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2년, 한국, 106분

감 독 : 김동원

출 연 : 이정진
          임창정
          양동근
          한채영
          이대근
          김인문
 
음 악 : 조성우

이렇게 촌스어울수가...혹은 이렇게 촌스러운 것들이 있나..참으로 딱일세..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영화. 2002년도에 이런 풍경을 만들어냈다니 월드컵이 열리는 해에 기념할 만하다 싶을 정도로 독특한 영화라는 생각이 든다.

학교 땡떙이 치고 동네 깡패들이랑 싸움질을 해대는 해적과 봉팔, 성기는 지나간 우리 아부지 시대의 전형적인 동네 오빠들이다. 삼촌에서 언듯이 전해 듣거나 드라마를 통해서 엿본 풍경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이 영화는 동네에서 이른바 주먹 좀 쓴다는 해적이 사랑하는 여자 아이를 위해서 춤꾼이 될 수 밖에 없는 춤 교습기이기도 하다.

이영화에서 가장 돋보이는 점은 딱 들어맞는 캐스팅. 임창정, 양동근의 촌발 작렬은 이 영화의 가장 돋보이는 부분이다. 자연스럽게 그 시절로 관객들을 내려놓는 자연스러움은 이 배우들의 가치를 최대한 끌어내는 것 같다. 물론 캐스팅이 다 좋은 건 아닌데, 한채영의 경우는 동네에서 눈에 확 띄는 미모를 가진 소녀라는 컨셉은 좋은데 마치 무뚝뚝한 나무 막대기 같은 연기 떄문에 얼굴만 이쁜거였구나 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연히 길을 지나다가 친구 봉팔의 여동생 봉자를 만나 정신을 빼앗겨 버린 해적. 함께 어울려 다니던 봉팔이 안 보이기 시작한 시점과 맞물리면서 봉자가 봉팔의 동생이며, 봉팔의 아버지가 다쳐 봉자가 술집에 몰렸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적잖이 유머와 감수성을 가진 봉자의 디스코택 사장 이대근 선생은 주먹질을 해 대던 해적의 순수함을 보고 춤을 쳐서 봉자를 데려 갈 것을 제안한다. 일주일의 시간동안 댄스계에 입문해서 경연대회에서 일등을 해야한다는 부담감을 받게 된다. 하지만 사랑에 물이 들어버린 해적에겐 해볼만한 아니 해야만 하는 숙제이다. 성기의 엄마에게 춤바람을 들게 한 동네 딴스홀의 제비에게 찾아간 해적과 친구들은 해적의 건승을 빌어본다.

이 장면에서 아무런 인연도 없을 법한 동네의 딴스홀 제비는 일주일의 짧은 시간을 두고 땀을 흘리는 공동의 시간을 통해서 가까운 형이자 스승이 된다. 이 관계가 꽤 흥미로웠는데, 세상이 모든 지식은 내가 알기 이전의 모든 것들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스스로 다시 한번 감탄하기도 한 장면이다. 뻣뻣한 몸이 음악의 흐름에 몸을 맡기는 것으로 바뀌기 까지 흘린 땀이 얼마나 가치 있는 일일까. 세상의 모든 일이 그러한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난히 가난함이 스려있는 영화의 무대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머스러움과 따스함으로 인해서 쉽게 따스해지는 걸 느끼는데 이래서 지나온 과거는 추억이 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정으로 스며 힘을 발휘하는것 같다. 세 명의 딱 떨어지는 주연들과 함께 동네를 무대로 활동하는 많은 조연들의 빛나는 연기와 풀풀 흘려나오는 촌스러움에 박수를 보낸다. 너무나 즐겁거나 재미난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우리 아부지, 삼촌 시대의 이야기들을 엿볼 수 있었다는 건 이 영화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무기가 아닐까 싶다. 촌발날림...지대로 날리니 볼만 하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드는 영화다. 2002년 월드컵과는 정반대 되는 시간대에서 무게 중심을 잡고 있는 이 영화속의 지진아들에게 웬지 모를 박수를 보내고 싶은 것은 왜일까? 아픈 친구 아버지를 대신해서 함께 동네의 푸세식 똥을 퍼 줄 수 있는 친구를 지금에 그 누가 만들 수 있을까..향수 안에 담긴 우정과 의리 ..함께 간다는 것의 의미를 앞으로의 세대가 공감할 수 있을까? 자신 있게 대답을 못하는 건 왜일까?
by kinolife 2008. 12. 20. 00:16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감 독 : 마이크 피기스(Mike Figgis)                              감 독 : 정윤수
출 연 : 웨슬리 스나입스(Wesley Snipes)                       출 연 : 엄정화
          나스타샤 킨스키(Nastassja Kinski)                               박용우
          카일 맥라클란(Kyle MacLachlan)                                 이동건
          밍나(Ming-Na)                                                          한채영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Robert Downey Jr.)                      최재원
                                                                                         오지영
                                                                                         최용민
                                                                                         이영숙
촬 영 : 디클랜 퀸(Declan Quinn)                                  촬 영 : 강승기
음 악 : 마이크 피기스(Mike Figgis)                               음 악 : 정재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와핑' 인간의 가장 동물적인 욕구를 그대로 잘 표현하는 단어..미국에서 마이크 피기스가 보여주는 <원 나잇 스탠드>와 한국의 졍윤수가 보여주는 <지금 사랑하는 사람과 살고 있습니까>는 같은 소재를 보다 다른 감성으로 접근해서 정말 같은 소재 다른 영화의 매력을 잘 보여준다.
먼저<원 나잇 스탠드>는 우연히 겪게 된 하룻밤에 대한 기억이 중년의 위기만다 감성적으로 도움을 준 어느 남자가 1년이 지난 이후 우연히 다시 만나면서 불타는 사건(?)을 중심으로 그려주고 있다. 나머지 상대들이 불륜인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의 관계도 여전히 불륜이지만, 이들에게 이 불륜은 조금은 슬프게 그려지는 묘한 매력이 있다. 지금 사랑이 소중한가..단지 그 소중함을 잊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더 이상 소중한 것이 아닌 것일까.. 그 풀 수 없는 문제에 대해서 영화는 자기도 제어할 수 없는 감정에 무게를 실어서 깔끔하지만 마음 무겁게 보여준다. 이런 관계에서 정의감이라 부정에 대한 이성적인 판단은 무관심이거나 자기 방어의 수단이 되기 싶다. 영화는 이들의 감성을 따가가게끔 그려 놓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에 반해 <지금 사랑하는 사람과 살고 있습니까>는 각자 커플의 관계 중에서 엄정화를 중심을 이어지는 관계를 통해서 자본주의에서 성과 경제적인 법칙에 따르는 인간의 논리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상당히 흥미로웠다. 내가 먹고 살기 위해서..더 잘 살기 위해서 더러워도 더러워도 기생하듯이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여자..그렇게 노력해서 더 만들고 더 갖추고 잘 살고 싶은 남자와 이미 가지고 있기에 무엇 하나 필요하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은 이 차가운 남자와의 만남은 지극히 자본주의적인 자극점에 감각적으로 터치 한다. 화려한 의상과 역시 빠지지 않을 만큼 수려한 언어들의 향연은 이들의 관계에 대한 호기심을 충분히 자극시킨다. 엄정화의 화끈한 연기와 이동건의 거드럼 연기는 다른 두 커플에 비해 압도적이라고 밖에 말 할 수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도 잘 알 수 없는 감정에 대한 고뇌와 상대방에 대한 매력 때문에 한없이 스스로에게 가혹한 질문을 해 대는 <원 나잇 스탠드>와  자신의 무료했던(무료함을 알고 있었던, 모르고 있었던) 지금의 생활에 대해서 자극으로 충분이 인식하는 <지금 사랑하는 사람과 살고 있습니까?>의 커플들은 미묘한 감성 만큼이나 다른 매력들을 지니고 있다. <지.사.까>의 엄정화처럼 상대방에 대한 매력과 함께 그에게 의지하고 싶은 생각이 가득한 여자지만, 자신의 애초에 사랑에 대해서 끝없이 믿고 싶은 마음에 받아들이지 않는, 자본주의 노예이면서도 그 사실(흔들리고 있다는) 자체를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는 이 가여운 여자의 노력은 실로 눈물겹다.  이런 여자를 바라보는 이동건의 시선에서 동정과 매력점의 간극은 얼마나 될까 스스로 물어보게도 되니..참으로 복잡 미묘한 감정들이 느낄 수 있다. 자신의 하룻밤이 결코 창녀와의 하룻밤과 같은 일회성 짙은 동물적인 배설이 아니지만..그저 그리워 할 수 밖에 없는 <원 나잇 스탠드>의 남자, 1년이 지난 이후 다시 우연한 만남을 통해서 이건 우연이 아니라 운명이라고 느끼는 주인공들의 마음은 원했던 만큼..바랬던 만큼 사랑을 갈구하는 인간의 모습을 극대화 시켜서 보여주면서 멜로드라마로서의 전형적인 면모를 통해 스와핑의 의미를 잊게 하는 감성 미지지가 강하다. 두 영화 모두 결혼은 했으나, 결코 인생이 다르지 않은 결혼을 한다고 해서 인생이 결코 안정화되거나 정지해 있지 않다는 것을..그것과 맞게 관계가 고착되는 것으로 인생은 진행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에서 '스와핑'이 더 가쉽 거리가 되는 것은 단순히 상대방의 배우자들이 바뀌어서 성행위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관계가 벌어진 틈을 다른 상대방의 배우자가 들어와 있다는 것을 아는 것에 불과함을...불륜이라는 큰 소재 안에서 '스와핑'은 그저 조금 더 눈기를 가게 하는 양념과도 같다. 영화는 사랑의 틈, 결혼의 한계...혹은 영원하지 않은 사랑과 그에 따른 인생의 변화라는 주된 이슈(음식의 간을 맞추는 소금처럼)에 그 상대가 되는 배우자가 새로운 연인의 배우자라고 하는 4각 관계(조금 더 화끈한 맛을 더해주는 스파이시처럼)임을 두 영화 모두 간과 하지 않는다. 결혼생활 때문에라고 궂이 지정할 수 없지만, 사랑도 변하듯이 사랑해서 결혼한 많은 사람들이 변한다. 그 사람 하나하나가 변하는 것 만큼 그들의 관게가 조금씩 변하는 것이다. 그것이 내부적이든, 외부적이든, 내 안에 있든 배우자에 있든 중요하지 않다. 단지 중요한 사실 하나는 모든 사물의 그 형태를 눈에 띄지 않게 변화 시키듯 사람의 마음 역시도 변하고 마음이 변화하면 그 관계나 표현 역시도 숨길 수 없이 변화 한다는 것이다. 그 사실을 인정하고 삶을 바라보는 시선과 그것을 전혀 믿지 않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변화하지 않은 유일한 사실은 무엇이든 변화한다는 사실이다. 그런 것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기에 두 영화 모두 각자 다른 형태로 다른 배우가 다른 모습으로 그려주지만 인생은 쓸쓸하고 그 만큼 외롭다는 것을 다시 한번 더 느낄 수 밖에 없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흥미로 다가갔다가 쓸쓸함을 채 지우지 못하게 하는 영화들...그래서 이 둘의 모습은 많이 닮아 있다.
by kinolife 2007. 11. 16. 11:3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