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한국, 131분

인터뷰어 : 김명준
   
감 독 : 김명준
각 본 : 김명준, 박소현
촬 영 : 김명준

훗카이도에 자리를 잡고 있는 조선인 학교의 학생들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요즘 같은 세상에 저런 선생님과 저러한 학교가 있다니 놀랍고 또 정겹다는 생각을 했다. 자신이 한국인임을 알았을 떄 놀랍고 반갑기 보다는 거추장 스럽다는 생각을 할수 밖에 없는 제일교포들..우리 현대사의 비극 중 하나인 이들에 관한 조국사랑과 교육에 대한 고집에 무척이나 숙연해 지는 느낌이 든다.

커서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라고 하는 질문 보다는 무엇이 될까 하는 것이 중요하고 어떠한 인간이 될 것인가라는 것보다 어느 정도 성공할 수 있는가 라는 것이 더 중요한 우리의 교육에 비해서 자신의 뿌리에 질문하고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에서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의 교육에 대한 고통과 고민이 무척이나 교육에 대한 원론적인 고민과 질문에 다가가 있다는 생각을 저절로 들게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와 같은 모습이나 다른 생각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그리고 또 다른 세상에서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북조선이라고 하는 이미지와 겹치면서 우리와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조금 더 멀게 느껴지는 부분 역시 안타까움이 큰 부분이다. 영화를 다 보고 나서 기억나는 부분 중에 하나가..북한이 이 학교를 위해서 꾸준히 지원을 하면서 민족교육에 대한 지지를 보낸 것과 달리 정부차워에서 무관심으로 일관해 온 남한의 정책이 비교되는 부분에서 진정한 부는 어떤 것인지 조금은 부끄러움이 넘쳐 흘렀다. 정부의 국고는 튼튼할 지 모르겠지만, 자신의 역사에 대한 긍지와 민족에 대한 인간애는 그 국고의 잔고와는 아무 생관이 없는 정신적인 문제라는 것을 다시 한번 더 느낄 수 있었다. 일본의 위험을 무릅쓰고서 북한으로 체험교육을 떠나는 학생들을 보면서..우린 이들과 과연 어떤 관계의 사람들인 것인가 정체성에 문제의식을 느끼는 건..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저저로 든다.

말로만 들어왔던 일본 소재 조선인 학교의 모습을 통해서 민족 교육과 역사에 관해 너무 잊혀진 지금의 현실읃 다시 한 번 더 느끼게 해 준 영화였다. 소재만큼이나 재밌게 본 다큐멘터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3. 31. 17:50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150분,
영어 제목 : Spring Snow

감 독 : 유키사다 이사오(行定勳)

각 본 : 이토 치히로(伊藤ちひろ)
          사토 신스케(佐藤信介)
원 작 :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출 연 : 츠마부키 사토시(妻夫木聡)
          타케우치 유코(竹内結子)
          타카오카 소스케(高岡蒼甫)
          오이카와 미츠히로(及川光博)
          타구치 토모로오(田口トモロヲ)
          이시마루 켄지로(石丸謙次郎)
          미야자키 요시코(宮崎美子)

음 악 : 이와시로 타로(岩代太郎)

너무 아름다운 여성에 대한 남성의 냉철함이 보여주는 냉혹한 사랑의 끝에 관한 수필 같은 영화. 일본의 소설가 미시미 유키오의 서늘한 느낌이 그대로 담겨져 느껴지는 영화다. 그의 원작은 읽어보지 못했지만 우울하고 느리게 가는 시절과 남의 시선을 의식해서 살아가는 답답한 시절에 대한 분위기가 영화 안에 가득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린시절부터 우연히 연을 맺은 사토코와 키오야키는 각자 커 가면서 아름다운 미소녀와 성숙한 숙녀로 성장한다. 어릴적에 사토코가 키요아키에게 했던 작은 다짐 처럼 언젠가 서로가 원한다면 결코 헤어지지 않을거라는 다짐과 기대를 사토코는 품고 있지만 그에 비해 키요아키는 그런 사토코를 은근히 무시하고 그녀의 마음을 조롱하면서 차가운 시간을 보낸다. 그녀에게 마음을 품는 주변의 친구와 남정내들의 관심을 애써 외면하는 사이 자신도 모르게 사토코를 사랑하게 된 키요아키는 황실의 왕녀로 간택된 사토코의 입지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애욕에 빠져드는 키요아키는 사토코를 탐하는 건지 진정으로 사랑한 건지 스스로의 혼란 속에서 자신을 망가 트리고 만다.

애써 자신의 사랑을 어필했던 사토코는 키요아키의 차가운 마음에 상처 입고 자신의 위하지 않은 탐욕스런 사랑
애 빠져 들어 결국은 키요아키의 아이를 가지게 된다. 황실의 황녀로 간택된 이후의 이 재앙을 그리고 숨기거나 외면 할 수 없는 키요아키의 사랑 앞에서 좌절하는 사토코...부모아 키요아키의 아버지의 합의에 따라 키요아키의 아이를 지우고 스스로 머리를 깍아 비구니로서의 삶을 선택한 사토코는..자신의 바로 잡고 키요아키의 후회스러운 사랑에 응대하는 방법이 그것 밖에 없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그에 비해 자신의 사랑을 원했던 사토코를 경멸하기 까지 했던 키요아키는 뒤늦게 불타는 사랑을 깨닫지만, 사토코의 고통 앞에서 힘을 쓸 수 없는 나약한 존재임을 인식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의 근대화를 배경으로 새로운 문물 앞에서도 여전히 낡은 세습 안에서 움직이는 일본의 권력층을 무대로 단아하지만 스스로의 선택에 단호한 여성과 그에 비해 우유부단하면서도 무책임하고 어린 남자와의 사랑을 통해서 격변하는 사회의 음울함을 보여주는 지극히 문학적인 영화...마치 책을 읽듯이 느리게 그리고 조용히 진행되는 영화는 이 두 주인공의 답답한 일상을 통해서 적잖이 견디기 힘든 시대에 대한 잔상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영화다. 상대를 고통스럽게 하고 궁극에는 자신을 망쳐버린 남자의 우유부단함과 뒤늦은 후회가 마치 영화의 제목 봄의 눈처럼 무섭게 느껴지기도 한다. 따뜻한 땅에 꽃을 피우는 봄에 눈을 내리는 이 철 없는 눈처럼 스스로는 비난하고 인정하지 않았던 남자처럼 뒤늦은 후회가 영화 안을 가득 메운다. 주인공을 맡은 두 배우들의 어설픈 성숙한 연기 역시도 영화의 분위기가 어느 정도 잘 어울려 묻어 난다.

지루한 시대, 답답한 영화처럼 영화는 그 느낌 그대로 한 없이 나즈막하다. 스산한 영화 한편...지루함 속에서 별로 큰 감흥을 남기지는 못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3. 31. 17:3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