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TBS
방영타이틀 : 일요극장
방 영 : 2007년 01월 14일~03월 18일

연 출 : 후쿠자와 카츠오(福澤克雄)
           야마무로 다이스케(山室大輔)
각본 : 하시모토 히로시(橋本裕志)
원작 : 야마자키 토요코(山崎豊子)의 [돌풍지대 華麗なる一族]

출 연 : 키무라 타쿠야(木村拓哉)
          스즈키 쿄카(鈴木京香)
          하세가와 쿄코(長谷川京子)
          야마모토 코지(山本耕史)
          야마다 유(山田優)
          아이부 사키(相武紗季)  
          나카무라 토오루(仲村トオル)
          후키이시 카즈에(吹石一恵)  
          이나모리 이즈미(稲森いずみ)  
          타키가와 유미(多岐川裕美)
          나리미야 히로키(成宮寛貴)  
          히라이즈미 세이(平泉成)  
          니시무라 마사히코(西村雅彦)
          쇼후쿠테이 츠루베(笑福亭鶴瓶)
          코바야시 타카시(小林隆)
          야지마 켄이치(矢島健一)  
          니시다 토시유키(西田敏行)  
          타케다 테츠야(武田鉄矢)
          츠가와 마사히코(津川雅彦)
          야나기바 토시로(柳葉敏郎)  
          하라다 미에코(原田美枝子)
          키타오오지 킨야(北大路欣也)
          츠무라 타카시(津村鷹志)  
          타야마 료세이(田山涼成)  
          마에다 긴(前田吟)  
          야마야 하츠오(山谷初男)  
          마츠오 타카시(松尾貴史)  
          미야가와 이치로타(宮川一朗太)  
          미네기시 토오루(峰岸徹)  
          사노 시로(佐野史郎)  
          야마노 후비토(山野史人)  
          아사노 카즈유키(浅野和之)  
          하기와라 마사토(萩原聖人)  
          누마자키 유(沼崎悠)  
          쿠로베 스스무(黒部進)  
          와니부치 하루코(鰐淵晴子)  
          오사나이 미나코(長内美那子)  
          이시다 타로(石田太郎)  
          이노 마나부(猪野学)  
          반도 에이지(坂東英二)  
          오오와다 신야(大和田伸也)  
          이토 마사유키(伊藤正之)  
          타나카 류조(田中隆三)  
          카네다 아키오(金田明夫)  
          코타로(鼓太郎)  
          무사카 나오마사(六平直政)  
          나카마루 신쇼(中丸新将)

성 우 : 바이쇼 치에코(倍賞千恵子)
음 악 : 핫토리 타카유키(服部隆之)
삽입곡 : "Desperado" By The Eagl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총 9회, 2개월에 걸쳐 방송된 본 작품은 오래간만에 타이트하고 꽉 짜인 내용이 돋보이는 드라마였다.

父子 관계라는 주된 줄거리 축 안에 재벌이라고 부르는 거대한 족벌이라는 의미의 가족이 보여주는 품위와 격식의 외양, 재벌이나 권력에 있어서 어떠한 것이 중요한 이슈인지...음모와 계략없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건 없는 것인지..드라마는 주변의 탄탄한 이야기 구조를 바탕으로 많은 것을 이야기 할 수 있게 하고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한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시아버지가 며느리를 탐하고 그 일로 남편으로 부터 심리적으로 버림받고 자신의 아들을 의심하고 자유롭게 사랑하지 못하는 엄마로 그려지는 여성상은 드라마 구조상 어쩔 수 없는 상황임에도 썩 유쾌한 캐릭터는 아니다. 드라마의 갈등 구조를 위해서 있을 수 밖에 없는 극적 모티브이며,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주변의 여성의 캐릭터가 작아질 수 있는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여성 캐릭터 자체만으로는 안타까운 면이 있다. 그러나 다르게 생각한다면, 이런 여성 캐릭터의 낮은 비중이 비교적 남성 중심으로 짜여진 본 드라메에서는 드라마의 극적 긴장감을 높이고, 스토리 안에 내용들을 응집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을 한다. 그나마 살아 있는 캐릭터가 만표 집안이 비서이자 가장의 정부 정도의 역할이겠지만, 그녀 역시도 남성으로 활동할 떄 더더욱 그 캐릭터가 돋보이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드라마는 철저한 남자 드라마로 보여진다.

드라마 속에서 그려지는 가장 큰 재미의 요소는 부자 간의 해결되지 못한 숙제를 위한 극적 치달음이라기 보다는 키무라 타쿠야 속에 담겨진 테페이 라는 인물상에 대한 매력이 가장 크게 다가왔는데, 드라마 속의 영웅을 영웅답게 만들기 위해서 그려지는 눈에 빤히 보이는 극적인 장치 마저도 알면서 볼 수 있을 만큼 주인공의 캐릭터가 만족스럽게 즐길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자신과의 싸움, 아버지와의 싸움, 자신의 의지를 관철 시키고자 했으나 실패한 인간이 선택한 죽음이라는 결론마저도 드라마 안에 모티브로 깔려 있는 복선과 한 인간을 인생을 30년 넘게 짓눌러온 존재의 이유에 대한 물음에 다달았을 때는 안타까움을 넘어서는 이해를 안고 있음에 충분히 동감하고 눈물을 흘릴 수 밖에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간의 존재와 삶, 그안에 가족과 일에 대한 의미를 포괄적으로 건드리고 있는 이 대규모 기획 프로젝트는 치열한 승부를 펼치는 거대한 싸움 안에서 서 있는 남자들의 책략과 외로움이 무서울 정도로 처절하게 담겨 있다. 자신이 보다 높은 위치의 인간이 되고 그 힘을 얻기 위해서 처절하게 비인간적인 인물이 되고 철저하게 더러운 인간이 되는 과장을 실날하게 보여준다. 스스로 스스로의 가치와 현재의 이미지 혹은 자신의 의미를 이미 알고 있음에도 마치 도박에 빠져드는 중독자 처럼 승부 앞에서는 스스로의 강인함을 위해서 눈에 보든 것을 버려야 하는 모습이 실로 처절한 것이다. 그 안에서 그래도 그 캐릭터에 반할 수 밖에 없는 것이 바로 그걸 뛰어 넘으려는 인간이며 이런 류의 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주인공의 캐릭터이다. 실제 인간 생활에서도 별 것 없는 사람, 혹은 별반 차이 없는 사람들 안에서도 유독 매력이 넘치는 몇몇의 인물듣과 만나게 되면 그 인물이 가진 인간적인 매력에 대해서는 궂이 본인 스스로가 노력한다기 보다 원래부터 그런 매력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아닌지 생각하게 되고, 동경하게 되고, 질투하게 되고, 표현하게 되는 것을 드라마 안 캐릭터에서 전형처럼 그대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이 드라마의 최고 장점이다. 이런 주인공의 매력점 때문에 드라마를 보는 동안 더욱 더 빠져 들어서 볼 수 밖에 없다.

말랑 말랑한 , 혹은 단순한 주변 잡기들만이 담겨 있는 드라마와 달리 남성들의 선이 굵은 내용을 담고 있는 이 드라마를 통해서 키무라 타쿠야가 가지고 있는 힘이 단순한 일본식 미남 스타일 이상임을...일본의 대중 스타 안에서의 히어로의 면모를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한 가족의 치부를 건드리면서 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 그 안에서 한 인간이 느낄 수 여러 이면들을 보여주는 복잡한 드라마에서 그의 연기는 극의 가장 큰 소재를 잘 풀어주는 좋은 재료 이상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소재상 국내에 소개되기엔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겠지만, 작품 자체만으로는 드라마로서 가질 수 있는 품격이나 가치는 충분히 담고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이 된다. 오래 간만에 선이 굵은 작품을 단숨에 봐 버린 것이  이 드라마가 지니고 있는 내부적인 극적 긴장감의 가치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다. 남성적인 구조와 색깔이 속도감 있는 전개로 그 폭발력을 가중 시키는 이 드라마의 가장 큰 가치는 비판할 거리(시아버지가 며느리를 탐한다는 비인간적인 드라마의 모티브는 아직도 받아들이기 힘들다.)를 지니면서도 극에 빠져 들어서 한 인간의 괴로움에 기꺼이 동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이 드라마가 가지고 있는 힘이 좋은 시나리오에 그걸 스피디하게 녹여내는 연출력에 담겨져 배우들의 일관되고 균형잡인 연기로 폭발되기 때문이다. 치명적인 오류 없이 깔끔하게 마무리 된 웰 메이든 드라마로서 충분히 매력이 있는 드라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드라마 속 명대사 -

인간은 보잘것 없는 존재다
자신을 강하게 보이려고 안간힘을 쓰다가 상처입고 그 상처를 스스로 벌려버린다.
어리석고 약한 생물이다 그렇기때문에 인간은 꿈을 꾸는 걸지도 몰라
꿈의 실현은 곤란을 동반하고 때때로 꿈은 사람을 괴롭게 한다.
그럼에도 나는...
미래를 열 수 있는 것은 꿈에 정열을 쏟는 인간의 힘이라고 믿고 있다.
하지만... 뜻을 잊었을 때 영광은 전부 끝을 향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어째서...
내일의 태양을 보지 못하는 걸까
by kinolife 2007. 9. 13. 07: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제 : RONDO
제 작 : TBS
방송타입 : 일요극장
방 영 : 2006년 01월 15일~03월 26일
각 본 : 와타나베 무츠키(渡辺睦月)
감 독 : 히라노 순이치(平野俊一)
          쇼노 지로(生野慈朗)
          야마무로 다이스케(山室大輔)

출 연 : 다케노우치 유타카(竹野内豊)
          최지우
          키무라 요시노(木村佳乃)
          사토 류타(佐藤隆太)
          하야미 모코미치(速水もこみち)
          이치카와 유이(市川由衣)
          신현준
          이정현
          이시바시 료([石橋凌)
          후부키 준(風吹ジュン)
          시오미 산세이(塩見三省)
          오카모토 레이(岡本麗)
          하시즈메 이사오(橋爪功)
          스기우라 나오키(杉浦直樹)
          웬츠 에이지(ウエンツ瑛士)
          타케자이 테루노스케([竹財輝之助)

주제곡 : "I Believe" By Ayaka
엔딩곡 : "さよなら3"  by 이승철

오호..최지우가 일본에서 찍은..상대배우가 다케노우치 유타카라...음 모든 흥미와 기대는 이 드라마 안에서는 여기 까지다. 더 이상 진도를 나가게 되면 보는 이들 모두가 상처를 받을지도 모른다. 그 정도로 이 드라마의 완성도가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아주 많이 어설퍼서 자기색깔을 잃고 표류하는데, 한국 드라마도, 그렇다고 일본드라마도 아닌 어정쩡함이 이 드라마의 가장 큰 특성이며 그게 큰 단점과 상통한다. 이 시대 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의 배우들이 일본의 잘나간다는 배우들과 함께 만든 드라마라고 하기에 너무 많이 부족한 드라마..안타까움이 많이 느껴지는 드라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어설픈 부분이 최지우가 과연 악역이냐, 아니냐, 주인공을 배반하냐. 하지 않냐, 혹은 사랑을 지키느냐, 그렇지 않냐하는 건데 그걸 보여주기 위한 꼬이고 꼬이는 역할들이 무척이나 맥 빠진다는 점에서 이 드라마의 가장 큰 실패는 초반부터 잠재되어 있었던 것 같다. 드라마의 마지막 부분에 최지우는 자신의 역할을 찾고 다케노우치 유타카고 자신의 역할을 다 하지만, 지우의 아버지는 왜 일본을 정복하려 하는지 그 심리 상태가 아주 이해되지 않으며, 아주 어린 시절 이 둘이 어릴적에 만났었다는 운명론적인 퍼즐맞추기에서는 인상이 자연스럽게 찌뿌려 진다. 진부하다는 이야기다. 스타들만이 넘쳐나고 이슈화는 되지만 드라마 내용 자체가 진부해져서 맥이 빠져 버리는 수준 이하의 드라마의 한 전형을 보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절반의 한국인과 또 절반의 일본인 절반의 한국인은 악역이며 또 다른 절반의 한국인은 선하다. 물론 드라마의 시작, 이 일본이라는 나라가 넘 싫다며 증오를 퍼 붓던 최지우도 드라마의 종극엔 그래도 당신 떄문에 이 나라가 조금은 좋아졌어요..라는 신파식 멘트가 이 드라마의 가장 큰 주제인 것이다. 최지우의 밋밋한 연기, 동생으로 나온 이정현 역시 아주 부족한 캐릭터이다. 이 에 비해 조금은 입체적으로 느껴지는 다케노우치 유타카와 신현준의 색깔 있는 연기들은 이 둘의 밋밋함을 어느 정도까지만 보완해 주는 듯 하다. 앞으로도 합작영화 드라마, 혹은 일본 배우의 국내 출연, 우리 배우릐 일본 출연이 많아지겠지만, 지금 보다는 더 다양한 모습에 현실적이면서 매혹적인 캐릭터를 생산해 내는데 기여했음 하는 바램이 든다. 연이어 보다 보니 Ayaka가 부른 주제곡만 머리에 남는 것 같다.
by kinolife 2007. 3. 6. 06:0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