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설                                                                        영화
글 : 키시 유스케(貴志祐介)                                         감 독 : 신태라
                                                                              각 본 : 이영종  
번역: 이선희                                                             각 색 : 김성호, 안재훈
국내 출판 : 세미콜론                                                  출 연 : 황정민, 유선, 강신일, 김서형    
                                                                              음 악 : 최승현
출판 년도:2004.08(한국)                                              제작년도 : 2007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험 설계사라는 직업을 통해서 사고로 위장해서 보험금을 타 내려고 하는 인간들에 사이코패스라는 정신 병리학적인 인물들을 엮어낸 키시 유스케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 한 검은집...

일종의 변종들에 관한 이야기지만..이건 좀 섬뜩하다. 상식적으로 설명하거나 이해하거나 혹은 이들의 증상을 병으로 인식해서 고치거나 개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이 영화보다 더 끔찍하게 다가오는데..먼저 소설을 읽고 영화를 조금 늦게 봤는데 영화보다는 소설이 조금 더 조이는 맛이 있었다고나 할까..상상력을 자극하는 작가의 놀라움이 소설을 읽는 동안 긴장감을 계속해서 유지시켜주었다. 영화는 영화대로 충실하게 원작의 맛이나 느낌을 살리면서 우리 식으로 표현해 냈는데...다른 부분 보다 마지막에 이화와 준오화의 피튀기는 결투 장면이 조금은 영화적인 기본 코드에 안주한 듯한 느낌이 강해서 아쉬움이 크다. 특히 어린 시절 자신이 동생을 죽였다는 죄책감과 사이코패스를 죽일 수 없다는 인과 관계의 설정은 영화적이면서도 상당히 진부하다는 인식을 지우기 어려웠다.자신에게 죽음을 가하려는 인간이 왜 그런지 이해하기 전에 공포에 휩싸여 있는 상황에서상대방을 살릴려고 한다는 캐릭터의 설정은 상당히 신빙성이 없어 보였다. 대부분의 평범한 인간이라면 내가 먼저 살아야 겠다. 이 상황을 벗어나고 싶다 라는 생각을 먼저 할텐데..저 사람도 인간이다 구해야 한다라는 설정은 지극히 영화적인 시선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특히 소설에서는 사치코와의 혈투에 놓인 주인공이 빠져나갈 구멍이 전혀 없게 설정해 두고 몰아간다는 점에서 긴장감이 아주 크다. 이미 책을 읽어온 독자라면 그 여자 자체.. 그 존재에 꽤 큰 공포감에 휩싸여 있기 때문에 아무도 없는 공간에 혼자 있다는 것 자체가 공포의 진원지가 되지만, 영화에서는 칼을 들고 마구 찔러대는 그녀가 공포가 된다는 점에서 매체간의 차이를 극명하게 느낄 수 있다. 그 순간에 다른 생각없이 헤쳐나가야 한다는 목적만이 강하게 강조되고 있는 점 역시 소설이 가지고 있는 사실성이 영화보다 더 크게 다가오는 부분이다.

같은 원작을 가지고 동명의 제목으로 10년 전 경에 일본에서도 이 영화가 만들어 진 적이 있는데, 감독이 모리따 요시미츠다. 그가 그려내는 검은집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다. 그의 필모그래피를 들여다 보면 공포영화는 거리가 먼 가족영화들이 많은데 인간을 따뜻하게 보는 감독이 그려내는 싸이코패스는 어떤 색깔일지..조금 상상이 안 가는 부분이기도 하다.

영화의 특성상 거무 튀튀하고 음침하면서 습기 가득한 무대를 바탕으로 그려지기 때문에 이 영화의 가장 큰 주인공은 사이코패스가 거주하는 공간 이른바, 검은집이다. 영화 속의 검은집은 하루라고 살고 싶지 않을 정도로 음침함의 집결체인데..그 안의 모든 구조나 배경들이 사이코패스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몇몇의 스틸만으로도 썸뜩하다. 소설에서 막연하게 그려진 공간이 무척이나 구체적으로 잘 그려진 셈이다.

여기서 영화와 소설의 차이점 중에 하나가 본 사건을 바라보는 경찰들의 태도 차이... 소설에서는 긴가민가 하지만, 용의자의 말을 염두고 두고 있다는 점이고, 영화에서는 무능하고 무딘 경찰의 모습으로 일관되게 그려지고 있어서 우리나라 영화에서 경찰들이 무척 수난을 당하는 구나 라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하게 된다.  제보자를 이기주의적인 보험회사 직원으로 보는 경찰의 시선은 경찰보다 사건이, 사건보다 범인이 많은 우리 나라의 경찰세계를 나름 짐작하게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소설의 긴박감이 배우들의 명연기와 훌륭한 그림으로 그려져 웰메이드 공포영화의 하나를 보여주는 작품 <검은집>...임신중에 절대 피해야 할 작품이었지만..어찌하다보니 보게 되었다. 제발 아이에게 좋지 않은 영향만 없기를....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3. 19. 10:05
1996년, 115분, Color
감 독: 모리따 요시미츠(森田芳光)
각 본 : 모리따 요시미츠(森田芳光)
음 악 : 노리키 소우이치(野力奏一)
          사토 토시히코(佐藤俊彦)

출 연: 후카츠 에리(深津繪里)
         우치노 마사아키(内野聖陽)
         타케시타 코타로(竹下宏太郎)
         토다 나호(戸田菜穂)
         야마자키 나오코(山崎直子)
         츠루쿠 마사하루(鶴久政治)
         미야자와 카즈후미(宮沢和史)
         히라이즈미 세이(平泉成)  
         코지마 노리코(小島法子)
         미즈노 아야(水野あや)  
         모토하시 유카(本橋由香)  
         사카이 타카유키(酒井尊之)  
                                                              센다 마사아키(千田雅明)  
                                                              스즈키 노리코(鈴木則子)  
                                                              우시오 테츠야(潮哲也)  
                                                              야기 마사코(八木昌子)

요즈음 사람들이 제일 많이 쓰는 단어 중에서 컴퓨터 관련해서는 '인터넷'이란 단어와 'E-Mail'은 그 중에서도 으뜸일 것이다. 그러나 3~5년 전 만해도 우리들에겐 이들보다는 '통신'이나 '아이디'라는 말을 더 많이 썼던 적이 있었다. 이른바 '모뎀세대' 혹은 '인터넷 이전세대'의 이야기일지 모르겠다. 그 때의 기억을 한 번 더 살려보면 국내에선 그 유행을 알게끔 하는 한 편의 영화를 행각해 낼 수가 있다.바로 한석규, 전도연 주연의 <접속>이 바로 그 영화. 하지만 일본에선 이보다 앞서 컴퓨터 통신을 매개로 한 한편의 멜로 드라마를 선보였던 적이 있다.

영화의 제목은 <하루> 일본말로 '봄'이라는 뜻을 지닌 이 영화의 제목은 주인공의 통신 아이디이기도 하다. 컴퓨터 통신의 기능은 아주 많이 있겠지만, 영화 <접속>이나 <하루>에서의 기능을 본다면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다는 것은 먼 곳에서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의 만남을 주선해 주는 아주 고마운 현대판 매파이기도 하다. 간편하기도 하고 개인적이라 편하기도 한 이 도구는 여러면에서 아주 고마우면서도 매력적인 수단이기도 했다.

그러한 면에서 영화 <하루>는 솔직히 <접속>보다는 컴퓨터 통신을 하면서 있을 수 있는 갖가지 상황을 더 잘 표현해 보인다는 데 있어 한 수 위였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화면 앞에서 대담해 져보고 싶어지는 여자의 마음이라든가, 특히 성(性)적인 부분에 관한 표현 같은 것들이 보다 사실적이었으며 영화 속의 주인공들의 컴퓨터 생활이 보다 설득력이 있어 보였다. 또 매일 반복되는 생활 속에서 집에 돌아가 컴퓨터를 켰을 때 자신에게 온 메일을 볼 때 느끼는 들뜬 감정을 컴퓨터 화면으로 보여주면서 주인공와 관객을 동일시 할 수 있게 한다거나 하는 부분은 영화 <하루>가 통신이라는 매체 자체게 대해 감독이 얼마나 고민했는지 하는 생각을 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말하자면 <하루>에서의 주인공은 통신 자체에 무게 중심이 가 있으며, 영화 <접속>에서의 주인공은 통신을 통해 만나는 남녀들에 더 무게감이 실려 있다는 점이 주는 차이가 그런 부분들로 표현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 면에서 영화 <하루>는 멜로드라마적인 부분은 보다 개인적이며 사색적이 더 은근한 맛이 있다. 오랜 통신 친구를 우정도 아니고 연정도 아닌 부정확한 상태에서 만나는 모습에서 사랑에 대해 피상적인 생각을 하며, 자기 안으로만 움츠려 드는 현대인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가는 전철을 통해 각자의 존재를 멀리서 느끼기만 하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하루>의 카메라는 사실 기대만큼이나 두려운 첫 만남의 모습을 너무 잘 표현한 부분이기도 하다. 사실 <접속>에서 영화티켓을 보내면서 만날 장소를 정하는 모습에 비해 이 장면의 파장이 훨씬 더욱 깊게 느껴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게 컴퓨터 통신은 사람과의 만남에 있어서 사람을 용감하게 만들기도 하고 때로는 소극적으로 만들기도 했던 소통의 수단이었던 것이다.

감독 모리따 요시미츠의 영화 <하루>는 사랑과 컴퓨터 통신이 우리들 삶 속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잘 표현하고 있는 현대적인 감각의 영화다. 이 영화의 감독은 현재 일본 감독들 중에서 젊은이들의 감수성에 관해 자기 나름대로의 잣대를 가지고 젋게 표현하는 사람임에 틀림이 없다. 이 영화는 사실적인 방법으로 그리고 조심스럽지만 숨기지 않는 솔직한 표현으로 한번이라도 제일 처음 낯설면서도 들뜬 느낌을 가지고 통신친구를 사궈 본 사람이라면 느낄수 있는 그런 설레임을 충분히 알수 있게 하는 사실적인 영화다. 영화 속에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면 그 방법이 어떤 방식이었는지에 관계없이 그 표현법은 높이 살만하다. 영화 <하루>는 그런 질문을 충분히 던질 수 있는 영화이다.
by kinolife 2006. 11. 21. 00:1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