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제 : Straw Dogs: Thoughts on Humans and Other Animals

글 : 존 그레이 (John N. Gray)

출판사: 이후

2010.08 초판 1쇄

가격: 16.000


철학적으로 상당히 깊 있는 사고를 하고 있어서 인가 정말 오래간만에 있는 철학책이라 그런지 읽고나면 좋은 문장도 그 의미도 스르륵 사라져 버려 당혹스러웠던 책..그러나 오랜 역사를 통해 인간이 지구와 자연에 끼치는 해악에 대해서는 아지 깊게 동조할 수 있는 책이었다. 세상을 구할 수 없는 인간이지만, 세상이 구원될 필요가 없다는 말로 인강의 절망을 구제하고 진보는 신화이고 자아는 환장이며 자유의지는 착각이라고 말하는 존 그레이의 철학에서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있는 그대로는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삶의 태도인 것일까. 호모 라피엔스의 말 속에 담긴 약탈하는 인간이라는 명징을 통해 보다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절망적인 것으로 인식하되 절망을 걷어낼 수 있는 삶의 태도를 가져야 할 필요는 있을 것 같다.

 

그럼에도... 약탈하면서 존재 할 수 밖에 없는 호모 라피엔스일지라도 오랜 인간의 역사 안에서 자신 스스로 하찮은 존재임을 인식하고 스스로의 한계를 삶 속에서 헤쳐갔던 인간들을 기억하며, 약탈하면서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인간 존재의 의미를 꺠닫고 선한 의지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역설적으로 알려주는 책..


머리에 잘 들어온 듯 해도 잘 지워지는 방법으로 읽어 읽는 동안 힘들었지만. 다 읽고나니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해서 조금 더 고민해 볼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머리 아픈 책도 가끔은 읽어주는 것이 좋다는 생각을 다시 하게 한 책


- 책 속의 글 - 


"진보에 대한 믿음에는 또 다른 원천이 있다. 과학에서는 지식의 성장이 누적적이다. 그러나 인간의 생활은 전반적으로 볼 때 누적적인 활동이 아니라서 한 세대에서 읻은 것을 다음 세애에서는 잃을 수 있다. 과학에서는 지식이 순수하게 좋은 것이지만, 윤리와 정치에서는 지식이 좋은 만큼 나쁘기도 하다. 과학은 인간의 힘을 증대시키면서 인간 본성이 가진 결점들도 확대시킨다. 과학 덕분에 우리는 더 오래 더 놓은 생활수준을 누릴 수 있게 됐지만, 동시에 그 어느 때보다도 대규모로 서로서로와 지구를 파괴할 수 있게 됐다. "-11P


"삶의 목적은 세상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올바르게 바라보는 것이었다."-12P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인간이라는) 종이 자기 운명의 주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동물들과 우리가 같은 부류라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다윈까지 들먹일 필요도 없다. 우리 삶을 조금만 관찰해 보아도 바로 이 결론에 도달한다. 그래도 요즘은 '공통된 경험' 같은 것으로는 넘볼 수 없는 권위를 과학이 가지고 있으니 다우니의 말을 빌어 보자면, 생물 종은 서로서로, 그리고 변화하는 환경과 무ㅠ작위로 상호작용하는 유전자 조합에 불과하다."-16P


"제리드 다이아몬드에 따르면 북미에서는 70퍼센트 이상, 남미에서는 80퍼센트의 대형 포유동물 종이 사라졌다. 이 자연계의 파괴는 전 지구적 자본주의나 산업화 때문도, 서구식 문면화 때문도, 인간이 만든 제도의 어떤 오류 때문도 아니다. 그것은 유별나게 약탈적이고 욕심 많은 어느 영장류가 진화상이 성공을 거둔 결과다."-22P


"도덕적 진보가 과학 지식의 발전과 보조를 맞춰 나가지 못한다고 한탄한다. 우리가 좀 더 똑똑하고 좀 더 도덕적이라면 테크놀로지를 바람직한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을 거라고 오류는 우리의 도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 있다고 말이다.한 가지 면에서는 맞는 말이다. 기술 진보는 딱 하나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남겨 두었는데, 그건 바로 인간 본성의 취약함이라는 문제다. 불행히도, 이 문제는 해결될 수가 없다."-31P


"로버트 트리버스가 말했듯이, 진화가 택하는 것은 쓸모 있는 오류다. "자연선택이 더 정확한 세계를 전달하는 신경 체계를 선택하리라는 통념은 정신 진화에 대한 매우 순진한 견해다." 생존을 위한 투쟁에서, 진리를 추구하는 취향은 사치거나 무능력이다. "-48P


"행동은 무의식에서 벌어지는 반응들의 마지막 단계며, 무한에 가까울 정도로 복잡한, 습관과 능란함의 구조에서 생겨난다."-99P


'나(자아)'는 순간적인 것이지만, 우리의 삶은 그 '나'의 지배를 받는다. 우리는 이 존재하지도 않는 것을 우리에게서 없앨 수 없다. 현재에 대한 정상적 인식에서 자아 관념은 무너뜨릴 수 없는 것이다. 자아관념은 태고부터 존재하는 인간의 오류며, 그 자아의 힘으로 우는 꿈속에서처럼 삶을 살아간다."-109P


"'개오(闓悟)'라는 불교의 이상은, 우리가 진화는 과정에서 과거의 맺었던 연결을 끊어 버릴 수 있다고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다. 다른 동물들은 꿈 속에서 살지만 우리는 그 꿈에서 스스로 깨어날 수 있다. 환상에서 깨어나, 더 이상 고통받을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는 또 다른 구원의 교리일 뿐다. 동물적 환상에서 [우리가] 깨어날 수 있다는 관념이야말로 가장 커다란 환상이다. 명상을 하면 사물을 신선하게 볼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사물 그 자체를 드러나게 할 수는 없다."-110P


"없앨 수 있는 환상은 무엇이며, 없애고는 살 수 없는 환상은 무엇인가? "-116P


"도덕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만 적용할 수 있는 편의품이다. "-122P


"인간은 도덕관념에서 보자면 비난해야 마땅할 조건에서 번성한다. 한 세대의 평화와 번영은 이전 대들의 부정과 불의를 바탕으로 존재한다. 자유 사회의 섬세한 감수성들은 전쟁과 제국의 열매다. 개인도 마찬가지다. 신사답고 부드러운 성격은 온실에서 자란다. 가혹한 운명에 맛저야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 대한 본능적인 신뢰가 강하지 않다. '다른 모든 것을 넘어서는 가치'는 일상의 삶을 견디지 못한다. 다행히도, 우리는 그런 가치를 우리가 이야기는 만큼 견디지 못한다. 다행히도, 우리는 그런 가치를 우가 이야기하는 만큼 중요하게 여기지는 않는다. 우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의 많은 부분이 [도덕에 비추어 보자면] 사악학하거나 그르다고 볼 수 이있는 것에서 나온다. 도덕관념 그 자체도 마찬가지다."-144P


"과학은 인간이 욕구와 필요를 충ㅈ족시키도록 도와준다. 그렇지만 인간의 욕구를 바꾸는 데에는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늘날에도 사람들의 욕구는 예전과 전혀 다르지 않다. 지식에는 발전이 있지만 윤리에는 없다. -198P


"오늘날 우리가 추구할 수 있는 좋은 삶은, 과학과 기술술을 한껏 활용하되, 그것이 우리에게 자유롭고 합리적이며 온전한 정신을 주리라는 환상에는 굴복하지 않는 삶이다. 평화를 추구하되, 전쟁 없는 세상이 오리라는 희망을 갖기 않는 삶이다. 자유를 추구하되, 자유라는 것이 무정부주의와 전체주의 사이에서 잠깐씩만 찾아오는 가치라는 점을 잊지 않는 삶이다. 좋은 삶이란 진보를 꿈꾸는데 있지 않고 비극적인 우연성을 해쳐 나가는 데 있다. 우리는 비극의 경험을 부정하는 종교와 철학에 길들여져 있다. 우리는 '행동'이 주는 위안에 기대지 아않는 삶을 상상할 수 있을을까? 아니면, 너무 무식하고 게을러서, 그런 삶을 꿈꾸지도 못하는 것일까?"-246P


"취미로 낚시를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고기를 가장 많이 잡는 사람이 아니라 고기 잡은 것을 가장 즐기는 사람이 최고의 낚시꾼이다. 놀이의 핵심은 목적이 없다는 것이다. 목적이 없으면 무의미하다고 간주되는 시대에 놀이가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 현대인이 보기에 호모 루덴스는 목적 없이 사는 사람들이다. 놀인이는 우리가 닿을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 있으므로, 우리는 대신 무의미한 노동의 삶에 스스로를 바쳤다. 시시포스처럼 노동하는 것이 우의 운명이다. -248P


"다른 동물들은 죽음 없는 삶을 열망하지 않는다. 그들은 이미 죽음없는 삶을 살고 있다. 우리에 갇힌 호랑이도 반쯤은 시간을 초월해 산다. 인간은 그 끝나지 않는 순간에 들어갈 수 없다. 더 이상 불멸을 원하기 않게 될 때, 시간(의 부담)으로부터 유예될 수는 있다. 낙원의 섬에서 영원한 삶을 주겠다는 칼립소의 제안을 거부하고, 그리운 집으로 돌아온 오디세우스 처럼 말이다. "-251P


""플라톤은 삶의 목적이 관상(觀想)이라고 생각했다.  관상은 신비주의자들이 하듯이 애써서 추구하는 평온함이 아니라, 되돌아오지 않는 순간들에 기꺼이 복종하는 것이다. 지극히 인간적인 열망에서 멀어질 때 우는 필멸의 존재로 돌아간다. 관사으이 진정한 대상은은, 도덕적 희망이나 신비한 환상이 아니라 어떠한 의미도 존재하지 않는 사실들이다."-251P

by kinolife 2019. 6. 13. 14:3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