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3년, 일본
영제 : Say hello to BLACK JACK

방송 : TBC

감 독 : 히라노 슌이치(平野俊一)
각 본 : 고토 노리코(後藤法子)
 
출 연 : 츠마부키 사토시(妻夫木聡)
          스즈키 쿄카(鈴木京香) 
          카토 코지(加藤浩二)
          아야세 하루카(綾瀬はるか)
          카가 타케시(鹿賀丈史)
          이와마츠 료(岩松了)
          코바야시 카오루(小林薫)
          이토 시로(伊東四朗)

음악 : 하세베 토오루(長谷部徹)

내가 이제까지 봐 온 일본드라마 그리 많진 않지만 그 중에서 궂이 최악을 고르라는 바로 이작품이 아닐까..개인적으로 의학 드라마 좋아하는 편인데..이 드라마처럼 비 전문적이면서 허술하게 보이는 작품은 처음인 것 같다. 블랙잭이라는 이름이 일본의 만화작가 데츠카 오사무의 작품에서 기원한 것인가 추측까지 하면서 기대했지만, 드라마는 이건 뭥미? 그러한 의구심을 단 회에도 저버리지 않게 들게 하는 작품이었다.

드라마는 총 11회 장편이지만, 3가지 주된 이야기로 나뉜다..어느 바보같은(정말 일본식으로 빠가야로!가 어울리는) 인턴 하나가 밤의 야근 알바 도중 환자를 버리고 도망나온 사건..이후 대학에서의 인턴 생활 중에서 자신의  환자에게 당신이 수술을 하지 않으면 죽을지도 모르는데 우리 병원은 의사 스케줄에 따르기 땜에 바로 수술 못한다고 꼬발라버리면서 생기는 사건..그리고 마지막은 조산아이면서 다운증후군 판정을 받은 아이의 합병증 치료를 거부하는 아이의 부모와 벌이는 신경전을 다루는 것 정도가 큰 이야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단 세 이야기 모두, 아 일본은 이렇게 의료계가 엉망이구나! 라고 하는 것을 알려주는 홍보용 드라마 같은 느낌을 강하게 들게 한다.  먼저, 첫번 째 이야기..우리나라랑 비교한다면 인턴은 집에도 못가고 내내 병원에서 입고 자고 먹고를 하다보니 더럽고 피곤하고 인간이 아닌 형태로 그려지고..실제로 의대 이야기를 보면 그게 현실이다. 사실 병의 깊고 얕음을 차치하고라도 사람의 몸을 만지는 사람에게서 한가함이란 어찌보면 배부른 소리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의사라는 직업이 경외로운 것이 아닌가 싶은데..이 드라마에서는 거의 재때 퇴근도 하고, 친구랑 술도 자주 마시고 집에서 잠도 자고 여자랑 수다도 떨 시간이 있고 이렇게 밤에는 하루 일당 100만원 짜리 알바를 할 수 있을 정도로 녹녹하구나 싶어서 조금 어이 없다는 생각까지 했다. 이 와중에서 진짜 충격적이었던 것은 일본에서는 의료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없는지 인턴 의사에게 응급 환자가 맡겨진다는 시스템을 보면서 이 드라마 호러 였는지 헛갈릴 정도였으니 정말 문화적인 충격이 컸다. 나름 사건의 해결을 위해 투입된 간호사가 의사를 대신해서 응급환자를 구한다니...이 부분에서는 코미디에 가깝기까지 하다.

그리고 만나는 두 번쨰 이야기 심장병 환자 인턴의사....병원의 기밀을 환자에게 그것도 그 병명이 심장병(놀라서 환자가 응급이 안된 것이 이상할 정도였다.)인데 심장터질 소리를 흘리는 걸 보고는 이건 정의심도 아니고 순진한 것도 아니고 무슨 캐릭터인지 종잡을 수가 없다. 그냥 병원이나 의료계의 불합리한 부분-그것도 대부분 본인 스스로의 감성적인 부분에 취해서=-에 대해서 투덜대는데 집중하고..결국 마지막에 해결은 다른 의사가 한다는 설정이 말이 되는 것인지 연출가에게 물어보고 싶을 정도다. 환자가 병원이나 의사를 선택할 수 없는 것 같은 분위기도 이해가 되질 않고 과별 트랜스퍼가 어려워 보이면서 정보차단이 병원의 경쟁력처럼 비춰지는 부분은 일본의 의료계에 대한 불신조장이 아니고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이 드라마에서의 주인공은 고민은 하는데 거의 대부분 씨잘데기 없는 고민들이 많다. 그런 감성적인 부분에 참착할 시간이 있으면 좀 더 기술을 연마하는게 맞지 않나 하는 고민이 드는데 드라마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평온하다.

마지막으로 다운증후군 아기에 대한 주인공의 태도는 지극히 인간주의적 시각에만 묶여 있다. 이건 이해될 수도 있겠지만, 의사가 그 가족에게 다운증후군 아이의 양육까지 강요하면서(집에까지 찾아가서 빌기까지 하는) 의료행위를 한다는 건 실제 부모들에겐 잔인한 형벌을 심적으로 계속 가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보는 내내 불편했다. 부모니까 무조건 받아들이면 좋겠지만, 그 누구도 성숙되지 못한 사회에서 그런 아이를 받아들이라고 그것도 그러지 않고서도 부모냐라고 하는 도덕적인 압박감을 준다는 것은 정말이지 잔인한 형벌이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마치 불완전한 존재를 생산해 낸 데 대한 책임을 형별로 받아들이라 그 근간이 되는 것은 모성, 부성이고 보면 이 형벌은 형벌 중에서도 최고로 잔인한 형벌이 아닐 수 없다는 게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그 누구도 그 입장이 되어보지 않고서는 쉽게 말하거나 생각하기도 쉽지 않은게 현실이라는 걸 감안한다면 드라마 속이 의사 좀 때려 주고 싶은 정도로 치기 어리고 답답하다. 어떤 문제가 생기면 그냥 징징거리기만 하고 주변에 의사나 사람들에게 칭얼거리기만 하는 이 빌빌이 의사를 11회까지 보고 있을라니 울화통이 터져서 미치는 줄 알았다. 결국 이 의사는 의사로서의 모습을 갖추는 것처럼 끝이 나기는 하는데...어쩌다 그렇게 됐는지 전혀 감정이입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 드라마의 가장 큰 문제점 같다. 징징 거리고 조직 안에서 대들고 투덜대고 결국에 한다는 게 잘한다고 소문난(그것도 대부분 간호사에게 들은 걸 그대로 믿고 ...다른 대안은 전혀 아는게 없다.) 자기 조직 밖의 의사들을 찾아가서 징징거리는 게 다다. 그러니..징징거리고 화내고 혼자 운다고 의사가 되는건 아니지 않나? 아직도 이 드라마는 그 길을 찾지 못하고 헤매고 그러다 끝이 난 것 같아 찝찝함을 끝내 개운한 무엇으로 씻지 못하고 끝난 것 같다. 정말 잔인한것 같아 빨리 돌리기는 안했지만, 드라마를 틀어두고 사진 정리를 했을 정도로 단순하고 별 것 없는 드라마가 아닌가...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작품이다.
by kinolife 2010. 2. 9. 16:40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108분,

영어 제목 : Female

감 독 : 시노하라 테츠오(篠原哲雄)
          히로키 류이치(廣木隆一)
          마츠오 스즈키(松尾スズキ)
          니시카와 미와(西川美和)
          츠카모토 신야(塚本晋也)
          나츠 마유미(夏まゆみ)
각 본 : 마나베 카츠히코(真辺克彦)
          카모 요시노부(鴨義信)
          오이카와 쇼타로(及川章太郎)
          마츠오 스즈키(松尾スズキ)
          니시카와 미와(西川美和)
          츠카모토 신야(塚本晋也)

출 연 : 하세가와 쿄코(長谷川京子)
          이케우치 히로유키(池内博之)
          토키토 아유미(時任歩)
          카나야 아미코(金谷亜未子)
          사쿠마 테츠(佐久間哲)
          노무라 타카시(野村貴志)
          노무라 에리(野村恵里)

음 악 : 이마이 료스케(今井了介)

6개의 짧은 단편들로 묶여진 옴니버스 영화.

1. 복숭아 편-중학교 때 학교 선생님과 음란한 행동을 했던 소녀가 여자가 되어서 회상하는 이야기.

cfile28.uf@267785455877A6BC21CC2D.jpg

2. 태양이 보이지 않는 곳까지 편-호스트에게 돈을 날리고 빚까지 져서는 택시강도를 하게 된 처녀. 하지만 택시강도를 위해 탄 택시의 여자 운전수 그 택시에 탄 가라오케 손님 역시도 자신만큼이나 빚을 지고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다는 걸 알고 이상한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는 이야기.

3. 밤의 혀끝 편- 혼자 사는 마사코는 매일 밤 키스를 해 주면 느낌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되는 회사 동료과 함께 밤바다 수면제와 최면으로 그와의 성관계를 이어간다. 여성의 최음증을 확대해서 그려준 단편

4. 여신의 뒷꿈치 편- 초등학생. 동급생 여자 친구의 집에서 공부하면서 종종 보게 되는 여자 친구의 어머니의 발꿈치와 겨드랑이 등을 보면서 이상한 감정을 느낀다. 자신의 엄마와는 다른 몸을 지닌 아줌마....소년은 성인 여자의 몸을 통해 여성을 느낀다.

5. 비단벌레 편 - 비단벌레를 가지고 사업을 하는 할아버지로 홀로된 중년 여성..그리고 할아비가 데려온 젊은 청년..이들와긔 기괴한 관게...조금 난해한 이야기

6. 댄서 편 - 댄서들의 춤이 어우러진 뮤직비도 같은 필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으로 묶인 이 여성..그 중에서도 여성의 성에 대한 관심을  위주로 그려낸 옴니버스 영화로 특별히 매력적인 단편은 없는 영화였다.

대부분 원작이 있는 이야기를 짧은 필름에 담아낸 작품으로, 음탕하고  개인적인 여성의 성 이야기는 대부분 꿈이나 환각 혹은 착각과 같은 분위기를 지난 표현들만이 영화에 가득하다. 부적절한 관계들과 덕분에 더욱 더 음탕한 영화 속 인물들이 여성의 성 자체만을 확대해서 보여주고 그 표현들이 말랑말랑한 음악 아래에서 더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영화다. 여성에게 있어서 성의 의미를 과장하고 포장하면서 그 뜻모를 의미만을 확대하는 영화로 엄마 몰래 숨겨놓은 야한 엽서같은 영화들을 모아 둔 엽서집 같은 작품이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by kinolife 2008. 3. 13. 12:2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후지TV
방 영 : 2006년 11월 18
각 본 : 츠치자 히데오(土田英生)
감 독 : 니시타니 히로시(西谷弘)


출 연 : 타나키 유코(田中裕子)
          오오이즈미 요(大泉洋)
          카미키 류노스케(神木隆之介)
          히로스에 료코(広末涼子)
          오오츠카 네네(大塚寧々)
          마츠카네 요네코(松金よね子)
          츠카지 무가(塚地武雅)
          호소야마 타카네(細山貴嶺)
          오카다 요시노리(岡田義徳)
          요네야 신이치(米谷真一)
          에비스 요시카즈(蛭子能収)
          타케나카 나오토(竹中直人)
          사토 류타(佐藤隆太)
          카토 하루코(加藤治子)
          코바야시 카오루(小林薫)
          키키 키린(樹木希林)
          카니에 케이조(蟹江敬三)

원작 : [東京タワー オカンとボクと、時々、オトン] - Lily Franky
주제곡 : "도쿄" By BEGIN

굉장히 낯익은 어머니의 모습...아주 많이 헌신적이면서, 아주 많이 유머러스한 엄마.
그에 비해 상당히 철딱서니 없고 이기적인 면모를 지닌 아들...무척이나 뻔할것 같은 이들의 구조지만 이 들은 형생을 통해서 서로가 애인이 되어주고 인생의 큰 의미가 되어 주었다. 한 남자의 인생을 통해서 엄마는 과연 어떤 의미일까...
어머니 역을 맡은 타나키 유코의 자연스러운 인상과 연기가 이 드라마의 전부라고 해도 좋을 만큼 좋으며, 소박하고 따뜻한 정을 중요히 여기는 단순하지만 그저 단순하지만은 않은 인생에 대한 찬사가 요즘처럼 점점 더 가벼워 지는 어머니와 아들의 사이를 되돌아보게 한다. 단순한 의무가 아닌 사랑을 느끼게 해 주는 관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 28. 02:0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후지 TV
방 영 : 2006년 9월 9일
감 독 : 스기타 시게미치(杉田成道)

각 본 : 이케하타 슌사쿠(池端俊策)

원 작 : 사쿠 타츠키(朔立木)의 소설
           [死亡推定時刻]


출 연 : 요시오카 히데타카(吉岡秀隆) 
          마츠다이라 켄(松平健) 
          나가사쿠 히로미(永作博美) 
          카나이 유타(金井勇太) 
          오오고 스즈카(大後寿々花) 
          마츠자와 카즈유키(松澤一之)
          시나가와 토오루(品川徹)
          나카하라 타케오(中原丈雄) 
          토다 케이코(戸田恵子)
          쿠니무라 준(國村隼) 
          코바야시 카오루(小林薫)

여기 가난한 시절을 우애와 믿음으로 커 온 형제가 있다. 가난은 이 둘을 가장 소중하고 가까운 사람으로 만들기도 했지만, 서로 원수가 되게도 했다. 고리업, 검은 경제로 돈을 끌어모은 동생과 경찰 세계에서 신념과 청렴결백 고집쎄게 자신의 도덕을 지켜온 형은 세상을 보는 방법, 살아가는 방법도 달랐다. 하나는 가난안에서 자기를 지킬려고 했고 다른 하나는 가난을 버리기 위해서는 자신의 모든 것을 버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돈없는 형은 동생이 도덕을 팔라는 말에 굴복하지 않아서 자신의 딸을 잃었고, 형은 자신의 딸을 잃게 한 동생의 딸을 유괴해 죽였다. 마치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처럼 꼬여버린 이들 형제의 이야기는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욕심과 불이해 혹은 컴뮤니케이션의  처절한 절규 같아 보인다. 큰아버지의 손에 죽어가는 아이의 대범함이 조금은 사실성이 떨어진다고 느꼈지만, 그 덕분인지 이들 형제의 관계가 더 처절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살다보면 돈은 참 중요하다. 하지만 돈보다 중요한걸 가치있게 생각 할 수 있는 힘이 있는 인생을 꿈꾸고 싶은 것 그게 진짜 인생이 아닐까...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더더군다 이 드라마처럼 되돌릴 수 없는 실수는 하는 것이 돈 때문이 아니길...믿음의 붕괴 때문이 아니길 바래보는 건 정말이지 큰 욕심일지...짧은 드라마 한편 덕분에 유난히 까라앉는 기분을 느끼는 하루다. 슬픈...가슴보다 머리가 더 작용해서 슬픔을 느끼게 하는 드라마다.

- 드라마 속 대사 -
"인간은 한번쯤 누군가를 위해 죽어도 좋다는 생각이 들때가 있어요 그런 소중한 사람이 있는가 없는가가 그 사람의 인생을 결정해요."
by kinolife 2006. 12. 6. 22:15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