 배제된 딸 도시코는 자신의 약혼자와 엄마와 벌어지는 성적 관계와 이 모든 것을 주도, 방관하는 아버지 모두에게서 버림받은 절대적인 패자로 부각된다. 사건의 종말은 역시 이 독기에 찬 패자의 결단으로 마루리 되기 십상이지만, 이치카와 콘은 여기에다 별로 주목할 것 없어 보이는 할머니 가정부의 어눌함을 통해 이 성과 욕망을 둘러싼 게임에서의 절대 승자나 이 모든 것을 처단할 극단적인 패자의 용기 따위를 허락하지 않는 연출의 치밀함을 보여준다. 빨간색의 농약통과 녹색의 조미료통의 애매모호함과 할머니의 색맹, 그리고 통 안의 내용물을 바꾼다는 복합적인 복선과 에피소드들은 절대적인 약자의 강자 퇴치와는 전혀 다른 결과를 낳으면서 인간의 욕망의 끝이란 어떠한 목적과 의미를 담고 다른 과정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허무하게 끝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자신의 성적인 욕망을 위해 자신의 사위와 아내를 연결하는 남편, 딸과 결혼할 사위임을 알면서도 관계를 가지는 엄마, 장인의 건강 상태를 알면서도 주사를 놓으며 성적인 욕망을 부추키는 사위, 이 모든 사실을 알면서 어느 누구와도 소통하지 않으며 이들 모두에 증오심을 가지고 있는 딸...이 넷의 얽히고 섥힌 관계 사이에 내재된 성은 인물의 위치에 따라 굉장히  이기적이면서도 피동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대부분의 성관계가 피동적일 뿐 아니라 성적인 대상의 주체에 따라 자율적일수도 있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욕망은 주변에서 받기도 하지만 그걸 통해 안에서 분출하는 것임을 역시 숨길 수가 없다.

그래서 영화 <열쇠> 속의 성이란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한 절대적인 수단이며 그 절대적인 이유는 모든 관계를 목잡하게 얽히게 해 욕망의 처절하면서도 추한 모습을 이끌어 낸다. 영화 말미, 늙은 가정부의 혼돈으로 인해 모두 죽음으로 맏는 결말은 블랙 코미디의 한 진수, 이른바 각자가 성적인 욕망에 도취된 자신의 잘못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주인공들의 우매함은 영화의 발단 자체가 흥미로웠듯이 그 뻔한 결과에도 힘 빠지지 않은 이치카와 콘의 재치를 엿 볼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 영화는 일본의 탐미화 문학의 거장인 다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의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로 이치카와 콘의 전성기 때 제작 되었으며 이후에도 구카시로 타츠미와 와카미츠 코우지, 이케다 토시하루 같은 후배 감독들에 의해 다시 제작되기도 했던 작품이라고 한다. 일본의 대표적인 탐미 문학 속에 표현된 인간의 성은 굴절된 인간성과 분별없는 욕망에 대해 솔직하면서도 냉정하게 그리고 있으며 이치카와 콘은 여느 추리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다각적인 영화적인 시점을 통해 흥미롭고도 새로운 방식으로 영화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그의 개성있는 연출의 묘미를 충분히 맛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by kinolife 2006. 9. 27. 23:57

일단 저렴하게...(가만히 생각하니 상대적으로 싼것이지 시간이 지나니 비쌌다는 생각이 좀 드는 -_-) 아무튼 귀여운 고양이 동전지갑. 친구가 살고 있는 집 앞에 있는 캐릭터 샵에서 구매했는데 역시 일본인들의 아기자기한 면모를 볼 수 있는 물건이다. 인생 처음으로 떠난 일본여행에서 구입한 이 동전지갑의 가격은 10.000원정도 였던 것으로 기억이 나는데, 천으로 짜여진 듯한 천에 위 캐릭터는 수로 놓여 있니다. 입 모양 부분에 자꾸가 달려 있어서 열고 닫고 사용하게 되어 있고, 귀 중간에는 가방이나 다른 곳에 달기 좋게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도 있다. 지금은 신랑, 카메라 가방에 달려 있는데 결국은 동전 지갑이 아니라 그냥 캐릭터 인형으로 변해버린 셈이다.

'All That My Life > My Shopping & Collec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 일본출장 선물  (0) 2006.09.29
[생일선물] 양념장  (0) 2006.09.29
[TOY] 스파이더맨 저금통  (1) 2006.09.27
[CD]지난주의 CD들  (0) 2006.09.25
[티팟]ZEN 티팟과 그릇들...  (0) 2006.09.21
by kinolife 2006. 9. 27. 23:50

벌써 2-3년 전인듯 싶은데, 대구의 중기 오빠가 서울 온 기념으로 사 주신 저금통. 앞 모습이 조금은 거만해 보이는데 그 모습이 귀엾다. 저금통의 뒷 모습도 적지 않게 앙징맞은 편. 이 저금통의 크기는 생각보다 돈을 많이 모을 수 있을 만큼의 크기는 아니지만 폭이 10 Cm 정도가 되니까 적은 편은 아니고, 빨간 색깔이 정열적이고 스파이더 본연의 색감이 잘 살아있는 편이다. 보기보다 딱딱해 견고한 느낌을 주기도 하는데, 혜화동에 있는 동숭아트센터 내의 캐릭터 샵에서 구매했는데 가격은 35.000원. 그 샵에는 다양한 영화, 애니메이션 관련 캐릭터들이 많이 있다. 가게는 조그마하지만 쓸만한 물건들이 대부분의 가게를 메우고 있는 독특한 가게로,  일부는 수입품이고 일부는 국내 제작으로 보이기도 하는 제품들이 많은데 퀄러티가 높다보니 가격이 좀 비싸지만 물건을 구매해 보고 있으면 그리 나쁜 가격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아래 그림은 이 놈이 뒷모습 ^^

by kinolife 2006. 9. 27. 23:48
"언젠가 남편이 그랬다.
사람은 누구나 스스로 건너야 할 자신의 사막을 가지고 있는 거라고.
사막을 건너는 길에 나는 오아시스를 만났다. 푸르고 넘치는 물. 풍요로움으로 가득찬 오아시스를 지나 나는 이제 그 사막을 건너는 법을 안다.
한때 절망으로 울며 건너던 그 사막을 나는 이제 사랑으로 건너려 한다.
어린 새의 깃털보다 더 보드랍고 더 강한 사랑으로.."-정인(최진실 분)
by kinolife 2006. 9. 27. 23:37
"당신은 나를 더 좋은 남자가 되게 만듭니다."- 멜빈(Jack Nicholson 분)
by kinolife 2006. 9. 27. 23:36
"우리는 매우 닮았어. 그래서 네가 날 잡을 수 있었던거야.
공포는 상상력의 댓가야.
그게 없으면 우리도 남들과 똑같아."-한니발 렉터박사(Anthony Hopkins 분)
by kinolife 2006. 9. 27. 23:34
" 전 사랑에 빠졌어요. 치료약은 없어요, 선생님.. 치료되고 싶지 않아요.. 계속 아프고 싶어요.. 전 사랑에 빠졌어요" -마리오(Massimo Troisi 분)
by kinolife 2006. 9. 27. 23:33

"세상은 허용하는 것만 받아들입니다."

by kinolife 2006. 9. 27. 23:32
글: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J.D Salinger)
번역: 공경희
출판사: 민음사
2002.09.05 초판 12쇄
민음사-세계문학전집-047

존 레넌을 저격했다는 저격수가 들고 있었다는 그 소설 책...
읽은지 한 참이 지났지만 지금고 영국의 우중충한 날씨같은 소설의 분위기는 습한 기온 처럼 느껴진다. 그렇게 재미있지 않았지만 웬지 끝까지 일어야만 할 것 같은 기운이 맴돌던 소설책의 전형이었다.

- 책 속의 문구 -

"이 곳의 12월은 마녀의 젖꼭지처럼 춥다."

"내가 왜 달리고 있는지는 몰랐다. 그저 달리는 것이 좋다고 느꼈던 것 같다. 길을 다 건너자 내 모습이 사라지는 것 같다고 느꼈다. 그 날은 정말 이상한 오후였다. 끔찍할 정도로 추웠고, 햇빛도 비추지 않는 날이었다. 그래서 길을 건너면서 점점 자신의 모습이 사라지는 것 같다고 느꼈던 것이다."

"뉴욕이란 곳은 누군가가 이렇게 밤 늦은 시간에 거리에서 웃음을 터트리는 순간부터 삽시간에 무시무시한 곳이 되어버린다. 멀리 떨어진 곳가지 그 소리가 울리기 때문이다. 그것이 더욱 더 사람을 외롭게 만들고, 우울하게 느끼게 한다."

"누구에게든 아무 말도 하지 말아라. 말을 하게 되면, 모든 사람들이 그리워 지기 시작하니까."
by kinolife 2006. 9. 27. 13:22
2003년, 한국, 118분
감독: 장준환
출연: 신하균
       백윤식
       황정민
       이재용
       이주현
       기주봉


지구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지구의 사람들은 언제부터인가 벌써 맛이 가기 시작했다. 영화 <지구를 지켜라>는 이런 고통 속에 몸부림 치는 지구와 그 위에서 발을 디디고 선 인간들의 문제를 희화화해 한국적 SF적 상상력을 총동원한 코미디 형식의 문제성 영화다. 영화 속에서 외계인들의 눈으로 비쳐지는 지구는 환경오염으로 얼룩진 죽은 땅이며, 전쟁과 폭압으로 얼룩진 비평화의 공간이며, 자본의 지배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머니압박의 무중력 공간이다. 이런 불균등과 이기주의는 자기를 지키기는 커녕 스스로는 망가트리는 보이지 않는 압박이며, 그것을 인식하지 못한 이들에게는 더 없는 재앙이다. 역시 무지는 해결책이 없는 병이자, 죄다. 그래서 인간은 끊임없이 자신을 부수어야 한다. 더 배운이가 시작하고, 더 가진이가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런 자의식은 감독의 정신세계를 거쳐 영화 곳곳에 남아있는 주제의식이기도 하다. 감독 장준환은 이런 사회 의식을 황당하지만 신선미 넘치는 이야기로 풀어내며,결코 웃을 수 없는 지구 지킴이 병구와 순이를 통해 질문과 동시에 피해갈 수 없는 대답을 던져준다. 과연 이 영화 속의 질문과 감독의 대답을 피해 어떠한 개인적인 결론을 낼 수 있을까. 정말이지 병구마저 죽고 만 이 공간에서 살아남은 이는 지구를 지킬 수 없을까! 그렇게 미약한 인간들만이 남아 있는 것일까?

영화의 티져 포스터를 처음 본 것은 서울의 어느 극장 포스터 소개란이었다. 영화가 개봉되기도 6개월 전이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어디서 또 이런 이상한 어린이용 영화를 만들고 있나? 이 정도로 생각이 미쳤지만, 제작자가 차승재인걸 보고 어! 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영화가 개봉되고 참혹하게 관객에게 유린되고 결론을 말하지 않는 지인들을 통해 궁금증을 더해갔다. 몇 번의 휴일이 지나도 여유가 생기지 않던 이 영화로의 접근은 연이은 연휴를 통해서만이 가능했다. 그때는 이미 쑥스럽게도 한해를 넘긴 다음이었다. 어두운 조명 속에 가려진 감독의 메세지가 지루함을 전해주는 메세지로 머물수도 있었겠으나, 영화가 끝난뒤의 이상한 여운은 재미가 있다 없다가 아니라 대단하다!라는 말로 이어지니, 말 그대로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정치의식과 사회의식 가득한 블랙 코미디가 아닐 수 없었다. 지구는 안드로메다 왕자의 손아귀에서 놀아났지만, 그 외계인이나 지구인이나 별반 다를바 없었으며, 그들의 차이없음 사이에서 지구는 고스란이 숨통을 죄며 괴로워하고 있음이다. 역시 지구인이 지구를 지키는 것도 안드로메다 왕자가 지구를 지키는 것도 아닌, 정의와 순수함만이 지구를 지켜낼 수 있었겠지만 이 두 단어는 더 이상 지구에서 통용되지 않는다. 지구는 이미 죽어가고 있다.
영화는 진짜 외계인을 찾아서 죽이는 것으로 어머니로 대표되는 지구를 구하려는 병구와 그런 병구에게 납치당한 안드로메다 왕자 강사장의 사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외계 침투세력인 외계인은 지구인 중에서도 권력으로 대표되는 파워를 가져 지구인의 적이 아닌 병구에기만 국한되는 원한의 적으로 한정되면서 다각화된 의미를 가진 싸움으로 이미지화된다. 영화 종반부까지 과연 이 영화의 주인공이 미쳐버린 데다, 힘도 없고 멋있기는 커녕 엑스트라한테 빰이나 맞는 어설픈 주인공인가 의아해 하던 관객들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에 가까운 안드로메다 왕자의 또 다른 파워를 통해 힘빠지는 결론과 함께 주인공 병구를 영화 끝가지 지지하지 못한데 대한 무거운 숙제를 넘겨 받는다. 단순히 뒤집기가 일품이었던 결론 때문에 놀라운 것이 아니라 이 결론이 전해주는 다양한 주제의식이 이 영화를 놀랍게 하는 것이다.

어찌보면 지극히 단순해 보일수도 있는 짧은 이야기는 주인공들의 명연기와 상상력이 돋보이는 에피소드, 소품 등에 의해 전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무대를 선사해 준다. 신하균의 어벙하면서 진지한 연기와 온 몸을 던지는 백윤식,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아 버린 순이 역의 연극배우 황정민 연기 역시도 더 없는 보너스다. 물론 홍보와 마케팅 전략의 실패가 신인감독에게 끼친 우울증이야 어찌 별것 아니라 하겠으나, 이 작은 시작을 결코 간과하지 않은 관객들은 흥행성적 못지 않은 보답일 것이다. 한국영화의 미래는 관객 500만을 넘어서 1000만을 향해 달려간다는 싸구려 영웅주의 영화 <실미도>의 흥행성적 때문이 아니라 <지구를 지켜라>와 같이 버림받은 걸작들이 미약하나마 지구를 지키듯 한국영화를 지켜가기 떄문에 밝다.
by kinolife 2006. 9. 27. 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