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 生物と無生物のあいだ
글 :후쿠오카 신이치(福岡伸一)
번역 : 김소연
출판사 : 은행나무
출판일 : 2008년 06 초판 1쇄
가격 :12,000


독서 토론 두 번째 선정도서....

과학책이면서도 전혀 고루하거나 딱딱하지 않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없는 과학과 그 과학의 연구를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이다.

학자도 사람이고 연구도 여러 사람이 함께 해야하고 그 사이 인간관계도 있도(여기도 인간에게 정치력이 요구된다!) 다양한 인간성이 만들어내는 과학의 역사가 던져주는 이야기들은 과학이지만 과학이면, 혹은 과학을 걸치고 이는 인간살이에 대한 엿보기라 아주 쉽게 읽힐 수 있게 한다.
과학의 주변 이야기 만큼이나 무생물과 생물 중간에 걸쳐 있늠 미세한 분자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은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과학도 재밌고 과학을 둘러싼 이야기도 재미있다.

- 책 속의 좋은 글 -

"바이러스는 영양을 섭취하는 법이 없다. 호흡도 하지 않는다. 물론 이산화타소를 배출하지도 않을뿐더러 노폐물을 배출하는 일도 없다. 즉 일체 대사를 하지 않는다.즉 일체 대사(代謝)를 하지 않는다. 바이러스를 혼합물이 없는 순수한 상태로까지 정제시킨 후, 특수한 조건에서 농축하면 '결정(結晶)으로 만들 수 있다. 이는 촉촉하며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세포에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결정은 같은 구조를 갖는 단위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채워지며 생성된다. 이런 점을 보더라도 바이러스는 광물과 흡사한, 틀림없는 물질인 것이다. 바이러스의 기하학적 성질은 단백질이 규칙적으로 배치된 딱딱한 껍질에서 유래한다. 바이러스는 기계들의 단순한 물질과는 분명히 구분 짓는 유일한, 그리고 가장 큰 특성이 있으니 바로 스스로를 증식한다는 것이다. 바이러스는 자기 복제 능력을 갖고 있다. "

"바이러스는 단독으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바이러스는 세포에 기생해야만 복제가 가능하다."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서 방황하는 그 무엇이다. 만약 생명을 '자기 복제하는 것'이라고 정의 내린다면 바이러스는 틀림없이 생명체다. 바이러슥 세포에 달라붙어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스로를 증식 시키는 모습은 기생충과 전혀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바이러스 입자 단위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그것은 무기질적이고 딱딱한 기계적 오브제에 지나지 않아, 생명으로서의 움직임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DNA의 이중나선은 서로 상대방을 복제한 상보적 염기 서열 구조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중나선이 풀리면 두 개의 가닥, 즉 플러스 가닥과 마이너스 가닥으로 나뉜다. 플러스 가닥을 모체로 삼아 새로운 마이너스 가닥이 생기고, 원래의 마이너스 가닥에서 새로운 플러스 가닥이 생성되면 두 쌍으 새로운 DNA 이중나선이 탄생하게 된다." 그렇다면, 누가 세계 최초로 DNA=유전자 라는 것을 발견했을까? ->오즈월드 에이버리

"이건 이런 것임에 틀림없다!. 와 가튼 직감은 대부분의 경우 잠재적인 선입견이나 다순한 도식화의 산물이며, 자연계 본연의 잠재적인 선입견이나 단순한 도식화의 산물이며, 자연계 본연의 모습과는 거리가 있거나 다른 경우가 많다."

"지적(知的)이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자기회의(自己懷疑)가 가능한가 아닌가에 달려 있다."

"오래된 대학의 교수실은 어느 곳이나 죽은 새 냄새가 난다."

"살아 있는 생명은 끊임없이 엔트로피를 늘린다. 즉 죽음의 상태를 의미하는 최대 엔트로피라는 위험한 상태로 다가가는 경향이 있다. 생물이 그런 상태에 빠지지 않게 하는, 즉 생존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부의 엔트로피=질서'를 섭취하는 것이다. 실제로 생물은 항상 부의 엔트로피를 '먹음'으로써 살아있을 수 있다."

"생명이란 요소가 모여 생긴 구성물이 아니라 요소의 흐름이 유발하는 효과인 것이다. <생명이란 동적 평형 상태에 있는 흐름이다."

"끊임없이 파괴되는 질서는 어떻게 그 질서는 유지하는 것일까? 그것은 곧 흐름이 계속되면서도 어떻게 평형 상태를 취할 수 있는가를 붇는 질문이다."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미천한 인식이다. 그리고 간과했던 것은 '시간'이라는 단어였다."

"우리는 한 개의 유전자를 잃은 마우스에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에 낙담할 것이 아니라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라워해야 한다. 동적 평이 갖는 유연한 적응력과 자연스러운 복원력에 감당해야 한다."

by kinolife 2010. 10. 28. 15:18
부제 : 우리 시대 최고의 과학자 23인과의 대화
글: 루이스 월퍼트 (Lewis Wolpert)
     앨리슨 리차드(Allison Richard)
번역: 이숙연
감수: 신정섭
출판사: 다빈치
2001.09.10 1판 1쇄

근래엔 많이 죽은 감이 없지않아 있는 인터넷 서점 모닝 365가 잘 나갈 때 할인 이벤트라는 말에 덥석 사서 읽었던 책..

과학은 나와 상관없는 일이거나 무관심하거나 다분이 따분한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책은 과학자도 사람이고 과학도 사람의 생활과 삶에 녹여진다는 걸 알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이었다.

하지만 멀게 아니 높게 느껴지는 과학자는 내가 과학에 많이 무지하기 때문에 더욱 더 그런 것 같다.

"'서식지'밖에 사는 과학자란 생물은 낯설어 보인다."

"아름다움은 자연계의 복잡함 속에서 있다고 생각 합니다. 아름다움은 눈 앞의 현실 속에, 단순함과 복잡함이 서로 싸우는 빠듯한 긴장 속에 있습니다."-로알드 호프만 박사

"논문에서 최초 열 개의 각주에서 빠져 있는 인물을 아는 것은 포함되어 있는 사람을 아는 것보다 중요한 경우가 있습니다."-로알드 호프만 박사

"실제로 말머리라는 것은 아주 간단합니다. 거의 대부부의 사람들은 발명가인데 그 사실을 깨닫지 못했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로 머리를 쓰는 것은 무엇이 필요한지를 생각하는 부분일 것입니다."-제임스 러브룩 박사

"그런데 자네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 노는 것처럼 보이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엘윈 사이몬즈 박사

"행운은 준비되어 있는 마음에 편을 든다."-루이 파스퇴르 박사

"우연을 행운으로 바꾸는 것은 그것을 받아들인 사람의 통찰력이라는 것도 또한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니콜 드 두아랭 박사
by kinolife 2006. 10. 18. 00:2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