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4년, 일본, 100분
영어 제목 : Thirty Lies or So

감 독 : 오오타니 켄타로(大谷健太郎)                                 출 연 : 시이나 킷페이(椎名桔平) 
각 본 : 츠치다 히데오(土田英生)                                                 나카타니 미키(中谷美紀)
          오오타니 켄타로(大谷健太郎)                                           츠마부키 사토시(妻夫木聡)
          와타나베 아야(渡辺あや)                                                 타나베 세이이치(田辺誠一)
원 작 : 츠치다 히데오(土田英生)                                                 야시마 노리토(八嶋智人)  
음 악 : 크레이지 켄 밴드(Crazy Ken Band, クレイジーケンバンド)  반 안리(伴杏里) 

 

사용자 삽입 이미지
3년 전에 함께 작업을 하고도 공을 빼앗겨버린 조금은 삐릿해 보이는 사기꾼 일당은 다시 한번 있을 큰 건을 위해 재회한다. 하지만 과거의 껄끄러운 기억과 함께 새롭게 합류한 신참도 꽤 분위기를 겉돌게 하는 찰나 3년 전의 물거품 작전의 주역이 등장하면서 분위기가 싸해 진다. 가슴이 크고 젊은 이 여성은 나이든 여성의 눈총 사이에서도 뭇 남성들의 지원을 받아 다시 팀에 합류해 일본 지역을 돌면서 작업에 돌입한다. 정거장을 지나면서 새로운 도시를 만나는 영화속의 무대 기차여행처럼..이들의 작업은 고정적이지도 반복적이지도 않아 보이고 꽤 이벤트 처럼 들뜬 분위기를 연출한다. 꽤 명망 높은 일본의 배우들이 출연하는 영화 <약 서른가지의 거짓말>은 꽤 흥미로운 코미디 영화다. 살짝 꼬인듯 오가는 배우들의 대화를 따라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자신들이 모르는 타인들을 속여서 돈을 벌면서 자기네들 끼리 속이고 속이다 결국 돈을 잃고 마는 관계의 변화를 그려내는 점이 꽤 눈에 들어온다.

3년 전에 황당한 경우를 당한 적이 있는 사람들은 다신 그런 과오를 겪지 않고 고스란히 자신의 몫을 가져 가고 싶다는 것과 함께,  가능하다면 자신이 고스란히 먹고 싶다는 꿈을 피력하지만 바보들의 아이큐 게임처럼 자멸의 길을 걷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안에는 영화의 제목으로 추측이 가능할만한 여러가지 거짓말(약 서른번인지는 모르겠다.) 들이 극의 진행을 미묘하게 끌어가는데 그 과정 자체가 꽤 흥미로운 진행을 이끌어 간다. 특히 그러한 진행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은 짜임새 있는 구조도 있겠지만, 그걸 풀어가는 배우들의 연기 역시 눈에 띄는 부분이다. 일본의 영화나 드라마를 보다보면 꽤 많은 얼굴을 볼 수 있는 시이나 킷페이, 나카타니 미키, 츠마부키 사토시, 타나베 세이이치 등의 능글능글한 연기는 이 영화가 준작 이상의 가치를 유지하게 한다.

원작자가 직접 영화의 각본을 만져준 이 영화의 영화적인 이야기에 힘을 보탠 사람은 영화 <조제 호랑이 물고기>의 각본가 와타나베 아야의 글매무새가 느껴지는 부분은 6명의 어눌한 사기꾼들 이면에 숨겨져 있는 인간적인 면모를 엿볼 때이다. 남자를 꼬셔서 일당의 거액 7억을 가지게된 소녀의 마음에 남아 있는 씁쓸한 외로움이나...마음에 두고 있는 남자를 위해서 기꺼히 거액을 넘겨주는 여자... 서로 속고 속이면서도다시 일하자고 마음을 모으는 이들은 돈 이외에 많은 것들을 가지고 싶어 하는 사람의 일면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영화속의 거짓말을 찾아보는 치밀함을 가지기 않더라도 충분히 흥미로운 100분을 즐길 수 있는 영화다. 영화 속의 음악 역시 꽤 영화에 흥을 불어넣는다.

                           '하나의 큰 거짓말은 약 서른개의 작은 거짓말을 했을 때 성립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9. 1. 5. 23:34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일본, 111분

감 독 : 니나가와 미카(蜷川実花)
각 본 : 타카다 유키(タナダユキ)
원 작 : 안노 모요코(安野モヨコ)
 
 
출 연 : 츠치야 안나(土屋アンナ)
           시이나 킷페이(椎名桔平)
           나리미야 히로키(成宮寛貴)
           키무라 요시노(木村佳乃)
           칸노 미호(菅野美穂)
           이치카와 사단지(市川左團次)
           이시바시 렌지(石橋蓮司)
           나츠키 마리(夏木マリ)  
           안도 마사노부(安藤政信)
           나가세 마사토시(永瀬正敏)
           미나미(美波)    
           야마모토 히로시(山本浩司)
           코이케 아야메(小池彩夢)
           엔도 켄이치(遠藤憲一)   
           안노 히데아키(庵野秀明)

음 악 : 시이나 링고(椎名林檎)



일본의 화류계에 등장하는 새로운 신예 사쿠란...
시기도 부정확하고 장소 역시도 확실한 것이 없은 어느 공간과 시간...작은 기방에 모인 여인네들의  화려하지만 쓸쓸한 일상을 아주 화려한 색채감으로 담아낸 독특한 영화. 고아와도 다름이 없는 가난한 시대의 어린 여자아이들은 이미 기생이 되어 있는 기녀들의 수발을 들면서 자신들도 기방 안의 화려한 여인네가 되기 위한 수련을 받으면서 기녀로서의 꿈을 키워 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최고로 잘나가는 기녀 쇼히의 수발을 들게 된 키요하는 낯선 남자들에게서 몸을 파는 쇼히의 모습에서 자신의 미래에 대한 우울한 직감을 갖게 된다. 빠져 나가고 싶지만 딱히 방법이 없는 키요하는 기방의 뜰 안에 놓인 벚꽃을 보면서 언젠가 거 벚꽃나무에 벚꽃이 열리면 이 곳을 떠날것이라는 기대만을 품고 세월을 이겨낸다.

자신이 모시던 쇼히가 높은 가문의 첩으로 시집을 가게 되는 날, 쇼히로 부터 언젠가 첫날밤을 치르고 나게 되면 써도 좋다면서 노리게 하나를 주고 가는데..그 순간 키요하도 자신 역시 쇼히처럼 될 것이라는 운명을 직감한다. 시간은 흐르고 운명대로 키요하는 쇼히 때무터 어항 안에 갖혀 있는 금붕어 처럼 자신 역시 작은 기방에 갖힌 빨간 꽃이 되어 가고 있음을 알게 된다.

같은 운명을 한 기녀들 사이의 질투와 암투를 뒤로 하고라도..무엇 하나 미래를 감내할 길이 없는 이 여자들의 하루 하루는 영화의 화면을 가득 채운 기모노의 색깔과 화려하다 못해 눈이 부신 영화 속의 그림들로 인해서 아믈한 기녀들의 운명을 뒤로 하고 시각에 빠져들게 한다.

주인공들의 화려한 매일 매일처럼..영화는 색채감 100% 만족을 위해 하이 스피드로 달려가는 독특함을 표현해 준다. 일본색이 강하다 못해 쓰러질 듯 터져 나오는 기모노의 무늬와 색깔을 뒤로 하고서도 색의 대비를 강조한 세트와 풍경들은 일본의 극단적인 전통의 색깔 안으로 빠져 들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음을하면서 독특한 목소리를 지닌 츠치야 안나를 필두로 역시 독틈함이라면 빠지지 않은 음색의 소유자 칸노 미호까지 화려한 기녀들은 시대와 세월을 초월해서 영화를 보는 이들의 눈을 즐겁게 한다.

자신이 속한 세계를 경멸하면서도 그 안에서 최고의 위치로 적응해 가는 키요하는 자신이 인생을 헤쳐가기 보다 적당이 거부하고 즐기면서 운명에 맞겨 버림으로서 자신도 모를 자유를 찾는다. 영화는 궁극에 이르러 키요하의 기방 탈출로 마무리 하면서 풍족함으로 쌓인 화려함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찾지 못하는 이들에 대한 오래된 역사를 반하는 영화적인 캐릭터를 구현한다. 워낙 사실적인 내용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 모두가 세트화 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하는 영화는 화려한 화면만큼이나 독특한 시이나 링고의 음악 덕분에 더더욱 시간을 초월한 특이한 공간 안에 관객들을 위치 시킨다.

영화의 줄거리는 파격적인 내용보다는 일반적인 플롯 안에 놓여 있지만 그 지루할수도 있는 내용을 배우들의 의상에서 보여주는 색채감과 음악을 통해서 충분히 상쇄 시키고 독특한 영화로서 자리 매김한다. 키요하 역을 맡은 츠치야 안나의 연기는 영화 속의 주인공와 딱 맞아 떨어지는 듯 독특한 매력을 발산한다. 그녀의 음악에서 보여지는 독특함이 영화 안에 고스란이 묻어나는 듯 하다.
일본에 관한 일본색에 관한 탐구가 필요한 이들이라면 필히 봐야 할 신세대적인 일본영화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드는 작품이다. 일본의 기방이 가지고 있는 고즈넉하고 꽉 짜여진 범절이나 규칙과는 거리가 먼 날것들이 살아서 숨쉬는 것 같은 활기를 시대를 초워해서 보여주는 독특한 영화다. 영화 속의 빠른 속도감은 그런 뉘앙스를 더욱 더 강하게 풍겨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5. 18. 03:09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112분,
영어 제목 : What The Snow Brings

감 독 : 네기시 키치타로(根岸吉太郎)
각 본 : 카토 마사토(加藤正人)

출 연 : 이세야 유스케 (伊勢谷友介)
          사토 코이치(佐藤浩市)
          코이즈미 쿄코(小泉今日子)
          후키이시 카즈에(吹石一恵)
          야마자키 츠토무(山崎努)
          쿠사부에 미츠코(草笛光子)
          카가와 테루유키(香川照之)

음 악 : 이토 고로(伊藤ゴロー)

도쿄에서 사업에 실패하고 모든 뒷정리를 죽마고우에게 떠 넘겨두고 도피생화를 하던 마나부는 고향인 홋카이도로 자연스럽게 발길을 이끌게 된다. 형이 운영하는 경마장에서 휴식을 가장한 도피생활에 들어간 마나부는 도쿄에서 잘 나가는 사장이 아니라 빚더미에 앉고서 이혼까지 당한 실패한 중년이 되어가고 있음을 더욱 더 느끼게 된다.

끊임없이 눈이 내리는 고향의 경마장에서 이미 절반 이상 무너져 버린 자신의 인생을 다시 일으킬 수 있을까. 마나부는 그저 답답해 하면서도 조금씩 경마장에서의 생활에 적응하게 된다. 사업에 실패하고 어떻게 재기해야 할지 전혀 생각이 들지 않는 마나부와 비슷한 운명을 가지고 있는 경마말 운류를 만나면서 마나부는 조금씩 자기도 모르는 인생의 재기 가능성의 느끼게 되는데..그건 인생의 끝 앞에 놓인 사람과 말의 현재가 무척이나 닮아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정 금액의 수익을 내지 못하는 늙은 말은 바로 말 육회로 되어간다는 승부의 세계의 극점에 다달아 있는 말 운류...재기라는 이름을 떠올리기엔 자산을 둘째 치고 자기 인생에 희망을 못 느끼는 마나부처럼 이 둘은 인생의극한에 와 닿아 있다.

운류를 돌보면서 상처입은 자신을 투영한 마나부는 재기의 발판이 마련된 마지막 일수도 있는 운류의 시합을 위해서 최선을 노력을 다해서 돌본다. 마치 자신의 상처를 스스로 치유하려고 하는 노력처럼... 운류의 마지막 경기를 앞둔 시점에 마나부는 눈덩이를 지붕에 올려두면 신이 그 바램에 응답한다는 고향 경마장의 풍습에 따라 조용히 눈덩이를 지붕 위에 올려두고 도쿄로 떠난다.

마나부는 확인 하지 않았지만 운류는 우승하고..그 바램처럼..소박하지만 작게라도 자신의 인생을 설계 할 수 있을까? 영화 속의 마나부는 적어도 절반 이상의 가능성을 가지고 도쿄로 떠나는 것 처럼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둔탁하게 생긴 말의 모습..우직하게 진행되는 경기마의 경주 안에 담긴 주변 인물들의 삶을 통해서 스스로의 삶에 대한 선택의 의미를 부여하는 조용한 영화.. 훗카이도의 조용한 마을 풍경을 뒤로 하고 주인공이 겪는 호사스러운 고민과 포시랍은 성격을 보면서 어이구 이 자식아...라는 말이 쏟아져 나오기도 했는데..어찌 보면 내가 사는 내 삶도 영화 속의 주인공에 비해 오백보 백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비루하고 별 볼일 없는 것이 평범한 수 많은 인생들에게 적지 않은 위로가 될 수도 있는 영화...지루한 영화이 끝을 쫒아가다보면..맞아 인생이 머 별건가..흥하고 망하고를 반복하고 스스로에게 실망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폐 끼치고..그렇게 늙어가는 것이 아니었나..라는 생각을 하고는 씩 웃게 된다.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스스로에게 작은 희망을 가질 수 있다면 그걸로 또 좋지 않나...라는 희망 어린 위로도 함께 가져 볼 수 있게 한다. 영화는 훗카이도의 느리게 지나가는 것 같은 시간개념처럼 느리게 별 욕심 없이 그려지고...깊거나 충격적인 인상을 전해 주지도 않는다. 하지만 그 느린 속도감이 우리 인생에 주어지는 보약같은 효과가 얼마나 많은지 다시 한번 더 상기하게 하는 영화다. 지금 내 인생을 다시 한번 스스로 평가 해 보게 된다...말 육회가 될 정도는 안되겠지라는 작은 기대를 가지면서...
by kinolife 2008. 3. 22. 00:3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후지 TV
방 영 : 1997.01.03 - 1997.01.03
각 본 : 미즈하시 후미에(水橋文美江)
감 독 : 나가야마 코조(永山耕三)

출 연 : Smap
          키무라 타쿠야(木村拓哉)
          이나가키 고로(稲垣吾郎)
          쿠사나기 츠요시(草なぎ剛)
          히로스예 료코(広末涼子)
          세토 아사키(瀬戸朝香)
          스즈키 호나미(鈴木保奈美)
          나카이 마사히로(中居正広)
          카토리 신고(香取慎吾)
          츠루타 마유鶴田真由)
          마츠 타카코(松たか子)
          세토 아사카(瀬戸朝香)
          스즈키 호나미(鈴木保奈美)
          시모조 마사미(下條正巳)
          탄아미 야츠코(丹阿弥谷津子)
          우에키 히토시(植木等)
          카라사와 토시아키(唐沢寿明)
          시이나 킷페이(椎名桔平)
          아사노 카즈유키(浅野和之)
          코히나타 후미요(小日向文世)
          아이지마 카즈유키(相島一之)
          노기와 요코(野際陽子)
          키시타니 고로(岸谷五朗)

과거를 거슬러서 일본의 드라마가 담긴 책장을 연다면 SMAP의 주인공들이 등장하지 않은 작품을 찾기 힘들 정도로 그들의 흔적은 아주 쉽게 찾아진다. 개인적으로 언어의 불이해를 넘어서도 쿠사나기 츠요시의 연기력에 스스로 감동 받은 적도 있으니 이들 5명의 사내들이 만들어 낸 일본의 연예작물은 가히 역사적으로 대단하게 느껴진다. 이 드라마 역시도 이 들의 풋풋함을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 변두리 고등학교 장거리 달리기 선수들이 성장해 가는 과정을 순진하게 그리고 있다.

조금은 판에 박힌 줄거리..(고등학교 시절 함께 달리면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했던 친구들이 어른이 되면서 시기와 질투를 가지게 되고 미래의 성장에 따라 겪게 되는 간극을 친구의 죽음과 추억되살리기를 통해서 다시 찾게 된다는 이야기..라이벌인 친구가 한 여자들 놓고 줄다리기 하는 모습 역시도 친구 이기에 더 투철하게 갖고 싶고 친구의 것이기에 더 탐나는 설정 역시도 10년 전이라는 제작년도 만큼이나 낡은 설정이다.

새로움이나 신선함 재미나 즐거움 보다는 일본 드라마의 전형을 아니, 드라마라는 장르의 전형을 볼 수 있는 교과서 같은 드라마다.


by kinolife 2007. 4. 8. 06:5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리즈명 : 드라마 컴플렉스
제 작 :NTV
방 영 : 2005년 11월 22일
각 본 : 카마다 토시오(鎌田敏夫)
원작 : 카마다 토시오(鎌田敏夫)
감 독 : 이자키 노부아키(猪崎宣昭)

출 연 : 시이나 킷페이(椎名桔平)
          야마자키 츠토무(山崎努)
          혼조 미나미(本上まなみ)
          네기시 토시에(根岸とし江)
          이케우치 만사쿠(池内万作)
          테라다 미노리(寺田農)
          아사미 코시로(浅見小四郎)
          카토 미츠루(加藤満)
          오오무라 나미히코(大村波彦)
          옹화영(翁華栄)


한국을 오가면서 드라마를 찍은 흔적이 어찌 이리도 일본에 비해 한국을 비하하는 듯한 뉘앙스를 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건 선입견인지 모르겠지만, 찾을려면 없는 건 아니다.
2년 전 드라마 인데도 무척이나 오래된 한 느낌. 일본드라마에 방영 될 한국의 모습은 무척이나 낙후되고, 혹은 삶에 찌든 사람들 얼굴들 클로즈 업이라든가...퉁명스러운 표정에 퉁명스러운 태도의 한국인들..그리고 급기야 일본의 불한당이 한국을 바꿀 수 있을거라는 국민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차기 대통령 후보라....

일본에서 시작된 살인 사건과 아버지에 대한 과거를 찾아가는 형사...
등장인물의 구도도 좀 이상하지만, 그 안에 있는 인물들도 상당히 이상하다. 특히 한국에 있는 사람들의 캐릭터는 상당히 이상한데, 일본인이라는 한국의 국회의원도, 그의 딸로 나오는 윤희도(여기서 이 여배우의 이름이 궁금하다. 한국 배우인걸로 보이는데 이름은 모르겠고, 일본어가 유창해서 그나마 전체적으로 감정처리나 연기를 부족한데도 일본어로 많은 부족함을 배우는 성형미녀..누군지 조금 궁금하다.), 그리고 그녀를 사랑한다는 경호원도 이상하다. 해결하지 못한 가족의 이야기가 한 나라를 쥐락 펴락한다는 이야기 자체가 웃긴다. (한국의 정치를 그렇게 우습게 보다니...아들이 군대 안 간 걸로 당선에서 멀어지는데, 일본인이 대통령 유력후보가 될 수 있다는 발상 자체가 황당하게 느껴진다.) 대통령 후보를 아니, 아니 아버지의 얼굴을 가격하는 아들 역시도 황당한 캐릭터 아닐런지, 아머지가 둑어가는데, 아들은 옛여자랑 만나서 행복할 수 있는가?.... 배우들의 한국어, 일본어를 넘다드는 어색함을 뒤로 하고라도...한국과 일본의 관계에 대한 드라마들은 왜 이렇게 하나같이 한가지 시각이나 의식으로 편중되어 있는지 모르겠다. 불쾌한건 둘째 치고...재미마저 없는 수준이하의 드라마다. 이래서 드라마에서도 사실성은 중요하다. 역시 또 다른 선입견 하나 !! NTV에서 방영하는 드라마는 별로 재미있는게 없는거 아닐까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 22. 04:4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어 제목 : Jubaku: Spellbound
1999년, 115분, Color
감 독 : 하라다 마사토(原田眞人)
각 본 : 타카스기 료(高杉良)
          스즈키 사토루(鈴木智)
          키노시타 무기타(木下麦太)
원 작 : 타카스기 료(高杉良)

출 연 : 야쿠쇼 코지(役所廣司)
          나카다이 테츠야(仲代達矢)
          시이나 킷페이(椎名桔平)
          야지마 겐이치(矢島建一)
          나카무라 이쿠지(中村育二)
          와카무라 마유미(若村麻由美)
          후부키 준(風吹ジュン) 
          타키가와 유미(多岐川裕美)
          네즈 진파치(根津甚八)
          사토 케이(佐藤慶)
          이시바시 렌지(石橋蓮司)
          엔도 켄이치(遠藤憲一)
          모타이 마사코(もたいまさこ)
          혼다 히로타로(本田博太郎)
          우메노 야스키요(梅野泰靖)
          코바야시 카츠히코(小林勝彦)  
          야마모토 키요시(山本清)
          카츠베 노부유키(勝部演之)
          와카마츠 타케시(若松武史)
          쿠로키 히토미(黒木瞳)
          나이토 타케토시(内藤武敏)  
          야마사키 세이스케(山崎清介)  
          오오타카 히로오(大高洋夫)  
          오오니시 토모코(大西智子)  
          키노시타 호우카(木下ほうか)  
          키시 히로유키(岸博之)  
          타구치 토모로오(田口トモロヲ)  
          무라카미 준(村上淳)  
          모토미야 야스카제(本宮泰風)  
          타카스기 료(高杉良)  
          유진(遊人)  
          코모토 쿄이치(古本恭一)  
          이마이 아즈사(今井あずさ)  
          오오시로 에이지(大城英司)  
          다이몬 슈조(大門修三)  
          나카무라 료(中村亮)  
          우메자와 켄스케(梅沢健祐)  
          나미키 시로(並樹史朗)  
          타테 고타(殺陣剛太)  
          이노우에 하지메(井上肇)  
          미즈카미 류시(水上竜士)  
          미츠오카 유타로(光岡湧太郎)  
          카토 미츠루(加藤満)  
          아오키 테츠진(青木鉄仁)  
          요시이에 아키히토(吉家明仁)  
          혼고 겐(本郷弦)  
          미우라 하루마(三浦春馬)  
          오오타니 레이나(大谷玲凪)  
          마치다 마사노리(町田政則)  
          요시자키 노리코(吉崎典子)

음 악 : 카와사키 마사히로(川崎真弘)

언젠가 우리 나라에서 일본을 비방하는, 아니 일본의 속을 들여다본다는 명목으로 그들의 단점들으 재미삼아 씹던 때가 있었다. 전여옥의 베스트셀러 [일본은 없다]에서부터 시작된 일본의 단점 헤집기는 그 비슷한 소재를 다룬 수십권의 책들이 출판되면서 논쟁의 소재과 되고 서점가에서는 유행의 정점이 된 것이었다.

그 이후, 2001년 봄에는 일본 스스로가 그런 소재를 가지고 쓴 소설이 모티브가 된 영화 한편을 국내 극장에서 만날 수가 있다. 소설을 쓰기만 하면 서점가를 긴장시킨다는 미국의 소설가 존 그리샴처럼 일본의 서점가를 들뜨게 하는 작가가 있다. 그의 이름은 다카스키 료(高杉 良). 그의 소설 [금융부식열도]는 출간되자마자 출판사의 예측대로 빅 히트를 기록하며 서점가를 휩쓸고 뒤이어 하라다 마사토(原田眞人) 감독에 의해 영화로 만들어진다. 제목하여 <쥬바쿠:금융부식열도> .

영화 <주바쿠>를 만든 하라다 마사토 감독은 <카미가제 택시><바운스>등을 통해 일본의 부폐를 소재로 수준 높은 상업영화를 만들어 온 감독이다. <카미가제 택시>가  일본의 과거 정치계의 부폐를 다루고 있다면 영화 <바운스>는 일본의 십대들을 통해 현재 일본 성문화의 실태와 어른들의 비뚤어진 인생관을 비꼬고 있는 작품이. 그래서 1999년에 그가 선보인 영화 <쥬바쿠-금융부식열도>는 일본의 금융계의 비리를 소재로 하고 있다니 그의 날카로운 영화감각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기대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전의 영화들과 마찬가지로 <주바쿠> 역시 상업영화의 틀 속에서도 마치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긴장감과 사실감을 놓지치는 않는다. 금융계와 정치, 그리고 이들과 연결고리를 놓고 있지 않는 야쿠자의 공포까지 영화 곳곳에는 부폐의 연결고리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시킨다. 물론 전작에 비해 긴장감이나 문학적 혹은 영화적인 드라마 전개는 지루함이라는 또 다른 복병 앞에서 쓰러져 안따까운 모습을 보이긴 하지만, 앞서 언급한 영화들과 마찬가지로 야큐쇼 코지와의 작업을 통한 균형을 깨트리지 않는 미덕만은 챙긴다. 평범한 은행원으로 출연한 야큐쇼 코지는 하라다 마사토의 영화에서는 평범함에서 시작해 언제나 문제를 해결하는 해결사로 등장했는데 이번 영화 역시 그의 영화에 걸맞는 주인공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주바쿠(JUBAKU)'란 인간의 힘으로 제어할 수 없는 초자연적 존재나 신비로운 힘에 사로잡힌다는 뜻을 가진 단어, 그렇다면 영화 속의 주인공인 기타노(야큐쇼 코지)는 금융계 내에서 자신도 제어할 수 없는 어떠한 틀 속의 비리에 연루된다는 뜻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영화는 보기 전에 이미 제목에서 부터 음모와 암투라는 영화적인 흥미는 충분히 안고 있는 셈이 되며 그 암투가 어떤 결말을 향해 가는지를 지켜보는 것은 관객의 또 다른 즐거움일 테다.

일본의 거대함, 그 속에서 최고의 금융계 속에 걸린 덫, 어느 자본주의에서나 볼 수 있는 불법대출과 이에 따르는 해당 은행의 공신력 추락과 은행자체 존립에 대한 불안 등은 영화의 기초적인 문법에 해당되는 영화적인 존재이며, 그 사실을 모르는 은행원들은 자신이 다니던 회사의 부폐에 경악하는 것은 영화의 사건이 된다. 그리고 그 부폐의 시작이 자신이 믿고 있던 선배며 동료였으며, 그도 아닌 이들은 자신의 허물도 모른채 하루하루를 살던 바보에 불과했다는 점은 영화의 철학과 닿아있기도 하다. 부폐를 만드는 자, 알면서도 묵과하는 자, 무엇이 부폐였는지도 인식 못하는 자,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알게 된 후, 이를 변화시키려는 자, 영화 속의 사람들은 각각의 선택적인 방향 앞에서 쉽게 방관자과 되고 그래서 또 쉽게 패배자가 되는 단계에 대해 철저히 냉정한 시선으로 보여진다. 그래서 영화 <주바쿠>속에서의 악은 강하지 못한 인간들이 보편적으로 가지는 정서이며, 이는 곳 모든 평범한 사람들의 모습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우울한 잔상을 남긴다. 이 영화 속에서도 소재가 단지 금융계이지 악과 선의 기준이 바뀐다거나 인생이 변화한다거나 하는 큰 변화는 없는 것이다.

‘그래서일까? 이전의 영화에 비해 <주바쿠> 안에서 그가 지적하고 있는 ‘악’의 실체가 깊게 다가오지는 않는다는 점에서는 아따까움까지 엄습한다. 마치 녹이 쓴 펜으로 옛날 이야기를 끄적이듯 충격적이지도, 새롭지도 않게 이야기와 우인공들의 무대만 옮겨왔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일본에 있었다는 금융계의 부폐를 실제 몸으로 느껴보지 못한 우리로서는 영화속의 재미에만 의존해 이 영화를 평가해볼 때 그저그런, 그냥 실패한 상업영화 쯤으로 보이게 한다는 거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단지 그가 건드리고 있는 소재가 다큐멘터리적인 그의 카메라에 의해 진지한듯 보일 뿐, 영화적인 재미는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누가 알겠는가, 현재 일본의 문제가 영화 속에서 재미가 된다니….마치 이런 문구를 암시하는 듯. '우리 모두는 썩어가도 영화는 만들거다. 그것이 영화의 소재가 되는 것이다. 사회는 썩어가도…영화는 만들어질 뿐이지', 일본만이 아니라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사회 속의 악이 들춰진다는 점에서 조금은 씁쓸함을 느낀다. 아! 누구는 영화의 내용이 아니라 영화가 재미없기 때문이라고 말할지도 모르겠다. 반복해서 생각을 하다보니 쓸쓸함의 근저에는 다른 어떤 구체적인 이유보다도, 영화가 재미없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더욱 더 커지는 것 같다.  

by kinolife 2006. 10. 14. 21:48



제 작 : 후지TV
방 영 : 1999년 1월-3월
감 독 : 다케우치 히데로키(武內英樹)  
          나가야마 코조(永山耕三)
          하스미 에이이치로(羽住英一郎)
각 본 : 키타가와 에리코(北川悅吏子)  
음 악 : 타케베 사토시(武部聡志)

출 연 : 소리마치 타카시 (反町隆史),
          에스미 마키코(江角マキコ)
          키무라 요시노(木村佳乃
          카토 하루히코(加藤晴彦)
          이토 히아키(伊藤英明)
          니시다 나오미(西田尙美)
          이시다 유리코(石田ゆり子)  
          시이나 킷페이(椎名桔平)
                                                              
 주제곡: そのスピ-ドで (소노 스피도데) - The Brilliant Green  

부모님이 안 계신 집에 누나의 친구들과 함께 사는 사진작가 소이치로, 그리고 그 누나들과의 사이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어찌보면 이 드라마의 틀은 진부하기 그지 없다. 물론 끝도 없이 쏟아내는 연애에 대한 담론들은 결코 신선하지 않은..하지만 그냥 또 지나칠 수 없는 매력이 있는 드라마. 내 기억이 정확이 맞다면 SBS에서 채림, 최윤영, 이의정에다 최근에 크게 뜬 권상우를 엮어 만들어 냈던 드라마 <지금은 연애중>은 이 드라마들 배낀 것이 틀림 없어 보인다. 물론 1회, 2회를 보면 딱 떠오르는 생각이기도 하지만, 각 캐릭터들의 조금은 다른 듯 보이지만 같은 포지션이나 조금 변화됐지만 다를 것 없는 극중 인물들의 성격이나 직업 등이 그런 의혹을 버릴 수 없게 한다. 각 드라마가 방영된 시기(각각 1999년, 2000년)를 보아도 작가가 보고서 배끼기(참고가 아니가 배낀다는 과격한 단어를 쓴데는 그 만큼 차용한 정도고 심하기 때문이다.)에 적당한 딱 좋은 텀이 있으니 더더욱 심증을 확실케 한다.


이 드라마는 내가 수 많이 모아온 일본 드라마 중에서 솔직히 처음으로 본 일본 드라마이다. 구한지가 3년이 넘어서야, 그리고 보다 끊다를 5=6번을 반복하며 2년만에 다 본...남들이 들으면 그렇게 볼려면 보지 마라고 할 지 모르겠지만, 이상하게도 한꺼번에 혹은 단 시간에 다 보아내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았다. 그리고 다 보고 난 지금은 오랫동안 미뤄온 숙제를 끝낸 듯, 가뿐하고 기분도 좋다. 궂이 그 이유가 재미있는 드라마라는 것 보단, 20대 후반의 여자들의 연애담이 가지고 있는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예전에 들아왔던 못난이 공주 이갸기로 풀어온 것도 좋고, 욕심없고 솔직히 사랑을 하고 싶어하는 주인공들의 연애의 자세(?)에도 꽤 공감이 가기 때문이다.

실질적인 주인공인 나츠키와 소이치로는 친구의 동생, 누나의 친구이지만, 다른 누구보다도 각별한 사이이다. 특히 그들의 관계가 가장 빛날 때는 서로의 연애담에 대한 상담이 이루어지는 시간, 서로가 남녀로 보지 않는다는 상호전제 아래에서 이들의 대화는 진지하면서도 따뜻하고, 책임지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일면 솔직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더욱 더 사람의 마음을 파고 드는 것은 느닷없이 들리는 사랑한다는 말보다, 나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나의 상황을 함께 인지해주는 사람이라면 이 둘에게서 사건이 생기고 사랑을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과정인지도 모르겠다. 그런 면에서 별 뉘앙스를 남기지 않는 시시콜콜한 연애담에 머물지도 모르겠지만 이 드라마는 자뭇 소소한 재미를 던져주는 캐릭터와 아기자기한 에피소드들이 주는 유쾌함으로 단순한 이야기의 지루함을 깨고, 이러한 드라마들이 가지고 있는 그 빤한 오점을 털어낸다. 그 외에도 고민 썪인 대화와 역시 사랑의 몫을 보는 이들에게 돌려주는 영리함을 보여주면서 긴 여운까지 남겨 준다.

그걸 이뤄내기 위한 방법이란 누구나 바라는 연애의 성공 짝대기를 보는 이들이 원하지 않는 방법으로 결론 내리며,  그 결론의 이유로 '뒷모습'이라는 화두와 연애의 성격은 연애를 하는 당사자들의 성격을 따라간다는 연애의 숨은 법칙을 깨지 않으면서 사랑에 대한 물음을 던지는 영리함이다. 주인공 소이치로는 상대방을 먼저 생각하는 과묵한 남자. 역시 사랑을 쟁취하는 것에서는 한 발짝 물러 서 있다. 이런 반면 나츠키는 솔직하면서도 나름대로의 당당함을 지니고 있지만, 역시 상대방의 마음에 대해서는 바라는 것 만큼의 자신감을 가지지 못하다는 점에서 활달한 성격과는 달리 전형적인 여성의(연애라는 관점에서) 모습을 지니고 있다. 다른 말로 하면 결코 여우가 될 수 없는 나약한 여자의 전형이라 볼 수 있겠다. 역시 연애라는 관점에서... 이들 사이에 아니 이들의 사이가 생기기 이전에 있었던 나츠키의 또 다른 남자 쿠가는 이혼을 한, 그래서 사랑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지만 솔직하면서도 너그러운 성격의 기대기 좋은 남자. 말 그대로 마음에서 울리는 사랑의 짝대기는 소이치로와 나츠키겠지만, 현실적인 사랑의 짝대기는 쿠가와 나츠키, 우리 나라 드라마가 전자를 이뤄냈다면 이 드라마는 작가의 본 의도대로 후자의 사랑으로 매듭짓는다.

이유는 역시 상대방에 대한 마음, 그리고 드라마의 제목 "Over Time"을 보는 관점이리라. 사랑을 이루어진다 또는 이루어낸다라는 관점에서만 본다면 "Over Time"이란 다 끝났음=상대방을 얻는다는 점에서의 성취를 의미하겠지만 그것에 안주하지 않는다면 "Over Time"은 연장전이라는 또 다른 관계를 낳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드라마에 등장하는 대사 "똑같은 것이라도 보는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보인다"는 말처름 사랑 역시도 보는 위치에 따라 다르고, 사랑하는 사람도 보는 사람의 마음의 기준에 따라 다르지 않겠나, 역시 사랑은 영원보다는 찰나에 가깝고, 변하기도 잘 변하고, 변덕스럽기 까지 하다.

연애의 대상이란 앞에서 손을 내어 끌어주는 사람과 뒤에서 항상 지켜봐 주는 사람..어쩌면 연애에는 이 두 사람이 꼭 필요할 지도 모르겠다. 드라마 속의 나츠키 처럼 뒤에서 봐주는 사람과의 연애는 불안하면서도 끌리지만, 내가 또 언젠가 실연을 했을 때 티슈를 통째로가 아니라 뽑아다 줄 수 있는 배려깊은 사람을 잃기 싫기 때문이라고...사랑은 사랑대로 가지고 싶지만 그런 배려깊은 소중한 사람을 친구라는 이름으로 붙들어 매놓고 싶은 마음 역시 어쩔 수 없다. 역시 사람에 대한 욕심은 사랑보다 앞서 있는지도 모르겠다. 사랑의 연장전-Over Time-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그걸 버린 사람에게는 그것의 가치를 모르는 것이 아니겠는가!

-드라마 속 명대사-

"뭐랄까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이 자신을 좋아하는 것은 기적이야. 그런 기적이니까 하나님이 '연애'라는 멋진 이름을 지어준거잖아"

"한번 준 마음은 회수할 수 없는 것"

"난장판에 형편 없어도 혼자서 머리 싸매고 있는 것보다는 훨씬 좋잖아. 애교를 부리든 화를 내든 싸움을 해도 괜찮아. 아니면 뭐하러 이 세상에 이렇게 여기저기 사람들이 많겠어. 친구도 있고, 애인도 있고, 동반자도 있고, 그러니까 하나님은 오직 혼자만 살라고 놓아 두진 않았잖아. 우리들을"

"똑같은 것이라도 보는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보인다."

"뒷모습이 좋은 건...봐 주는 사람의 따뜻한 마음 때문......"


by kinolife 2006. 7. 12. 23:53
| 1 |